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TL과 시노펙, 배터리 교환소 1만 개소 구축 위해 협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4-10
- 출처 : KOTRA
-
o 중국 배터리 기업 CATL과 에너지 기업 시노펙이 산업·자본 협력 계약을 체결(4.2.)하여 올해 500개 이상의 배터리 교환소 건설을 시작으로 장기적으로는 1만 개소까지 확대할 계획임
- 시노펙은 중국 전역에 3만 개의 통합 에너지 스테이션과 1만 개 이상의 초고속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CATL은 중국의 주요 승용차 및 트럭 생산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음
-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활용해 배터리 교환 생태계 개발을 가속화하고 운영을 표준화하고자 함
출처: 로이터(4.2.)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4월 1주)
비철금속
美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위험자산 가격하락에 따른 동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4년
’25.1~3월
전년비(%)
3.4주
4.1주
전주비(%)
동
9,147
9,340
2.1
9,885
9,440
△4.5
니켈
16,812
15,571
△7.4
15,971
15,612
△2.2
아연
2,779
2,838
2.1
2,914
2,759
△5.3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o (동) 美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글로벌 관세 갈등 우려 확산으로 위험자산 가격 전반에 하방 압력이 발생하면서 전기동 하격 하락세
o (니켈) 글로벌 관세전쟁 우려에 따른 경기둔화 및 미국의 철강제품 관세부과 시행 따른 원재료 수요둔화 전망으로 가격 하방압력 발생
철강
中 제조업 경기개선 및 조강생산 확대로 철광석 가격 ↑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4년
’25.1~3월
전년비(%)
3.4주
4.1주
전주비(%)
연료탄
136.43
110.05
△19.3
100.75
101.60
0.8
원료탄
240.90
184.54
△23.4
169.15
170.58
0.8
철광석
109.89
103.44
△5.9
103.28
104.52
1.0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o (유연탄) 유가하락에도 불구하고 中 제조업 개선에 따른 수요 확대 전망 및 주요 석탄광산의 감산 결정에 따른 가격 소폭 상승
o (철광석) 中 제조업 PMI 경기지표 개선 및 건설시즌 진입으로 조강생산이 재개되면서 가격 소폭 상승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4월 1주)
희소금속
中 기업 배터리 교환소 구축으로 탄산리튬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4년
’25.1~3월
전년비(%)
3.4주
4.1주
전주비(%)
페로망간
1,201
1,123
△6.5
1,080
1,080
-
탄산리튬
12,526
10,311
△17.7
10,104
10,124
0.2
수산화리튬
11,398
9,619
△15.6
9,485
9,406
△0.8
코발트
(U$/lb)
16.25
15.31
△5.8
19.50
19.50
-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257,362
231,589
△10.0
228,700
229,750
0.5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55,864
60,463
8.6
62,810
62,788
△0.04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o (탄산리튬) 中 최대 배터리생산업체 CATL社 및 국영 정유업체 Sinopec社의 자국 내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 구축* 협력 발표(4.2일)로 전방산업의 수요가 개선되어 탄산리튬 가격 소폭 상승
* ’25년 연내 500곳 이상, 장기적으로 10,000곳의 배터리 교환소 구축 예정
에너지
러시아 석유 수출통제 및 美의 러시아·이란 제재 위협으로 유가 ↑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4년
’25년
전년비(U$/bbl)
3.4주
4.1주
전주비(U$/bbl)
두바이유
79.58
76.78
△2.80
74.70
75.73
1.03
브렌트유
79.86
74.76
△5.10
73.49
73.58
0.08
WTI
75.76
71.21
△4.55
69.41
70.33
0.93
o (원유) 러시아 석유 수출통제 소식과 美 트럼프 행정부의 러시아·이란 제재 위협으로 유가 상승
- 금주 초 러시아가 수출항 2곳의 접안 시설을 불시 점검 명분으로 폐쇄한다고 발표하였으며, 트럼프 행정부가 3.30일 러시아·이란産 석유 수입국의 全 對美 수출 품목에 관세부과 가능성 제기로 단기 공급 차질 우려
* 단, 4.3일 OPEC+ 내 주요 8개국은 화상 회의를 통해 5월의 증산 규모를 당초 수준보다 확대한다고 발표하며 공급 차질 우려 불식
-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4.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세계 경기둔화 우려가 심화되어 석유 수요가 약화됨에 따라 유가 상승폭이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