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다양한 수익창출 기대되는 홍콩 스마트폰 시장
  • 트렌드
  • 홍콩
  • 홍콩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2-26
  • 출처 : KOTRA

     

다양한 수익창출 기대되는 홍콩 스마트폰 시장

- 신제품에 열광하는 홍콩 소비자 -

-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콘텐츠 등 부가가치 높아 -

     

     

     

□ 배경

     

 ○ 홍콩 IT 시장의 선진성

  - 홍콩은 세계 최초로 쌍방향 텔레비전을 운영한 도시 중 하나이며, 2003년 IPTV가 성공을 거두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킴. 또한 2006년부터 휴대폰 실시간 방송을 시작하는 등 IT시장이 이미 성숙단계에 이름.

  - 무선랜망(Wi-Fi)이 설치된 공공장소는 모두 8803곳으로 홍콩 내 거의 모든 지역에서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음. 브로드밴드 사용률 역시 79.1%로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가 많음.

  - 대표적인 휴대폰 판매업체는 26개가 있으며, 2009년에는 휴대폰시장 침투율이 170%에 달함. 이는 아시아 지역 중 싱가포르와 마카오에 이어 세 번째에 해당하는 규모임.

 

홍콩 IT 관련 주요 통계(2009년 10월)

항목

수치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수

12,001,128명

2.5G와 3G 모바일 가입자

4,894,299명

브로드밴드 접속자(추정치)

2,004,074명

브로드밴드 사용률

79.1%

공공장소 Wi-Fi 가능지역

8,803곳

자료원 : 홍콩 통신관리국

 

 ○ 스마트폰 이용자 수 증가

  - 2004년 블랙베리 보급으로 시작된 스마트폰(모바일 인터넷 기기) 열풍은 아이폰 출시로 더욱 뜨겁게 달궈져 이제는 스마트폰 사용이 대중화되는 추세임.

  - 가트너에 따르면 2009년 4분기에 세계적으로 총 5380만 대의 스마트폰이 판매됐으며, 작년 동기 대비 41.1%의 성장률을 보임.

  - 휴대폰 시장의 스마트폰 점유율은 2008년 초 22%에서 2009년 말 44%로 급속히 증가함.

     

휴대폰 시장의 스마트폰 점유율

자료원 : AdMob

 

□ 홍콩시장 현황

 

 ○ 스마트폰 선호 경향 뚜렷

  - 홍콩의 전자기기 구매사이트 익스펜시에 나타난 매출 상위 20개 제품 중 스마트폰이 19개로 압도적임. 구글도 넥서스 원을 싱가포르, 미국, 영국과 함께 홍콩에서 가장 먼저 발표하는 등 홍콩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뜨거움.

  - 남성들 뿐만 아니라 테크파탈이라고 불리는 홍콩의 젊은 여성들도 새로운 전자기기에 관심이 많고 적극적으로 구매함. 이들 중심으로 스마트폰 소비가 늘고 있으며 특히 맛집 찾기, 교통 내비게이션, 상점위치 확인 등의 서비스를 즐겨 사용함.

  - 최근 휴대폰 기능을 비교하고 의견을 교류하는 인터넷 사이트가 많이 생겨남. 홍콩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지만 이미 발표된 유명 신제품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고 열성적으로 포스팅함.

  

 ○ 선호하는 스마트폰 형태

  - 자판보다 터치식 : 아이폰 등장 이후로 스마트폰 중에서도 자판(Qwerty)보다 터치를 선호함. 웹사이트 카날리스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해 스마트폰 중 터치형식의 판매량이 자판형식을 뛰어 넘었으며, 조사자 중 60% 이상이 다음 휴대폰은 터치형식의 스마트폰을 구매하겠다고 밝힘.

  - 인터넷 속도 중시 : 스마트폰 용도 중 인터넷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 주로 인터넷 기능이 강화된 폰을 찾음. 소비자위원회를 비롯한 각 단체가 휴대폰별 인터넷속도 평가 보고서를 내는 등 빠른 인터넷 속도가 휴대폰 판매의 강점이 됨.

  - 편리한 운영체제 : 지난 몇 년간 심비안이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의 60%를 장악하고 있었으나 최근 아이폰, 안드로이드, RIM 등 고사양 운영체제가 등장하면서 점유율이 점차 낮아짐. 소비자들은 고사양에 운용이 편리한 운영체제를 원하므로 새로운 체제가 계속 등장함. 최근에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이 주목받음.

 

 ○ 스마트폰 주요 용도

  - 스마트폰 이용자 중 71%가 업무 및 개인용도로 사용하며 업무만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는 3%로 다소 낮음.

  - 주요 사용 용도로는 인터넷 접속, 카메라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mp3와 GPS, USB의 용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남.

     

스마트폰 사용 목적

 

 

자료원 : Crown Science

 

 ○ 최근 경쟁제품

  - 아이폰 이후 다양한 스펙의 스마트폰이 계속 등장하면서 소비자들은 신제품에 관심이 많음. 최근 구글 넥서스 원과 삼성 i8520이 인기이며 노키아 제품이 강세임. 삼성, LG, 모토로라가 대세인 다른 시장과는 달리 HTC, Acer 등 대만 브랜드도 인기임.

  - 휴대폰정보 사이트 ringHK에서 선정한 인기 휴대폰 (인기도 순, 2010년 2월 26일 기준)

 

사진

기기명

가격(HK$)

주요사양

NOKIA X6

$3,598

운영체제 : 심비안 S60 5th

 Wi-Fi, HSDPA, UMTS,

EDGE, GPRS / 블루투스

500만 화소 카메라

 

SAMSUNG

i8520 Halo

미정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2.1

Wi-Fi, HSDPA, UMTS,

EDGE, GPRS / 블루투스

800만 화소 카메라

SAMSUNG

S5560

$4,880

운영체제 : Touch Wiz

Wi-Fi, EDGE, GPRS

블루투스

500만 화소 카메라

Google

Nexus One

$4,100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2.1

HSDPA / WCDMA

WiFi & GPS / 블루투스

500만 화소 카메라

   

Sony Ericsson

Satio

$5,280

운영체제 : 심비안 S60 5th

Wi-Fi, HSDPA, UMTS,

EDGE, GPRS / 블루투스

1200만 화소 카메라

NOKIA 5530 Xpress Music

$1,880

운영체제 : 심비안 S60 5th

Wi-Fi, EDGE, GPRS

블루투스

300만 화소 카메라

   

Apple

iPhone 3GS

$5,388

(16GB)

$6,288

(32GB)

운영체제 : iPhone OS 3.0

Wi-Fi, HSDPA, UMTS,

EDGE, GPRS / 블루투스

300만 화소 카메라

    

NOKIA

5230

$1,798

운영체제 : 심비안 S60 5th

HSDPA, UMTS,

EDGE, GPRS / 블루투스

200만 화소 카메라

자료원 : Ring HK

     

 ○ 기타 홍콩진입을 시도하는 기업들

  - 중국 Lenovo : 이전에 휴대폰 시장진출 실패를 맛보고 다시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함. 이는 인터넷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의 스마트폰 수요가 늘어났으며 아이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임. 최근 안드로이드 체제 기반의 Le Phone을 발표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음.

  - 필립스 : 애플사와 델 사가 모바일 시장에 뛰어들어 성공을 거둔 후 필립스도 가세함. 최근 새로나온 필립스 스마트폰은 6.5 윈도우 모바일 체제와 GSM, CDMA/EV-DO 방식을 사용하며 주로 직장인들을 겨냥함. 차이나텔레콤에서 출시하며 아시아 시장에 한정해서 판매할 계획임.

 

□ 한국 기업의 수익 모델

  

 ○ 인정받는 한국 휴대폰

  - 삼성과 LG 휴대폰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 특히 2009년 노키아, 모토로라 등 주요 업체 휴대폰 점유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삼성과 LG만이 점유율 증가추세임. 이는 중간 소비자층을 겨냥하는 전략으로 시장에서 확고히 자리매김했기 때문임.

  - 삼성 휴대폰은 점유율이 3.2% 증가한 16.3%로 세계 5대 휴대폰 생산업체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둠. 최근에는 삼성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운영체제인 바다를 탑재한 휴대폰 발표로 주목을 받음.

     

주요 업체별 휴대폰 판매량

                                                                                                                    (단위 : 천 대)

회사명

2009년 판매량

점유율

2008년 판매량

점유율

증감률

노키아

440,881.6

36.4%

472,314.9

38.6%

-2.2%

삼성

235,772.0

19.5%

199,324.3

16.3%

+3.2%

LG

122,055.3

10.1%

102,789.1

8.4%

+1.7%

모토로라

58,475.2

4.8%

106,522.4

8.7%

-3.9%

소니 에릭슨

54,873.4

4.5%

93,106.1

7.6%

-3.1%

기타

299,179.2

24.7%

248,196.1

20.3%

+4.4%

합계

1,211,236.6

100%

1,222,252.9

100%

-

                                 주 : ODM과 OEM 방식은 통계에서 제외함

                                 자료원 : 가트너

 

 ○ 통신기기 및 부품 수출

  - 한국의 대 홍콩 통신기기 및 부품 수출액은 2009년 약 13억 달러로, 이는 대 홍콩 수출품목 중 세 번째에 해당하며 수출액의 10%를 차지함.

  - 스마트폰 인기에 힘입어 Flash ROM, SD RAM, 휴대폰 액정화면 등의 수요가 늘어나 무선 통신기기의 부품수출이 증가함.

 

 ○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콘텐츠 시장

  - 스마트폰 대중화로 모바일 게임, e-book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임. 또한 사진, 영화, 벨소리, 만화 등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 제공으로 새로운 비지니스 창출이 가능함. 유료서비스와 모바일 광고 등을 통한 수익이 기대됨.

  -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세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 규모는 2010년 68억 달러에서 2013년 295억 달러까지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UC(통합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시장규모는 2013년까지 약 530억 원으로 확대될 전망임.

  - 최근에는 현실에 가상현실 정보를 결합시킨 증강현실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음. 예를 들어 카메라로 상품을 비추면 가격, 모델명 등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있음. 보도에 따르면 증강현실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4년 7300만 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됨.

     

국내 통합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시장규모 전망

                                                    (단위 : 백만원)

자료원 : 한국 IDC

     

 ○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

  -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업무에 적극적으로 이용될 전망임. 업무용 스마트폰 도입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 및 새로운 사업 모색이 가능할 것임.

 

□ 시사점 및 제안

 

 ○ 시장 진출에는 혁신이 관건

  - 홍콩 소비자들과 사업자들은 우수한 기술력과 트렌드에 민감해 새로운 제품 및 소프트웨어에 빠르게 반응함. 스마트폰 관련 사업 역시 변화속도가 빨라 혁신적인 제품생산을 위한 연구개발이 선행돼야 함.

  - 스마트폰, 넷북, e-book에 이어 최근 발표된 iPad의 등장까지 IT업계 영역의 구분이 점차 사라지고 있음. 이에 기기와 서비스를 결합한 종합 경쟁력을 확보하고 브랜드 가치를 차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함.

  - 스마트폰 기기 산업 뿐만 아니라 부품 생산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콘텐츠 등의 개발로 비지니스 가능성이 무궁무진함.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콘텐츠는 누구나 제작과 업로드가 가능하므로 이들 시장의 성장으로 개인도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음.

 

 ○ 휴대폰의 HS 코드와 관세

  - 휴대폰은 주파수에 따라 HS 코드가 부여됨. 800MHz에서 999MHz는 8525.20-7031, 1,700MHz 이상에서 1,990MHz는 8525.20-7032, 기타는 8525.20-7039.

  - 휴대폰의 대 홍콩 수출관세는 없음.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홍콩통신관리국, AdMob, Expansys HK, ring HK, Crown Science, 삼성경제연구소, 현지언론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다양한 수익창출 기대되는 홍콩 스마트폰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