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상무부, 첨단 기술 수출통제 규정 발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미국
  • 고태우
  • 기업명 :
  • 2024-09-12
  • 출처 : KOTRA


9.5(현지시간) 산업안보국(BIS)양자 컴퓨팅 관련 장비·부품,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 성능 컴퓨팅 기술, 3D 프린팅 기술·소프트웨어 대상 임시최종규정(IFR)을 발표

- 미국과 유사한 수출통제 체계를 갖춘 국가는 정부의 별도 허가 없이 수출할 수 있는 제도(IEC)를 신설하여 파트너국과의 국제협력 강조

- 9.6일 관보 게시 즉시 발효되며, 60일간 의견 수렴 진행(’24.11.5일까지)


첨단 기술 수출통제 개요



개 요

국가 안보와 관계된 양자·차세대 반도체 수출 통제 규정

품 목

4개 분야 24개 품목군

(양자컴퓨팅) 양자 컴퓨터·관련 장비·구성 요소·소재·소프트웨어·양자 컴퓨팅 개발·관리 기술 등

- (첨단 반도체)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장비·기계

- (GAAFET*) 슈퍼컴퓨터고성능 컴퓨팅 반도체 생산 및 개발 기술

* Gate All-Around Field-Effect Transistor(GAAFET) Technology

- (적층제조) 금속 및 합금 구성품을 생산토록 설계된 장비·구성 요소·3D 프린팅 등 관련 기술

  내 용

수출목적국을 허가 면제, 승인추정, 거부 추정 등으로 분류해 수출 통제 차등 적용

 분 류

                       적용 대상

                           내 용

허가 면제

미국·이탈리아·호주·영국

캐나다·프랑스·독일·일본·스페인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수출통제를 시행 중인 국가를 대상으로 통제 대상 품목 수출 시 수출허가 면제(Implemented Export Controls, IEC) 적용

승인 추정

국가 그룹 A:1·A:5·A:6에 포함된 41개국

동 그룹에 포함된 41개국은 승인 추정(Presumption of Approval)을 적용, 한국은 A:1, A:5 그룹에 포함되어 수출 승인 원칙

       거부추

국가 그룹 D:1D:5에 포함된 중국·이란·북한·러시아 등 38개국

동 그룹에 포함된 38개국은 거부 추정(Presumption of Denial)을 적용, 수출 불허가 원칙



핵심 키워드


수출통제

첨단반도체



출처: 상무부 BIS 보도자료(’24.09.05), 워싱턴 경제통상 브리핑 24-66(’24.09.10) 등 언론보도 KOTRA 워싱턴무역관 종합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