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마힌드라, 세계 시장을 향한 날개짓
- 투자진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8-21
- 출처 : KOTRA
-
인도 마힌드라, 세계 시장을 향한 날개짓
- 중국 옌청 트랙터와 합작투자 회사 설립 -
- 인도 자동차 기업들 해외진출 본격화 -
보고일자 : 2008.8.21.
유하림 뉴델리무역관
□ 인도의 대표적 자동차 생산업체 마힌드라사는 중국의 옌청 트랙터와 합작투자 결정
○ 작년에 펀잡 트랙터를 인수한 마힌드라는 해외 트랙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중국 국영기업인 옌청 트랙터와 합작투자에 동의함.
- 중국의 3대 트랙터 생산 업체인 옌청 트랙터의 판매대수는 2003년 5만6000대에서 2007년 22만 대로 증가해 매년 40% 성장을 보인 바 있음. 따라서 마힌드라는 이번 합작투자를 통해 중국과 해외 시장의 선점을 목표로 삼음.
- 정부당국에 따르면, 마힌드라는 새로 설립될 합작법인의 51% 지분을 소유하게 되고, 3만3500만 유엔을 옌청 트랙터에 지불할 예정임.
○ 마힌드라 농기구부문 사장 안자니쿠마르는 “이번 합작 투자로 인해 트랙터 생산 모델을 125마력의 대형 모델까지 다양화시킬 수 있고, 낮은 비용으로 내수시장과 수출시장의 생산 기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함.
□ 세계 3대 트랙터 제조업체 마힌드라
○ 마힌드라 & 마힌드라, 약칭 M&M은 인도 재계 10위권인 마힌드라 그룹의 주력 업체임. 이 회사는 인도 서북부 펀자브 출신인 마힌드라 형제가 창업한 인도의 다목적차량의 선두기업임.
- 마힌드라는 농업용 트랙터 생산을 시작으로 SUV차량, 승용차 생산을 위해 1995년 포드와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2005년에는 르노자동차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인도에서 가장 많은 SUV 차량을 생산하는 회사로 성장함.
○ 인도 자동차 공업협회에 따르면, 2007년도에 마한드라가 판매한 차량은 내수 19만3000대, 수출 1만2000대였고, 르노와의 합작사인 마힌드라 르노가 판매한 차량은 2만6000대가량이었음. 마힌드라의 주력 차종은 지프계열인 볼레로와 스콜피오로, 최근 3년간 해당부문에서 1위의 판매량을 기록한 바 있음.
○ 2007년 3월에는 르노와의 합작으로 승용차 ‘로건’을 출시했고, 5만 대의 생산능력을 갖춤. 또한 금융서비스, 부동산·인프라개발, 정보통신, IT분야에도 진출해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음.
마힌드라의 주력 차종인 볼레로와 스콜피오
자료원 : http://www.iloveindia.com 웹사이트
○ 지난 해 2월 마힌드라-닛산-르노 3개사는 인도 첸나이 인근의 오라가담 지역에 공장을 건설해 승용차 합작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나, 계획 추진 중에 마힌드라가 이탈해 르노·닛산은 직접 공장을 건설,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임.
○ 또한, 마힌드라는 2009년부터 미국 시장에 진출할 것을 계획하고 있음. 미국 진출을 위한 생산량 증대를 위해 나쉭에 새 공장을 지을 계획으로, 연간 생산 능력은 8만~15만 대 사이로 늘어날 예정임. 2009년부터 인제니오와 볼레로의 후속 모델 등이 이곳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초기 생산 능력은 10만 대 정도이고 차후 50만 대까지 확장할 것이라고 밝힘.
□ 시사점 및 전망
○ 인도는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의 거점
- 인도 승용차 시장은 로컬 4사와 해외 11사 등으로 전체 15사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로컬 제조사로는 타타 자동차가 선두이며, 르노와 합작해 승용차 생산에도 진출한 마힌드라가 뒤를 잇고 있음.
- 글로벌 자동차사들의 치열한 경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인도정부와 일본 스즈키가 합작한 마루티 스즈키가 승용차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가 20%로 2위임.
○ 최근 TATA 자동차의 10만 루피대(약 250만 원)의 초저가 차량 출시 발표와 대부분의 인도 내 다국적 기업들이 소형차 모델을 출시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점 등이 기업들의 인도 소형차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반영함.
○ 인도 기업, 특히 자동차 기업들의 해외진출은 최근 매우 활발한 편이며, 그 중 타타 자동차가 두각을 나타낸 바 있음. 이번 투자로 인해 마힌드라는 트랙터 판매대수를 기준으로 세계 1위 업체가 될 것이며, 중국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는 신호탄으로 보임. 또한 현대 자동차 인도 법인도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제3국으로 수출하는 등 인도의 자동차 제조기지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자료원 : 이코노믹타임즈 및 무역관 언론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마힌드라, 세계 시장을 향한 날개짓)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2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3
미국에서 사업하기 좋은 주(州)는 어디?
미국 2019-07-16
-
4
몽골 경제를 책임지는 상위 100대 기업 정보
몽골 2021-07-30
-
5
中, 329개 품목 자동수입허가증制 폐지
중국 2007-03-31
-
6
싱가포르 부동산 시장 현황
싱가포르 20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