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디지털 정책으로 아날로그 휴대용 TV 쓸모 없어져
  • 트렌드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구본경
  • 2008-07-16
  • 출처 : KOTRA

美, 디지털 정책으로 아날로그 휴대용 TV 쓸모 없어져

- 800만 가구 보유, 대안 활용한 틈새시장 공략 노려볼만 -

 

보고일자 : 2008.7.15.

구본경 실리콘밸리무역관

bonkyung@kotra.or.kr

 

 

□ 디지털 TV 시대 개막으로 휴대용 TV 무용화

 

 ○ 2009년 2월부터, 디지털 신호 수신 못해

  - 미국의 디지털 TV 시대 전환 정책이 2009년 2월 18일 시행되면 배터리 전원 기반의 휴대용 TV도 소용이 없게 될 전망. 지진이나 허리케인이 잦은 지역의 주민들이 비상 시 의지해온 저비용 소형 아날로그 TV 세트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임.

  - 미 연방정부는 새로운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오래된 아날로그 세트를 가진 사람들에게 변환 셋톱박스를 배급하기 위한 40달러짜리 쿠폰을 필요한 가정마다 지급하고 있지만, 이 변환 셋톱박스도 배터리 전원 기반의 휴대용 TV에는 별 소용이 없는 실정. 대부분 외부 안테나 연결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셋톱박스가 일반적인 가정 전기에 의존하는 것으로 배터리로는 켤 수 없음.

  -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배터리 전원 기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셋톱박스를 제조할 것으로 요청하지 않아 현재 이러한 셋톱박스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없음.

  - 시장에 일부 배터리 전원 기반의 디지털 휴대용 TV가 나와 있기는 하지만, 200달러가 넘는 고가에 디지털 방송이 아날로그 신호처럼 넓은 지역에서 수신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지역 TV 신호를 잘 잡아내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음.

 

 ○ 재난 대비 기능 상실 우려

  - 그러면 긴급 재난 정보에 대해 라디오를 들으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지 모르나, 대도시에서는 가능한 얘기이지만 많은 지방 카운티에서는 뉴스 부서도 없는데다, 미국 전체 중심의 방송을 다시 활용하고 있어 재난 정보에 대한 전파 효과가 떨어짐. 사람들이 AM 라디오보다는 TV를 훨씬 더 많이 시청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용 TV의 무용화에 지역 재난대비 기관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음.

  - LA에서 거주하는 Barry Spadoni 씨는 1994년 노스리지 지진으로 열흘 동안 전기 없이 지낸 이후, 배터리 기반의 휴대용 TV를 구입했음. 이후 단전 시 정보를 획득할 목적으로 컬러 모델로 업그레이드했지만 이제 2008년 2월이 되면 휴대용 TV가 영원히 단전될 상황에 직면

 

 ○ 미국 800만 가구가 휴대용 TV 보유

  - 소비가전 협회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06년 기준 미국 전체 가계의 7%, 800만 가구가 휴대용 TV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음.

  - 무역협회 시장조사 시니어 디렉터인 팀 허버트는 휴대용 TV의 수요가 크지 않고, 휴대폰이나 노트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선택권이 넓어졌기 때문에 시장에 나와 있는 배터리 기반 휴대용 디지털 TV가 많지 않은 실정이라고 분석

 

□ 디지털 방송시대의 휴대용 아날로그 TV 처리방법

 

휴대용 아날로그 TV

자료원 : News & Observer

 

 ○ 새로운 배터리 전원 디지털 TV 구입

  - 시장에 몇 가지 모델 밖에 없는 실정. 전자제품 전문매장 Radio Shack에서 7인치 스크린을 199.99 달러에 판매 중이며, LCD 디지털 7인치 스크린은 249.99, 8.4인치는 349.99에 판매

  - 선명하고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 비해 비싸고 별도 외부 안테나가 필요할 수 있다는 단점

 

 ○ 노트북을 디지털 TV로 전환

  - Autumn Wave의 OnAirGT와 같은 디지털 튜너와 약간의 장치를 노트북 USB에 꽂아 TV 시청이 가능. 50~180달러가 소요

  - 노트북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휴대용 디지털 TV 구입보다는 비용이 적게 드나 노트북 배터리라는 것이 2~3시간 정도만 가능하다는 게 단점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셋톱박스를 사용하기 위한 대체 전원 사용

  - 30~150달러 수준의 전원 인버터 구입해 기존 아날로그 휴대용 TV와 연결

  - 새로운 TV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변환 셋톱박스 구입 쿠폰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일부 TV에는 활용 자체가 불가

 

 ○ 휴대폰 TV패키지 활용

  -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넥스텔 등 이동통신사들은 주문형 지역 뉴스방송 등 TV를 스마트폰으로 시청할 수 있는 패키지를 월 10~15달러 수준에 제공하고 있음.

  - 대형 이동통신사 중 스프린트만이 지역 TV를 생중계 해주고 있음. 즉, 스프린트 이외에는 긴급 재난 정보를 CNN과 같은 케이블 스테이션이나 전국 네트워크에 의존해야 하므로, 신속한 정보를 얻는 데 한계가 있음.

 

 ○ 배터리 기반의 변환 셋톱박스가 나올때까지 기다린다.

   

□ 고속 성장 전망되는 모바일 TV

 

 ○ 멀티미디어 인텔리젼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휴대폰으로 TV나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소비자 수요 증가로 2008년 전 세계 모바일TV 시장 수익 규모가 3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 미국 아리조나 스콧츠데일에 소재한 이 회사는 2012년에는 150억 달러로 폭발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

 

 ○ 멀티미디어의 수석 연구위원인 프랭크 딕슨은 휴대폰이 TV와 같은 다른 미디어 장비에 비하면 열악한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이지만, 휴대폰 자체가 우월한 휴대통신 플랫폼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 또한, 휴대폰은 TV를 뛰어넘는 양방향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부연

 

□ 미국 TV산업 시장 주요동향

 

 ○ 주류를 이루고 있는 평면 스크린 TV의 경우 판매량이 정체기에 접어들어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음. 업계 전반의 재편을 통해 가격이 더 낮아지고 질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

 

 ○ 소비자 설문결과 TV 구매결정 기준으로 저렴한 가격을 가장 우선시하고 있으며, 미국 경기침체로 소비자의 수요가 위축되면서 TV 가격은 더욱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TV 제조기업들은 2009년 2월 아날로그 방송을 전면 디지털화 하는 정부 정책이 판매율을 성장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경기침체가 발목을 잡아 소비자들이 변환 셋톱박스를 활용하는 등 한계가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 전망 및 시사점

 

 ○ 재난 대비용으로서의 배터리 기반 휴대용 TV는 필수재로서의 성격이 짙고, 현재 미국 내 800만 가구가 보유하고 있는데, 800만 대가 미국 관점에서는 큰 수치가 아닐 지 몰라도 틈새시장으로서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판단됨.

 

 ○ 아날로그 휴대용 TV가 디지털 방송 전면 시행으로 무용화되면, 재난 대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었던 800만 가구 중 상당수는 어떤 방법으로든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 현재 200달러 수준의 디지털 휴대용 TV의 가격이 비싸다는 반응이므로, 가격이 더 저렴한 디지털 휴대용 TV를 선보일 경우 시장을 확보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됨.

 

 ○ 아울러, 휴대폰 TV 패키지도 현재 메이저 통신사 모두가 지역 TV를 생방송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해 나갈 경우 모바일 TV시장의 급성장세와 맞물려 주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됨. 또한, 우리 관련 기업 및 기관은 이러한 미국시장의 변화를 주시해 제품 차별화와 틈새시장 공략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음.

 

 

자료원 : Consumeraffairs.com, Mercury News, WKRG.com, Home Media Magazine, LA Times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디지털 정책으로 아날로그 휴대용 TV 쓸모 없어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