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재·부품·장비 품목 심층분석 - 텅스텐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3-13
- 출처 : KOTRA
-
o 텅스텐 품목 개요
- 원자번호 74에 해당하는 금속으로, 금속 중 녹는점(3,400℃)이 가장 높고 인장강도, 내식성이 좋으며, 단단하고 안정적인 원소로 주로 초경합금, 고속도강 등에 사용
- 매장량 및 생산량이 중국에 편재되어 있어 중국의 공급이슈 및 정책과 세계경제 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
o 텅스텐 가치사슬
- 텅스텐의 가치사슬 구조는 채광, 제련·정제, 가공, 최종 사용, 재활용으로 구성됨
[그림 1] 텅스텐 가치사슬 구조
o 텅스텐 산업 동향
- 텅스텐은 높은 용융점과 내식성을 가져 전자기기 산업에서 필수 소재로 사용되며, 특히 반도체, 스마트폰, 스마트가전의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이들 제품에 필요한 텅스텐 광석 및 정광의 수요도 꾸준히 확대될 전망임
- 텅스텐은 우수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춰 기계공업에서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며, 이러한 산업 확장에 따라 텅스텐 수요도 증가할 전망임
- 고성능 컴퓨팅, 자동차, 전기차,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수요가 높아지며 인쇄회로기판(PCB)시장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으로, 이러한 전자기기 산업의 성장은 주요 부품 소재로 사용되는 텅스텐 금속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글로벌 촉매 시장은 합성수지 및 합성섬유 등 석유화학제품 생산의 확대로 필수 촉매 시장의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됨
o 텅스텐 매장량/생산량 현황
- 주요 텅스텐 매장국은 중국(230만톤, 52.2%), 호주(57만톤, 10.5%), 러시아(40만톤, 9.1%) 순으로 나타남
- 주요 텅스텐 생산량은 중국(63,000톤, 80.9%), 베트남(3,500톤, 4.5%), 러시아(2,000톤, 2.6%) 순으로 나타남
[그림 2] 텅스텐 생산량/매장량 현황
2023 국가별 텅스텐 매장량(추정)
2023 국가별 텅스텐 생산량(추정)
o 국내 수출액 추이 ('20~24년)
- '24년 산화텅스텐 수출액은 1,981천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25.3% 감소
[표 1] 수출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천 달러)
1,292
3,779
3,081
2,651
1,984
o 국내 수입액 추이 ('20~24년)
- '24년 산화텅스텐의 수입액은 74,908천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22.8% 감소
[표 2] 수입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천 달러)
61,891
85,049
100,479
97,069
74,908
o 텅스텐 생산·기술개발 현황
- 중국은 전 세계 텅스텐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수출 제한 및 생산 조절 정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음- Global Tungsten & Powders(미국), HC Starck(독일) 등 주요 기업들은 텅스텐 분말과 고순도 텅스텐 소재를 생산하며, 전자, 항공우주, 방위산업 등에 공급함 텅스텐 기반의 고성능 합금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특히 텅스텐-구리(W-Cu), 텅스텐-니켈-철 (W-Ni-Fe) 합금은 고열전도성과 높은 밀도를 갖춰 전자 및 방위산업에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텅스텐의 고온 산화 저항성을 개선하는 나노코팅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항공우주 및 플라즈마 산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짐
- 최근 텅스텐의 친환경적 가공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저온 소결 공정과 폐기물 재활용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텅스텐의 지속 가능한 생산과 활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출처 및 참고자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24 GVC 산업분석 보고서 및 GIVC 시스템
한국무역협회, 글로벌 무역통계 서비스(K-STAT)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언론, 보도자료 및 기업 홈페이지 정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