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 동향
  • 국별 주요산업
  • 러시아연방
  •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2020-12-22
  • 출처 : KOTRA

- 해양 강국 러시아, 조선기자재 산업 발전에 박차 -

- 유럽산 조선기자재 위주 공급선 다변화 등 수요 확대로 국내기업 진출 유망 - 




□ 일반현황


  o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 (세계 육지면적의 11.5%)를 가진 국가로 해양 면적은 750만 평방미터로 세계 해양 면적의 2.1%를 차지하는 전통적인 해양 강국

    - 2018년 기준 건조된 전체 러시아 선박의 총 중량은 약 30만 톤이며, 금액으로는 약 3조 4,000억원 규모

    - 정부 주도의 군사용 선박건조가 중심이나 최근 민간부문 육성 및 국내 선박건조 확대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민수용 선박의 건조중량은 2016년 14만5,000 톤에서 2017년 18만 2,350 톤으로, 2018년에는 약 20만 톤을 상회하면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o 러시아 정부는 "2015-2030 선박건조 분야 및 해상플랜트 기자재 발전 프로그램”을 통해 조선해양분야 발전의 추진동력을 실어주고 있음.

  - 정부는 선박 건조 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2018년의 총 지원 금액은 14조 5,000만 루블로 이를 통해 총 110 척의 선박을 건조함.

- 현재 러시아에서 생산하는 선박의 절대 다수를 점유하고 있는 조선사는 러시아 최대 국영 조선사인 USC JSC(러시아 조선통합공사)임.

  o 민수부분의 성장은 매년 건조중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취약한 수준으로 총 보유 선박 수는 2019년 기준 약 2,800척으로 추정되며 전체 보유 중량은 2,126만 톤임.

    - 민수 선박가운데 유조선이 537척, 총 중량 1,574만 톤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보유 중량이 높은 것은 벌크선과 어선 순서임.

    - 유조선의 보유량이 많은 것은 천연가스 등 원자재 수출비중이 높은 러시아의 경제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전체 민간선박의 약 74%에 달하고 있으나 컨테이너선의 보유량은 미미한 수준임.

    - 국제유가 회복 및 경기침체 탈피로 전반적으로 상품 수출입이 증가하면서 선박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로 유조선과 벌크선 모두 보유중량이 2018년에 비해 각각 2%, 3% 증가하였으며 민간 선박 총 중량도 2018년의 2,030만 톤에서 약 5% 증가함.

 

러시아 민간 선박 보유 수

(단위 : 척, %, 천 톤, %)

구분

선박 수 및 증감률

총 중량 및 증감률

2018

2019

2018

2019

유조선

558

537(-4%)

15,338

15,741(2%)

벌크선

606

581(-4%)

2,881

2,975(3%)

어선

984

948(-4%)

1,091

1,093(0%)

쇄빙선

36

36(0%)

16

119(3%)

예인선

377

374(-1%)

83

85(2%)

탐사선

76

67(-12%)

71

64(-10%)

보조선

29

28(-3%)

58

58(-1%)

여객선

47

40(-15%)

28

24(-15%)

기타

187

195(-4%)

534

1,018(108%)

합계

2,900

2,806(-3%)

20,300

21,267(5%)

자료 : Infoline

 

 □ 수입 동향


  ㅇ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은 예외사항이 많아 통일된 통계수치를 얻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어 대표 HS코드를 제시함.


러시아의 선박용 펌프 주요 수입 국가 (HS Code 8413.30 기준)

(단위 : 천 달러, %)

순위

수입국

규모

비중

증감률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18/19

전체

197,073

212,517

204,929

100.00

100.00

100.00

-3.57

1

중국

36,574

38,787

41,549

18.56

18.25

20.27

7.12

2

체코

34,421

37,399

27,111

17.47

17.60

13.23

-27.51

3

독일

25,540

26,185

23,426

12.96

12.32

11.43

-10.54

4

일본

12,043

14,631

17,911

6.11

6.88

8.74

22.42

5

한국

13,686

14,764

15,318

6.94

6.95

7.47

3.75

6

미국

13,889

10,352

11,663

7.05

4.87

5.69

12.66

7

벨라루스

7,708

7,138

9,185

3.91

3.36

4.48

28.67

8

오스트리아

1,618

6,887

8,956

0.82

3.24

4.37

30.05

9

스페인

6,666

8,472

8,588

3.38

3.99

4.19

1.37

10

이탈리아

10,023

8,378

7,380

5.09

3.94

3.60

-11.91

자료: World Trade Atlas


러시아의 선박이나 보트 추진기 블레이드 주요 수입 국가 (HS Code 8487.10 기준)

(단위 : 천 달러, %)

순위

수입국

규모

비중

증감률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18/19

 

전체

10,449

11,444

10,928

100.00

100.00

100.00

-4.51

1

이탈리아

110

152

2,998

1.05

1.33

27.44

1876.97

2

중국

2,332

1,068

2,755

22.31

9.33

25.21

158.06

3

노르웨이

1,550

1,528

1,449

14.83

13.35

13.26

-5.14

4

대만

1,406

1,214

1,051

13.46

10.61

9.62

-13.46

5

덴마크

-

-

671

-

-

6.14

-

6

미국

482

548

510

4.62

4.79

4.67

-6.86

7

일본

390

427

474

3.73

3.73

4.34

11.07

8

슬로베니아

-

-

330

-

-

3.02

-

9

한국

371

335

280

3.55

2.92

2.56

-16.33

10

스페인

-

-

119

 

-

1.09

-

자료: World Trade Atlas


 

□ 주요 제품 시장 동향


  ㅇ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선박평형수 안의 수중생물과 미생물 등을 제거, 살균하는 기술

    - 대형 선박들은 벨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워 배가 어느 정도 물속에 잠기도록 해 운항을 하며 약 10만톤의 평형수가 필요

    - 평형수 배출에 대한 오염을 막는 기술로 전기분해, 오존분사, 자외선투사(UV), 화학약품처리 방식 등을 사용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시장은 IMO 규제등에 힘입어 2022년까지 시장규모가 약 1,18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IMO의 이러한 규제에 따라 러시아 정부에서는 이로 인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설치가 필요한 선박이 약 2,000대로 파악

    - 다만 선박 내에 평형수 처리장치 설치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기존 배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선박 정박 후 평형수를 외부에서 처리하는 컨테이너형 처리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여러 처리방법에 따라 약 70여개의 표준형식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현재 총 20여개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제조업체가 러시아 선급(RS)에 등록되어 있음

  ㅇ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경쟁 동향

    - 시장에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며 Hyde Guardian(미국), Alfa Laval(스웨덴) 등 제품이 대중적임

    - 러시아 United Shipbuilding Corporation (USC)의 경우, 현재 건조중인 모든 선박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Alfa Laval(스웨덴), Wartsila(핀란드), Hyde Marine(미국), Marcon-West(러시아) 제품을 언급

- 국내기업의 경우에는 Panasia, 한라IMS, 테크로스 등이 현지 조선기자재 에이전트와 협업하여 관련 제품 납품 중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선박교체를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 실행

- 전통적인 해양국가로 관련 잠재력 높음

- 정부차원의 투자 부족

- 관련 기술 개발의 불확실성

Opportunities

Threats

- 선박 노령화로 기자재 수요 확대

- 유럽산 기자재 공급 어려움에 따른 국내기업 진출기회 증가

- 환율 등 경제관련 리스크

- 제재 등 정치 리스크

- 유럽과 미국 기술 선호

 

□ 유망분야


  ㅇ 일부 한국 업체들은 러시아 조선소 Maker's List에 등록되어 현지 파트너를 통해 기자재를 공급하고 있음

    - 현지 조달 시장 등에 진출하려면 현지 법인이 필수적이므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업이 필수적

    - 또한 현지화 비율을 높이면 보조금을 주는 러시아 조선기자재 육성산업의 특성상 관련해서 현지 JV 설립 등 투자가 이루어지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ㅇ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은 현지 신조선박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 노후 선박 교체 및 Retrofit, 러시아 정부의 보조금 지급 등 다양한 육성 정책이 시행되고 있어 신규 기자재에 대한 구매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산 기자재 공급선 변동으로 국내 관련기업의 시장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 Infoline, USC,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조선기자재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