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제리의 나프타 공급망 동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고태우
- 기업명 :
- 2024-11-21
- 출처 : KOTRA
-
o 알제리의 정유산업 구성
-알제리의 석유·가스 산업은 수출의 약 90%, 재정의 약 65%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또한 알제리는 5개 지역에 정유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연간 처리능력은 약 3,070만 톤에 달한다. 5개 지역 중 스킥다에 위치한 RA1K단지와 RA2K단지가 주요 생산시설로서 기능하고
있다. 알제리의 정유시설 처리능력은 지속 증가하고 있는데 ’14년 약 2,462만 톤 규모에서 ’18년 약 2,700만 톤을 거쳐 ’23년 3,070만 톤 규모에 달했다. 정유제품의 약 52%는 국내에서 소비되며 나머지 48%가 수출되고 있다. 아울러 알제리 정유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표 1] 알제리의 주요 정유시설 현황 (단위: 톤)
연번
단지명
소재지
처리능력(연간)
1
RA1G
알제(Alger)
3,645,000
2
RHMD2
하시메사우드(Hassi-Messaoud)
1,110,000
3
RA1D
아드라(Adrar)
600,000
4
CPIZ
알쥬(Arzew)
152,000
5
RA1Z
알쥬(Arzew)
3,750,000
6
RA1K
스킥다(Skikda)
16,500,000
7
RA2K
스킥다(Skikda)
5,000,000
8
CP2K
스킥다(Skikda)
130,000
[자료원] 소나트랙(Sonatrach, 알제리 국영석유기업) 연례보고서
o 알제리의 나프타 생산 개황
- 나프타는 원유를 증류할 때, 35~220°C의 끓는점 범위에서 유출되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며 석유화학공업의 원료로 사용된다.
나프타를 분해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등의 원료를 생산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종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등을
제작할 수 있다. 알제리의 경우, 알제리 북동부 스킥다에 위치한 RA2K단지에서 나프타를 생산 중이다. 연 생산능력은 400만 톤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동 단지의 전체 생산능력 중 약 83%에 해당한다.
o 알제리의 나프타 수출 및 가격 동향
- 알제리의 경우 ’18년 이후 무역통계를 발표하고 있지 않아 무역 현황을 파악하기 힘들다. 다만 무역데이터 기업인 OEC에 따르면
알제리는 ’22년 86억 2,435만 달러의 나프타를 수출하였으며 한국은 ’21년에 이어 ’22년에도 알제리의 최대 나프타 수출대상국
위치를 차지하였다. 한국 외에도 미국, 독일, 싱가포르 등으로의 수출이 활발한 편이다.
[표 2] ’21~’22년 알제리 나프타 수출대상국 및 수출금액 (단위: 달러)
언변
국가명
’21년 수출액
’22년 수출액
1
한국
1,143,147,334
2,207,333,278
2
미국
841,486,001
1,880,970,055
3
독일
333,099,180
739,362,999
4
싱가포르
946,672,639
708,349,076
5
중국
705,732,361
595,435,256
6
네덜란드
178,055,489
433,680,090
7
일본
271,256,330
398,805,248
8
스페인
229,832,685
300,461,290
9
프랑스
575,686,117
247,257,077
10
이탈리아
64,024,256
201,088,401
총계
6,409,737,206
8,624,354,180
[자료원] OEC
- 나프타의 국제가격은 코로나19 사태 전인 ’19년에만 해도 톤당 526.38달러에 불과하였으나 ’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785.71달러로 급등하였으며 ’24년에도 68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표 3] ’19~’24년 나프타 등 석유화학 원자재 가격 동향 (단위: 달러)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4.1분기
’24.2분기
원유(두바이유 기준)
63.59
41.42
69.26
96.90
82.00
81.55
85.56
나프타
526.38
372.65
647.94
785.71
646.31
681.20
687.21
에틸렌
891.87
700.81
1,046.67
1,007.62
841.82
918.25
872.50
프로필렌
915.31
791.36
1,041.75
995.00
858.78
842.58
854.33
HDPE
911.96
791.19
1,062.63
1,009.44
891.33
898.08
911.00
PP
1,029.65
870.56
1,139.40
1,036.31
879.26
873.00
916.17
[자료원] e-나라지표, 한국석유화학협회(KPIA
o 對韓 교역 동향
- 나프타는 우리나라의 對알제리 교역에 있어 ’19년 이후 부동의 제1위 수입품목이며 ’23년에는 22억 2,324만 달러를 수입하였고,
’24년에는 8월까지 15억 9,401만 달러를 수입하여 전년 동기 대비 28.5% 증가하였다. ’21년까지 수입액이 10억 달러 규모였으나
’22년 이후 20억 달러 이상의 수입이 이뤄지고 있다.
[표 4] ’20~’24년 한국의 對알제리 주요 원자재 수입액 동향 (단위: 천 달러)
MTI 코드
품목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8월)
1334
나프타
476,439
1,273,321
2,492,228
2,223,235
1,594,014
1310
원유
423,432
611,656
827,905
767,753
788,504
1340
천연가스
-
-
38,330
159,807
-
[자료원] 무역협회
- 중량 기준으로 봐도 ’18년 126만 톤 수입에서 ’23년 326만 톤 수입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24년에는 8 월까지 224만 톤을 수입하여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하였다
[표 5] ’19~’24년 對알제리 나프타 수입 중량 변화추이(단위: 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8월)
2,394,151
1,089,863
2,042,098
3,112,817
3,261,077
2,241,040
[자료원] 무역협회
- ’24년 1~8월 기간 중, 한국은 아랍에미리트, 알제리를 비롯해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 인도 등지에서 나프타를 조달하였다. 알제리는
’23년과 ’24년(1~8월) 한국의 나프타 수입국 2위를 차지하였으며 ’22년에는 인도에 이어 3위 자리를 차지한 바 있다. ’21년에는
러시아가 한국의 나프타 수입국 1위였으나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의 여파로 ’23년 이후에는 러시아發 수입이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러한 변화의 여파로 알제리, 쿠웨이트, 오만, 나이지리아 등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이기도 하다.
o 생산 및 수출규제
- 알제리는 관련 규정(Decree No.21-320)으로 나프타 등 정유산업을 관리하고 있는데 동 규정에 따르면 정유산업은 국영석유기업인
소나트랙(Sonatrach) 혹은 소나트랙과 연관된 기업만이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수출 시 알제리 관세청에 고객사명, 공급가, 물량,
인보이스, 물류정보 등을 사전에 신고해야 한다. 한편 FTA가 체결된 EU, 중동, 아프리카 등의 지역으로 수출할 경우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아서 진행하게 된다
o 관련 정책
- 알제리는 몇 년 전부터 외국 투자기업이 최대 49%까지만 투자할 수 있는 '49/51 Rule'을 폐지하여 일반적인 분야의 경우 100% 투자가
가능해졌다. 다만 석유산업 등 전략산업에 대해서는 예외로 하고 있으므로 나프타 생산을 포함한 정유사업 투자 시에는 여전히 최대
49%까지의 투자만 가능하다. 알제리가 지정한 전략산업은 광물산업, 석유·가스의 개발 및 전력송배전을 포함하는 에너지 산업,
방위산업, 기간산업 (철도, 항만, 공항), 제약산업(일부 혁신적 투자는 허용) 등을 의미한다.
[그림 1] 소나트랙의 주요 생산 및 공급 네트워크
[자료원] 소나트랙(Sonatrach) 웹사이트 * 청색 원 표시 구역이 나프타 생산 지역
o 시사점
- 알제리는 나프타를 주요 수출품목으로 육성하는 한편, 자국 석유화학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계획하고 있다. 소나트랙은 110억 달러를
투자하여 석유화학 및 정유시설을 개선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기존 제품인 나프타, 에탄 등을 활용해 에틸렌 등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3년 소나트랙은 중국국영 화학건설사 CC7과 MOU를 체결하고 스킥다에서 생산하는 나프타와 GL1K에서
생산하는 에탄을 활용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개시하였다. 알제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나프타 공급을 확대하여 ’23년 이후 우리나라의 나프타 조달 대상 2위 국가가 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최근 중동지역 내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며 물류 여건 등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출처: Sonatrach, OEC, 알제리 정부 웹사이트, 무역협회 등 KOTRA 알제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