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외환부족으로 경제위기 오나
  • 투자진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근형
  • 2008-05-20
  • 출처 : KOTRA

베트남, 외환부족으로 인한 경제 위기 오나

- 외환보유고 고려하면 단기간에 위기 도래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

- 투자심리 경색에 따른 외국인투자의 급격한 감소 가능성도 없지 않아 -

- 위기와 기회 상존, 향후 대출·대금 수금과 환위기 관리 필요 -

 

보고일자 : 2008.5.19.

박근형 하노이무역관

khpark@kotra.or.kr

 

 

□ 베트남 외환 상황

 

 ㅇ 베트남의 2007년 말 기준의 외환보유고는 200억 달러 정도로 추정되는데, 베트남의 주요 외환 소스는 무역·외국인 직접투자·해외원조·해외교포 송금·외채·외국인의 주식시장에서의 간접투자액 등임.

 

 ㅇ 무역 현황은 올 4월까지 수입이 전년대비 71% 증가한 293억 달러, 수출이 27.6% 증가한 182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의 61%에 달하는 111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폭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임.

  - 무역수지 적자 : 2005년 45억4000만 달러→2006년 48억 달러→2007년 124억6000만 달러→2008년 4월 111억 달러

  - 주요 적자 원인은 원자재 가격 급등과 기계 플랜트·고급소비재 수입 급증으로, 기계플랜트제품이 47% 증가한 46억 달러, 철강관련 제품이 전년대비 1.6배 증가한 33억3000만 달러, 석유제품 71% 증가한 37억7000만 달러, 비료가 156% 증가한 6억4000만 달러, 플라스틱 38.1% 증가한 9억7000만 달러에 달함.

  - 또한 고급소비재인 전자제품과 자동차 수입이 크게 늘어나 전체 무역수지 적자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는 올 4월까지 총 2만8000대가 수입돼 전년동기대비 7.5배가 늘어남.

 

 ㅇ 외국인투자 현황은 4월까지 외국인투자 신고액이 전년대비 41.4% 증가한 72억 달러, 실행투자금액 또한 전년대비 26% 증가한 상태임.

  - 최근까지의 증가율을 전년도 투자유치액에 적용한 단순 산술액은 251억 달러, 여기에 2007년까지의 누계액에 대한 실제 투자액의 비율 35%를 적용하면 투자실행액은 88억 달러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됨.

 

 ㅇ 2008년도 해외 원조액은 54억 달러로 예상됨

  - 이는 지난해 12월 6일 개최됐던 공여국 회의 결과를 반영

 

 ㅇ 또 하나의 베트남 외환 유입경로인 해외교포들의 송금액은 71억6000만 달러로 추정했음.

  - 2006년 42억 달러, 2007년도 55억 달러의 증가율 30.1%를 단순 적용한 수치임.

 

 ㅇ 베트남의 외환보유액은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있지 않으며, 베트남 정부는 2007년 11월 28일 개최된 국가 재무 컨퍼런스(National Financial Conference)에서 2007년 11월 기준 외환보유고가 200억 달러라고 발표했음.

 

 ㅇ 이와 같은 보유 외환액 소스에 따라 단순 추정한 베트남의 2008년도 외환보유액은 81억 달러 정도일 것으로 추정됨.

 

베트남 외환보유액 추정치

                                                                                                                      (단위 : 억 달러)

전년도 말 기준

외환보유액

2008년 추정치

무역수지

투자유치액

해외 원조액

해외교포 송금액

보유 외환액

200

-333

88.4

54

71.6

81

자료원 : 무역관 추정치(베트남 정부기관 발표 통계근거)

주 : 1) 무역수지= 4월까지의 무역수지*3
2) 투자유치액=전년도 투자유치액*올 4월까지의 투자증가율*투자실행률(35%)
3) 해외원조액 = 2007년도 공여국 회의 시 2008년도 예상 결과치
4) 해외교포송금액 = 2007년도 송금액*2007년도 송금 증가율
5) 보유 외환액 = 전년도 외환보유액+무역수지+투자유치액+해외 원조액+해외교포 송금
6) 이 추정치는 요소별 최근 실적치와 증감률에 근거해 추정 요소별 가변성을 반영하지 않고 단순 추정한 것으로,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략적인 범위를 파악해 보고자 작성했음.

 

 ㅇ 이외에 20억 달러 정도로 추정되는 단기외채와 베트남 주식시장의 외국인 보유액 추정액 30억 달러 전체가 국외로의 이탈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외환이 바닥을 드러낼 정도는 아닌 것으로 추정

 

□ 거시경제 상황

 

 ㅇ 최대 문제는 급격한 인플레이션 상승률로 베트남 정부는 강력한 긴축정책 시행

  -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이 베트남의 급격한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2007년 연간 12.6%, 올 4개월간 11.6%에 달하는 인플레는 베트남 정부로 하여금 기준금리의 12% 상한, 은행별로 정관자본금(자기자본)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의 재무부 발행 채권 강제매입 등의 강력한 긴축재정 정책을 취하도록 했음.

  - 하지만 인플레이션율에 미치지 못하는 금리로 인해 현지 약 30개 은행들은 유동성이 발생·신규대출 중지·기존 대출 회수 등의 상황이 벌어지자, 베트남 당국은 5월 19일자로 기준 금리를 기존 연 8.75%에서 연 12%로 3.25%p 인상했으며, 재할인율과 재융자금리도 현행 연 6%에서 각각 연 11% 및 연 13%로 인상했음.

  - 달러 대출도 중단돼 외국인 투자기업이 현지에서의 달러 금융 조달이 불가능함.

 

 ㅇ 강력한 긴축정책으로 증권시장 및 부동산 시장 위축

  - 유동성 부족에 따른 투기성 투자의 감소로 인해 증권시장 및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거품이 빠지고 건전성을 회복하는 긍정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음.

 

 ㅇ 베트남 정부의 경제성장률 목표 하향 조정

  - 베트남 정부는 경제성장률 목표를 7%로 하향 조정했으며, 정부 경제연구소(CIEM)에서도 2008년도 경제성장률을 6.6~7.6%로 전망하고 있음.

 

□ 전망 및 우리기업 대처방안

 

 ㅇ 베트남 외환보유액 200억 달러에 근거해 추정할 경우 단기간 내에 외환위기가 올 것으로는 판단되지 않음.

  - 하지만 외국인투자자들의 심리적 불안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 급격히 감소하는 상황이 전개될 경우에는 외환위기도 가능하므로, 외국인투자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음.

 

 ㅇ 향후 달러 가치의 상승이 예상되므로 베트남 환율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대출, 자금 수금 및 환리스크 관리가 필요

  - 고금리의 현지 대출을 지양하고 자기자본으로 투자하거나 한국에서 자금을 차입해 베트남에 자본금으로 송금하는 방식 필요

  - 유동성 경색으로 인해 현지 내수시장에서의 거래 시 대금 수금의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바, 신용거래 비율을 줄일 필요가 있음.

  - 달러가치 상승이 예상돼 수출 제조업체는 수출이 증가할 수 있으나, 원부자재 수입비용이 증가해 수익성 측면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바, 결제 통화의 변경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ㅇ 경제 및 환율 불안에 따라 투자 안정성이 감소할 수는 있으나, 시장진입을 위한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음.

  - 통화 가치 하락 및 자산 가치 하락 등이 예상되므로, 장기적인 목적의 직접투자나 우량기업 인수를 통한 베트남 시장 진입 시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음.

 

 

자료원 : 기획투자부, 베트남 통계청, 무역관 보유 및 분석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외환부족으로 경제위기 오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