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자니아, 5월에 석유 탐사 허가 라운드 시작 예정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3-13
- 출처 : KOTRA
-
o 탄자니아 정부는 5번째 석유 및 가스 라이센싱 라운드*를 오는 5월 개시할 것이며, 이번 라운드에서 탄화수소 부문에 대한 신규 투자를 유치할 예정임을 발표
* 라이센싱 라운드란 정부 기관이 임대가능한 탐사면적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 해당 라운드는 탄자니아에서 10년 만에 실시되는 것으로, 과거 탐사로 16.1조 리터 이상의 천연가스 매장량이 발견되었으며, 탄자니아는 이를 활용하여 전력의 절반 이상을 생산 중
-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은 6월까지 투자자들과 420억 달러 규모의 LNG 프로젝트에 대한 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로이터(3.7.)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3월 1주)
비철금속
中 경기부양책 및 美 관세부과에 따른 동 가격↑, 주요 생산국 감산 전망에 니켈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4년
’25.1~2월
전년비(%)
2.4주
3.1주
전주비(%)
동
9,147
9,513
0.1
9,447
9,523
0.8
니켈
16,812
15,327
△8.8
15,408
15,815
2.6
아연
2,779
2,812
1.2
2,796
2,834
1.4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o (동) ▲中의 확장적 재정정책 및 통화정책 추진, ▲달러가치 하락으로 인한 투자수요 개선, ▲美 동 관세부과 결정에 따른 선제적 수요발생 등으로 전기 동 가격 상승압력 발생
o (니켈) 中 경기부양책 추진에 따른 유동성 확대 기대 및 인니·필리핀 감산전망으로 니켈가격 상승압력
철강
미국發 관세리스크 지속 및 중국 조강생산 감축우려로 철광석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4년
’25.1~2월
전년비(%)
2.4주
3.1주
전주비(%)
연료탄
136.43
112.85
△17.3
101.12
104.81
3.6
원료탄
240.90
190.25
△21.0
187.40
184.20
△1.7
철광석
109.89
104.11
△5.3
106.15
100.98
△4.9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o (유연탄) 국제유가 2주 연속 하락 및 中 경기부진 지속에 따른 가격 하방압력 발생
o (철광석) 中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美-中 무역갈등 지속, ▲美 철강 추가관세 부과, ▲中 조강생산 감축 전망으로 가격 하방압력 발생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3월 1주)
희소금속
공급 증가 및 계절적 수요둔화로 탄산리튬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4년
’25.1~2월
전년비(%)
2.4주
3.1주
전주비(%)
페로망간
1,201
1,130
△5.9
1,140
1,130
△0.9
탄산리튬
12,526
10,361
△17.3
10,307
10,247
△0.6
수산화리튬
11,398
9,654
△15.3
9,715
9,603
△1.2
코발트
(U$/lb)
16.25
14.10
△13.3
14.00
14.05
0.4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257,362
230,786
△10.3
236,700
234,700
△0.8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55,864
58,974
5.9
63,600
62,640
△1.5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o (탄산리튬) 칠레·아르헨티나를 중심으로 공급 지속 증가 및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부과에 대응하여 캐나다 온타리오주 소재 PAK Lithium 프로젝트* 재정 지원계획 발표 등 공급 증가
* 동 프로젝트는 배터리 광물·소재의 생산 확대를 위해 Frontier Lithium社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에너지
OPEC+ 증산 결정 및 美 대러제재 완화 가능성 제기로 유가↓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4년
’25년
전년비(U$/bbl)
2.4주
3.1주
전주비(U$/bbl)
두바이유
79.58
78.13
△1.45
76.93
71.33
△5.60
브렌트유
79.86
75.91
△3.94
73.51
70.36
△3.16
WTI
75.76
72.44
△3.31
69.67
67.33
△2.35
* 자료원: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o (원유) OPEC+가 4월부터 증산 결정을 내리면서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함
- 美 에너지정보청(EIA)이 2.28일 기준 주간 상업 원유 재고가 4.3만 배럴로 전주 대비 361만 배럴 증가했다고 발표하여 공급과잉 우려 심화
- 또한, 로이터는 백악관에서 美 재무부와 국무부에 미국과 러시아 관계 개선을 위해 해제 가능한 제재 목록 작성을 지시하였다고 보도하며 미국의 대러제재 완화 가능성을 제기
* 에너지 부문의 제재가 완화될 시, 시장 內 러시아 원유 공급 물량이 증가할 가능성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