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11월 글로벌 및 주요국 경제동향과 전망
- 글로벌 이슈 모니터링
- Global Issue Monitoring
- 전세계
- 2024-12-11
- 출처 : KOTRA
-
□ 글로벌 경제 전망
ㅇ 美, 대중국 반도체 추가 규제 조치 발표(12.2)에 中, 핵심 광물 수출금지 조치로 맞대응(12.3)
- 미국은 중국의 AI 개발 방지를 위해 반도체 및 핵심부품 통제 강화, 중국은 강하게 반발
ㅇ 한국은행, "미국 신정부 경제정책 향방에 따른 경기 및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증대"
- '24~'25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각각 3.1%, 3.0%로 전망하며 완만한 성장세 전망
ㅇ OECD,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세계 무역이 활기를 되찾기 시작"
- 물가안정과 교역 회복을 예상하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확대 등 하방 리스크 경고
□ 글로벌 경제 동향
ㅇ (환율) 미국 경제의 회복 전망 속 정국 불안 여파로 원·달러 환율 급등
- (원/달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발표 이후 소폭 상승(1,396.3/11.28)한 뒤,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여파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며 환율 급등(1,418.8/12.4)
- (엔/달러)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기대가 강화됐으나,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 지연 전망 확대로 150엔에 근접한 고환율 지속(149.5/12.3)
□ 주요국 경제동향과 전망
ㅇ (미국) 자연재해로 인한 일시적 생산 위축에도 전반적인 경제지표 양호한 가운데 성장 지속
ㅇ (중국) 소비와 수출이 개선되었으나 부동산 둔화는 지속, 정부는 내수 부양에 총력
ㅇ (일본) 생산·소비·투자 등 회복세 시현 속 수출입 동반 상승
ㅇ (독일) 소비심리 소폭 개선됐으나 산업생산과 투자가 위축되며 부진한 성장 흐름세 지속
ㅇ (러시아) 방산업 중심으로 제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소비개선, 반면 높은 인플레이션과 전쟁 장기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 심화<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11월 글로벌 및 주요국 경제동향과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1 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