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섬유 및 의류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홍콩
  • 홍콩무역관 Ivy Szeto
  • 2022-01-17
  • 출처 : KOTRA

홍콩 소비자 유연한 재질에 기능성 추가 섬유 선호

친환경 트렌드 및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재활용 섬유 의류 및 항균 섬유 인기

가. 산업 특성

 

산업 개요

 

미국, EU, 일본과 같은 세계 주요 시장에서 개도국 의 섬유 및 의류산업을 대상으로 여러 혜택을 주고 있어 홍콩의 섬유 및 의류산업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다. 홍콩 섬유의류 제조업체들은 중국 본토의 인건비 상승 및 지속적인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최근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로 이전하는 경향이 있다. 홍콩에 위치한 섬유기업은 디자인, 판매 및 마케팅, 품질 관리, 물류 등 고부가가치의 업무에 집중하고 있으며 의류의 경우 글로벌 의류 소싱기지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홍콩 섬유기업에서 제조한 직물들은 주로 현지 의류 제조업들이 사용하고 있다.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섬유 제조업체들이 단시간 내 의류 제조업들의 주문을 충족할 수 있다. 섬유 수출 기업들은 중국 본토를 주요시장으로 수출하고 있다.

 

산업정책 및 규제

 

홍콩-중국간 CEPA 협정 체결에 따라 2006년 1월부터 홍콩산 섬유와 의류는 중국으로 수출 시 무관세 혜택을 적용할 수 있다. 친환경 제조 트렌드를 맞추기 위해 국제적인 친환경 의류 제품 표준인 bluesign® standard을 채택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해당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기업들이 화학물 처리공정과 작업장의 환경적 여건에 대한 심사를 받아야 한다. bluesign® standards 이외에도 Oeko-Tex 표준, 유기농 교역 인증(OE Blended), 유기농 교역100인증(OE 100)과 글로벌 유기농 섬유 인증(GOTS) 등 국제적인 인증을 취득한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불확실성 제고에 따라 패션브랜드들의 디지털화와 로컬 소싱이 확대되고 있다.

 

 

<친환경 섬유 제품 인증bluesign®>

[자료: Blacksmith International]

 

<유기농 섬유 인증 라벨>

 

[자료: Ecolabel index, Global-Standard]

 

 

산업 현황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 쇼핑이 주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이를 맞추기 위해 홍콩 섬유산업에서는 첨단기술에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버츄얼 핏팅(virtual fitting), 이미지 검색(visual search) 등의 인공지능(AI) 기능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현지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활용하여 브랜드를 홍보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SNS를 통해 기업들이 패션 관련 정보를 얻는 동시 제조업체에서도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

 

대기업들은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자사 의류 브랜드를 출시한다. H&M, Marks & Spencer, Orsay, palmers 등 기업들이 모두 자사 의류 브랜드를 갖고 있다. 가구제품 기업인 IKEA에서도 버킷햇을 한정판으로 출시한 바 있으며 미국에서 큰 인기 얻었다.

 

또한 의류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새로운 재질 및 제조 기술을 시도하고 있다. 폐기된 섬유와 직물을 재활용하여 자원 순환이 가능하도록 제품에 패션 특성을 추가하여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주요 제품 트렌드

 

1) 유연한 재질에 기능성을 추가한 섬유

 

홍콩 소비자들이 다양한 직물 중에서도 면과 면 혼방을 가장 선호한다. 그러나 최근 초극세사가 가볍고 전기절연성이 뛰어난 점으로 섬유 제조업체들로부터 주목을 받고있다. 특히 일본 대형 의류 브랜드 Uniqlo에서는 이러한 재질을 사용하면서 ‘AIRism’ 컬렉션을 출시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연하고 주름이 덜 잡히면서도 퉁풍성이 좋은 섬유들이 계속 선호될 것으로 예상되며 섬유의 자외선 차단 및 항균 효과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기업들은 이러한 섬유 직물을 개발하기 위해 더 많은 자금을 도입할 것이며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 브랜드인 lenzing Group에서는 최근 면직물에 기능성을 추가한 TENCEL 재질을 개발하여 홍콩 시장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2) 아동복 시장 비중 지속 증가

 

아동복에 대한 수요가 전체 의류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홍콩 무역발전국(HKTDC)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의 아동복 시장의 소매액은 2,300억 미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모들의 소비능력이 증가하면서 자녀에게 좋은 품질의 옷을 사주는 요구가 확대된다. 특히 중국에서 두 자녀 정책 실시에 따라 지난 몇 년간 아동의류에 대한 매출액이 두 자릿수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홍콩의 대 중국 아동복 수출에도 영향을 끼쳤다. 아동복 상품 중 성 중립(Gender-neutral) 옷이 점차 인기를 얻고 있어 기업들이 주목할 만한 분야이다.

 

3) 다용도 스포츠웨어

 

건강한 도시생활에 대한 홍콩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용도의 스포츠웨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스포츠용 의류들이 사무실에서도 입을 수 있는 디자인을 갖추면서도 자외선 차단, 땀 흡수 등 기능이 추가되었다. 더불어 경우에 따라 가벼운 등산복으로까지 사용할 수 있는 캐쥬얼 의류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4) 코로나19 이후 뜨는 항균 기능 의류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의류 기업에서도 혁신 기술에 대한 도입이 가속화하고 있다. 공공 위생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높아짐에 따라 홍콩의 의류기업들이 항균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패션으로 입을 수 있는 마스크를 제외하여도 의류 상품에 항균, 항 바이러스 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최신의 연구 방향이다. 홍콩 경년의류공장(慶年製衣廠)에서는 과학기관과 협력하여 의류에 사용할 수 있는 양전하(Electric charge) 코팅을 개발하였다. 물리학 원리에 따르면 강한 음전하를 갖는 세균과 바이러스가 양전하 코팅에 있는 옷에 붙이면 세균와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직이 파괴된다. 현재 해당 코팅제는 섬유의 표면에만 사용할 수 있으나 향후 직물이나 실에 주입할 수 있는 기술이 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나. 섬유 및 의류 산업의 수급 현황

 

2021년 6월 기준 홍콩의 의류 산업 기업 수가 섬유 산업 기업 대비 약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이 섬유 제조보다 주로 의류 판매 등 서비스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홍콩 섬유 및 의류 사업은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다. 전 세계 물류 지연과 여행 제한으로 인해 의류 소싱과 디자인 활동도 중단하게 되었으며 해외 수요가 위축되면서 주문과 영업 현금 흐름도 감소하는 추세다.

 

<홍콩 섬유 및 의류 산업 현황>

 

구분

제조업

2019년12월

2021.6월

섬유산업

기업 수 (개사)

352

316

종사자 수 (명)

1,859

1,525

의류산업

기업 수 (개사)

524

475

종사자(명)

3,118

2,636

 [자료 :홍콩통계청]

 

 

홍콩의 섬유 수출은 2019년부터 두 자릿수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재수출의 비중이 여전히 전체 섬유 수출의 98%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최대 수출 품목군은 니트제 직물, 섬유사, 편직물 등의 순이며, 편직물 중에서도 면의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2020년 홍콩 섬유 수출액 추이>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구분

2018

2019

2020

금액

감률

금액

감률

금액

감률

총수출

57,903

-2

50,098

-13

19,027

-15

  재수출

57,279

-2

49,403

-14

18,612

-16

   - 중국산 제품

43,933

*

37,736

-14

14,642

-14

    - 홍콩산 제품

624

+3

695

+11

415

+59

*주: 정보 없음
[자료: 홍콩통계청]

 

의류 수출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해외 수요 감소로 2019년 대비 2020년 홍콩의 의류 수출액은 41%로 감소하였다.

 

<홍콩의 의류 수출 추이>

(단위: 십억 홍콩 달러,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수출

109

-4

96

-11

64

-41

 재수출

108

-4

96

-11

63

-34

    - 중국산 제품

95

-5

81

-15

48

-41

[자료: 홍콩통계청] 

 

품목별로 편직물 의류는 전체 의류 수출의 액 3분의 1을 차지하였으며 이에 이어 니크웨어(18.2%)와 의류엑세서리(7.4%)도 주요한 수출 상품이다.

 

<품목별 홍콩의 의류 수출액 추이>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품목군

2018년

2019년

2020년

비중

증감율

비중

증감율

비중

증가율

편직물 의류

33.4

-4

33.9

-10

32.9

-36

 - 남자용

11.8

-3

11.6

-13

11.1

-37

 - 여자용

21.6

-4

22.2

-9

21.8

-35

니트웨어

16.1

*

16.4

-10

18.2

-26

 - 남자용

5.5

+7

6.1

-3

7.5

-18

 - 여자용

10.6

-3

10.3

-14

10.6

-35

의류 액세서리

7.3

-5

7.5

-10

7.4

-34

 - 섬유제직물용

2.1

-10

2.4

+2

2.7

-24

 - 비섬유제직물용

5.3

-3

5.1

-14

4.7

-39

기타 의류

43.1

-5

42.3

-13

41.5

-35

[자료 : 홍콩통계청]

홍콩의 의류 수입은 역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홍콩의 의류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이며 2020년 기준 전체 수입의 58%를 차지하였다. 중국에 이어 이탈리아, 베트남, 일본, 프랑스 등이 있다. 한국은 2019년 12위에서 2020년 6위까지 상승하였다. 한국산 수입이 비록 금액 자체는 여전히 작은 수준이지만 전년 대비 41.3%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의 의류 수입 추이>

(단위 : 천 미 달러, %)

수입대상국

2018년

2019년

2020

수입액

시장 점유율

전년 대비 증감률

총수입

12,262,065

10,807,488

7,928,952

100

-26.6

중국

8,277,870

6,840,671

4,571,973

57.7

-33.2

이탈리아

1,643,080

1,652,335

1,315,888

16.6

-20.4

베트남

300,303

322,626

282,257

3.5

-12.5

일본

216,021

211,237

224,713

2.8

+6.4

프랑스

189,093

212,262

177,215

2.2

-16.5

대한민국

96,968

81,533

115,210

1.4

+41.3

 [자료 : Global Trade Atlas]


. 진출전략

 

SWOT 분석

Strength(장점)

Weakness(약점)

- 섬유는 고급품 시장에 초점, 한국의 섬유 첨단기술 인지도와 투자 의사 높음

- 다용도 스포츠웨어 수요 증가

- 일본계 대형 오프라인 매장이 많아 일본 의류 시장 점유율 높음

-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 한국 의류 진출 미미

-높은 안전기준을 준수하는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

Opportunities(기회)

Threat(위협)

- 온라인 의류쇼핑 급증

- 의류 버추얼 핏팅 및 이미지 검색 등 AI 기반 마케팅 전력과 인플루언서의 영향력 상승

- 홍콩 디자이너들의 국제적 인지도 지속 상승 및 섬유 및 의류의 글로벌 소싱 허브 지위 유지

- 고객 수요 변화주기가 계속 짧아져, 수요 신속 파악 및 대응 중요성이 높아짐

- 패션브랜드들의 디지털화, 로컬 소싱, 기존 파트터 유지 경향 강화



 

유망분야

 

홍콩 섬유 의류 제조업체들은 포괄적인 소싱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수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이다. 수출기업 역시 국제적인 관련 규정을 잘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인 환경 및 안전규정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잘 알려진 소매체인인 Baleno, Bossini, Crocodile, Episode, G-2000, I.T, Jeanswest, Moiselle 들은 호주, 캐나다, 프랑스, 일본, 싱가포르, 한국, 대만, 영국 등 선진 시장만이 아니라 아시아, 중동, 아르키나, 중부유럽, 동부유럽, 중남미와 같은 국가에도 직접 현지에서 매장을 운영 중이다.아시아의 글로벌 소싱허브로서 홍콩의 기업들은 미국과 유럽 백화점(예를 들어 Macy’s, JCPenney, Federated, Karstadt Quelle, C&A), 대형 할인점(Sears, Target, Carrefour), 전문체인(House of Holland, Temperley London, Willsoor, Zoot), 온라인점(Zalora)와 같은 곳에도 공급하고 있다. 또한 많은 국제적인 프리미엄 디자이너 브랜드(캘빈클라인, Donna Karen, 랄프로렌, Tommy Hilfiger, 입생로랑)들이 홍콩에 자신들의 바잉오피스를 두거나 중개인을 두고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소싱을 하고 있다.


홍콩 패선 디자이너들은 전문성, 최근 트랜드 민감성, 혁신성 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 2020년2월 London Fashion Week 에서 4개의 현지 디자이너와 브랜드(ANGUS TSUI, Bettie, Blind by JW 및 YEUNG CHIN)들이 쇼케이스에 초대되기도 하였으며 다자인 상품들이 해외 선진국의 여러 백화점과 온라인 소매 플랫폼에 판매되고 있다.

전시회는 국제적인 소싱 바이어들과 공급업체를 만나게 된 중요한 플랫폼이다. 홍콩 무역발전국(HKTDC)가 주최하는 CENTRESTAGE도 디자이너 브랜드 제품만 전시되는 행사고 있다.

 

<글로벌 의류 산업 전시회>

지역

주요 전시회/ 온라인 플랫폼

중국

China International Fashion Fair (2021년3월, 상해),

Shanghai Fashion Week

홍콩

CENTRESTAGE (2021년9월)

프랑스

Paris Fashion Week Women (2021년3월, 온라인 전시회),

Paris Fashion Week Men (2021년6월, 온라인 전시회),

Haute Couture Week (2021년7월, 온라인 전시회)

이탈리아

Milan Fashion Week Women's (2021년2,3월, F/W 전시회)

Milan Fashion Week Women's (2021년9월, S/S 전시회)

Milan Fashion Week Men's (2022년2,3월, S/S 전시회)

영국

London fashion Week (2021년2월)

미국

New York Fashion Week: The Shows (2021년2월)

[자료 : HKTDC]

시사점

 

홍콩의 섬유와 의류 시장은 고가품을 위주로 하고 있다. 최근 중남미, 중유럽, 동유럽의 패션 브랜드와 디자이너들이 홍콩을 무역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중국시장을 개척하고 경우가 많아짐만큼 우리의 의료 기업들도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여 홍콩을 통한 중국 시장 진출이 유망하다.

 

또한 홍콩 섬유 의류 제조업체들은 의류 소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수요와 각 국가의 의류 시장 표준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우리 기업들도 패션 산업에 관련된 국제적인 제품 표준과 안전규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자료: 홍콩 무역발전국(HKTDC), 홍콩통계청, Global Trade Atlas,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섬유 및 의류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