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미국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미국
  • 뉴욕무역관 임소현
  • 2021-06-07
  • 출처 : KOTRA
Keyword #미국 #산업 #GDP

- 서비스 산업이 GDP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선진국형 산업구조-

- 첨단 제조업,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첨단산업 육성에 집중-

 

 

 

산업구조

 

2020년 미국 GDP에서 민간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87.4%로 전년대비 0.3%포인트 비중이 감소했으며 정부비중은 12.6%로 증가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0년 미국은 GDP 중 상품 산업이 16.9%에 불과하고 서비스 산업이 70.5%의 비중을 차지하는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 및 전자제품 제조, 소프트웨어 개발, 방송 통신, 데이터 처리 및 소스팅 서비스 등 정보통신기술 산업 비중은 2016년 6.7%에서 2019년 7.1%로 큰 폭 성장했다. (2020년 정보통신기술 산업 비중 통계 미발표)

 

2020년 산업별 GDP 비중을 살펴보면 금융/보험/부동산/임대가 GDP의 22.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전문서비스/비즈니스서비스가 12.8%, 제조업이 10.8%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15년 대비 금융/보험/부동산/임대, 전문서비스/비즈니스서비스, 정보산업, 건설업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예술/공연/음식/숙박, 제조업, 운송/물류/유통, 광업, 교육/헬스케어/사회 복지, 도매업, 농업/어업/수렵 등의 비중은 감소를 나타냈다.

 

미국 산업별 GDP 비중

(단위: %)

산업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국내총생산

100

100

100

100

100

 민간 부문

87.3

87.5

87.6

87.7

87.4

    - 농업, 어업, 수렵

0.9

0.9

0.9

0.8

0.8

    - 광업

1.2

1.4

1.6

1.4

0.9

    -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공 시설

1.6

1.6

1.6

1.6

1.6

    - 건설

4

4.1

4.1

4.2

4.3

    - 제조업

11.2

11.2

11.2

10.9

10.8

    - 도매업

6

6

5.9

5.9

5.8

    - 소매업

5.6

5.5

5.4

5.4

5.7

    - 운송, 물류, 유통

3.1

3.1

3.2

3.3

2.8

    - 정보

5.2

5.1

5.1

5.3

5.5

    - 금융, 보험, 부동산, 임대

21.1

21.1

21.2

21.2

22.3

    - 전문 서비스, 비즈니스 서비스

12.3

12.4

12.5

12.6

12.8

    - 교육, 헬스케어, 사회 복지

8.8

8.7

8.6

8.7

8.6

    - 예술, 공연, 음식, 숙박

4.2

4.2

4.2

4.2

3.2

    - 기타 서비스

2.1

2.1

2.1

2.2

2

 정부 부문

12.7

12.5

12.4

12.3

12.6

주: GDP 중 각 산업별 창출 부가가치의 비중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BEA), Value Added by Industry as a Percentage of GDP

 

주요 부문별 현황

 

미국 경제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9년 말까지 최장기 경제성장을 이어감에 따라 산업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였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 발생의 영향으로 산업생산이 감소했다. 2015년 109.468을 나타냈던 산업별 부가가치 생산지수(2012년=100)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결과 2019년에 117.872을 기록했으나 2020년에는 2018년 이전 수준인 113.762를 나타냈다.

 

최근 5년간 가장 활발한 산업활동을 나타낸 분야는 정보산업으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10포인트 전후의 상승을 지속했으며 2020년에도 5.2포인트 상승한 169.119를 기록했다.

 

미국 주요 부문별 생산지수

산업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국내총생산

109.468

112.021

115.378

117.872

113.762

 민간 부문

110.497

113.283

116.94

119.709

115.307

    - 농업, 어업, 수렵

133.001

130.128

135.54

135.659

143.206

    - 광업

119.044

120.121

126.039

140.557

124.617

    -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공 시설

99.972

100.347

100.876

102.16

105.818

    - 건설

113.337

116.868

120.122

120.091

117.826

    - 제조업

105.467

108.16

112.745

114.96

111.704

    - 도매업

109.412

111.213

111.878

109.538

105.193

    - 소매업

112.981

116.995

120.068

123.099

119.69

    - 운송, 물류, 유통

109.202

113.438

118.281

122.016

106.384

    - 정보

134.332

142.999

153.023

163.905

169.119

    - 금융, 보험, 부동산, 임대

106.404

107.752

109.91

111.467

111.779

    - 전문 서비스, 비즈니스 서비스

111.764

116.74

122.685

128.212

125.365

    - 교육, 헬스케어, 사회 복지

110.04

111.644

114.725

117.93

111.127

    - 예술, 공연, 음식, 숙박

110.705

113.123

115.5

117.225

84.747

    - 기타 서비스

101.85

102.665

106.048

107.483

93.922

 정부 부문

100.17

101.231

102.258

103.244

101.092

주: 2012년 100을 기준으로 한 수치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BEA), Chain-Type Quantity Indexes for Value Added by Industry

 

주요 산업 육성정책

 

(제조업) 2011년 오바마 행정부에서 시행한 '첨단 제조업 파트너십(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 일환으로 추진된 Manufacturing USA 프로그램을 통해 제조업 관련 연구개발 투자 및 인력 양성이 지속되고 있다. Manufacturing USA 프로그램에는 약 1,300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고 270개 이상의 제조업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자금이 지원된다. 2018년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부활’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첨단제조 전략계획(Strategy for American Leadership in Advanced Manufacturing)'이 발표되었다. 국가 첨단제조 전략계획(Strategy for American Leadership in Advanced Manufacturing)'의 세 가지 목표는 1) 새로운 제조 기술 개발 및 전환, 2) 제조 인력 교육, 훈련 및 제조업계와의 연결, 3) 국내 제조업 공급망의 역량 강화이다. 리쇼어링 기업에는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며 제조업 리쇼어링을 독려하고 있다. 특히, 의료·의약품, 로보틱 등과 같은 국가기간, 미래 첨단산업의 경우 세액공제 외에도 100% 비용공제(Expensing Deduction)를 허용한다.

 

(사물인터넷) 연방정부 부처 및 유관기관 중심의 다양한 정책이 개발 및 시행되고 있다.

 

미국 기관별 사물인터넷 관련 정책

기관명

주요내용

국토안보부

(DHS)

침수를 감지하여 홍수취약지역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저비용 IoT 센서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중소기업과 10만 달러 규모 연구계약 체결

법무부

(DOJ)

2016년 하반기부터 ‘IoT 장비를 통한 잠재적 국가안보위협 대처방안 연구’를 개시하면서 IoT 기술 활용에 따른 사이버위협에 대비

통신정보관리청

(NTIA)

상무부 산하기관으로서 밀집지역에 활용할 수 있는 IoT 기술을 위한 테스트베드 운영 및 개발 추진

연방통상위원회

(FTC)

IoT 활용 증대에 따른 개인정보 노출 등 IoT 기술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실시

국립과학재단

(NSF)

2016년부터 도시, 농촌 등 지역사회 간 스마트연결 커뮤니티(S&CC) 프로그램에 약 1800만 달러 지원

자료: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인공지능) 2018년 미국 국방부(DoD) 산하 연구개발 조직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대한 20억 달러 투자 계획 'AI Next'를 발표했다.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은 기술 개발자들이 연방기관 데이터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술에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 강화(Accelerating America’s Leadership in Artificial Intelligence)’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AI Next의 중점 분야

분야

적용 대상

AI를 통한 업무자동화

복잡한 사이버공격에 대한 실시간 분석, 가짜 영상 또는 사진 탐지, 복수 표적 인식

AI 의존도 향상

공간 기반의 영상 및 사진 분석, 사이버공격 경고, 물자공급망 및 미생물학 시스템 관리

AI 보안 강화

머신러닝에 활용되는 데이터 보안 강화

AI 비효율성 제거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전력 효율화 알고리즘 구축

차세대 AI 개발

AI 시스템이 자신의 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수준 도달

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사이버보안) 백악관은 사이버보안 전략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연방정부가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강화와 기술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략 보고서에서 1) 미국 내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 안보 강화, 2) 강화된 사이버보안 환경에서 디지털경제와 기술혁신 증진, 3) 미국의 국제 평화와 국가안보 증진, 4) 국제 인터넷 환경과 기술에서 미국의 리더십 확대 등을 핵심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 바이든 행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산업 육성 정책을 발표한 바 없으나, 정부주도형 산업정책 추진과 적극적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경제 발전 추구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저탄소·친환경 산업을 차세대 경제동력으로 삼는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조업의 경우 정부구매·연구개발에 7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정부주도 산업정책 강조하고 있다. 또, 증세를 통한 대규모 친환경 인프라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핵심 이슈는 미국의 반도체 자립으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첨단 산업 경쟁자로 떠오른 중국 견제와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통한 미국 기술안보 강화 및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산업 육성 정책 방향

산업 분야

주요내용

제조업

- 오바마 정부의 혁신성장 기반 제조업 육성 정책 승계 유력

첨단산업

- 전기차, 첨단소재, 5G, 인공지능,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 연구개발 투자 및 고용 창출

- 4차 산업 노동자의 권익보호, 지역 간 투자 불평등 해소, 첨단 분야 노동교육 및 인재 육성 등 제안

의료/바이오

- 의료·바이오 관련 공급체인을 재검토 후 미국 내 생산 확대 추진

- 미국 공공의료 및 정부기관 구매력을 통한 미국 생산제품을 우대, 미국 의약품 수출 확대 목표

환경/에너지

- 100% 청정에너지 경제 실현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제로 목표 제시

-  파리기후 조약에 재가입하여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에서 미국의 리더십 회복 공언

- 향후 무역협정에서 파리기후협정 준수, 탄소배출 산업에 대한 지원 금지조항 포함. 화석연료에 대한 국제기구 금융지원 중단 등 제안

인프라

- 10년 간 1.3조 달러 인프라 투자로 경제성장, 중산층 재건, 기후변화 대응, 일석삼조 인프라 계획

자료: KOTRA 워싱턴 무역관 분석 자료 정리

 

 

자료: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백악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미국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