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기] 카자흐스탄, 시중은행 유동성위해 구제증자 결정
- 경제·무역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08-10-29
- 출처 : KOTRA
-
[금융위기] 카자흐스탄, 시중은행 유동성을 위해 구제 증자 결정
보고일자 : 2008.10.28.
알마티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카자흐스탄 증시 최근동향
○ 카자흐스탄 증시 KASE Index는 현재 827선으로 전년대비 70% 이상이 빠진 상태로, 광물 관련 주가가 평균 85% 이상 하락해 실질적인 Market Movers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카자흐스탄 KASE 상장회사는 100여 개가 채 안되며, 이 중 80% 이상이 원유 및 광물 관련 회사와 금융기관으로 나타나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보다는 국제자원가격 하락의 절대적인 영향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외국계 자본이탈에 의한 급격한 환율하락 현상이 카자흐스탄에는 전무하다는 점이 외국계 이머징 마켓 펀드 이탈에 의한 증시하락이라고 볼 수 없는 또다른 근거임.
카자흐스탄 증시 및 환율, 국제유가 최근 변동추이
10월 16일
17일
20일
21일
22일
23일
27일
28일
KASE Index
(전일대비증감률)
1027,51
(-5,52)
930,82
(-4,43)
912,69
(-1,95)
907,98
(-0,52)
885,04
(-2,53)
881,94
(-0,35)
827,76
(-2,83)
N/A
환율
(탱게/1달러)
119,79
119,74
119,76
119,76
119,76
119,79
119,79
119,78
국제유가(브렌트유, 1달러/배럴)
70,80
66,32
69,60
73,21
69,72
64,52
62,05
61,41
자료 : KASE(www.kase.kz), Visor Capital
○ 한편, 카자흐스탄 정부는 국가기금에 구제금융지원으로 100억 달러를 유동성 진작에 사용할 것으로 10월 10일 발표하면서, 민간예금 보장금액을 6000달러에서 4만2000달러로 대폭 증가할 의지를 밝혀, 금융 유동성 진작정책이 10월 초부터 구체화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음.
- 민간예금 보장금 증액배경은 2008년 8월 기준 LTD(Loan to Deposit)가 전년의 228%에 비해 180%까지 감소했으나, 시중은행 예금은 전년대비 8%밖에 증가하지 않아 LTD의 실질적 감소는 예금증가가 아닌 대출감소의 절대적 결과였다는 것임.
□ 카자흐스탄 정부 구제 증자 계획발표
○ 지난 10월 13일 중소기업안정기금 Kazyna와 국가자산기금 Samruk이 합병돼 출범된 Samruk-Kazyna는 이번 카자흐스탄 정부 구제 증가계획이 구체화될 선제조건이었음을 알 수 있음.
- 당초 Samruk과 Kazyna가 합병 시 카자흐스탄 정부는 구제금융지원으로 확보된 100억 달러 중 50억 달러가량을 이 합병기금을 통해 국영 및 민간기업들에 투자될 것이며, 카자흐스탄 경기 진작에 직접적인 관여 기금으로 활용될 것으로 발표했음.
- 또한, 오늘(10월 28일) 발표된 50억 달러(구제금융지원금 100억 달러에서 Samruk-Kazyna로 배분된 50억을 제외)의 시중은행 증자대책은 실질적으로 Samruk-Kazyna가 수행할 것으로 보여, Samruk-Kazyna 펀드 발족은 카자흐스탄 정부 구제금융지원 계획의 선제과정이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의 시중은행 유동성 구제 증자 대상으로는 Halyk, Alliance, BTA, Kazkommertsbank로 카자흐스탄 랭키 5위 안에 드는 은행들이며 이탈리아 UniCredit 투자은행인 ATF와 국민은행이 지분 참여 중인 BCC 등의 외국투자 시중은행에 대한 구제 증가는 검토 중이라고 발표됨.
○ 이번 시중은행 증자 계획에 따른 추가적인 계획으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1) 금융 유동성 개선으로 대외채무 원할한 상환 환경조성, 2) Samruk-Kazyna 채권매입을 통한 자본금 50억 달러를 SME(중소기업) 대출 및 산업인프라 구축에 사용, 3) 은행 의무자본비율 감소로 시중은행 유동성 진작 등을 밝히고 있음.
□ 맺음말
○ 이번 카자흐스탄 정부의 시중은행 유동성 구제 증자계획의 특이점은 크게 외국계 금융기관 구제금융지원 유예와 Samruk-Kazyna 펀드의 절대적인 수행이라고 할 수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가 구제 증자 대상인 4개 대형은행들은 최근 급격한 주식하락(전년대비 70~80% 하락)을 기록하고 있는 한편, 이번 구제지원에서 차 검토중인 BCC와 ATF의 주식하락은 전년대비 20~30%에 그쳤다는 점에서 외국계 기업에 대한 차별보다는 국내 시중은행들의 상대적인 구조적 문제에 대한 대책이었다고 볼 수 있겠음.
- Samruk-Kazyna 펀드는 현재 National Wellbeing Fund(국가 복지기금)으로 불리고 있으며, 이 펀드 발족이 카자흐스탄 구제금융지원정책의 일부였다는 점이 이번 증자계획을 통해 확고해지면서, 향후 카자흐스탄 경기진작의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해 낼 것으로 보임.
○ 이번 카자흐스탄 시중은행 유동성 구제 증자계획의 중요한 시사점으로는 향후 민간기업들의 대출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점임. 그러나 2007년 하반기 미국발 서브프라임에 따른 금융 유동성 위기 경험으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2008년 초 국가펀드 포트폴리오를 주식 감자(10% 감자)와 예금비중확대(20%)로 변경했는데, 이번 대책은 기존 금융대책과 다소 상이한 정책을 내놓고 있어 글로벌 금융위기 심각성을 카자흐스탄 정부도 충분히 감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자료원 : Seven Rivers Capital 자료제공, Visor Capital, www.expert.ru(경제잡지사이트), 알마티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자료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금융위기] 카자흐스탄, 시중은행 유동성위해 구제증자 결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수단, 관리 변동환율제 도입 및 공공요금 인상
수단 2016-11-09
-
2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
멕시코 2023-06-07
-
3
2023년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및 전망
카자흐스탄 2023-03-13
-
4
10월 이란 동향 5호 (이란 상반기 광물 수출 41% 증가 외)
KOTRA 본사 2016-11-09
-
5
세르비아 건설산업 정보
세르비아 2021-01-07
-
6
로봇과 인간의 공존, 주목받는 일본의 협동로봇
일본 2017-04-18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