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크로아티아] 경제 성장의 현실- 경제 구조적 문제와 한계
  • 단신 속보뉴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윤태웅
  • 2025-01-06
  • 출처 : KOTRA

EU 자금의 '허니문' 기간은 2~3년 더 지속, 생산성 하락 경고

□ 크로아티아 경제 성장의 현실

   ㅇ EU 자금의 '허니문' 기간은 2~3년 더 지속, 생산성 하락 경고

       - 2024년 GDP 성장률이 3.6~3.7%로 유로존 평균을 상회했지만 생산성은 1.6~1.7% 감소

       - EU 자금의 유입과 유로 도입 과정에서의 합법적 자금 증가가 높은 수요를 촉진했으나

       -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일시적 요인

   ㅇ 경제 구조적 문제와 한계

       - EU 자금은 낮은 생산성 일자리 창출과 건설, 컨설팅 서비스 성장에 집중

       - 산업 생산과 농업은 부진, 관광업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함

       - 기술 혁신 부족: 자동화와 인공지능 적용 부족으로 산업적 진보 저조

   ㅇ EU 자금 유입과 지속 가능성

       - EU 자금이 GDP의 약 3.5%에 해당, 성장의 주요 동력

       - 자금 사용의 방향성에 따라 미래 경제 구조와 지속 가능성이 결정될 전망

       -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사례에서 유럽 자금 사용의 성공과 실패를 참고해야 함

   ㅇ 신용등급 상승과 그 효과

       - 신용등급 상승은 국가의 위험 인식 감소와 대출 비용 하락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 실질적인 대출 이자율 하락은 제한적

       - 신용등급 상승은 국가의 재정 능력을 요약적으로 반영

       - 유로존 가입과 유로 프리미엄 효과로 통화 위험 감소 및 규제 비용 절감

   ㅇ 미래 경제 성장의 과제

       - 지속 가능한 성장 달성을 위해 법적 안정성, 교육 시스템 품질, 행정 효율성, 주택 가용성 등 전반적인 국가 환경 개선 필요

       - 표면적인 성장률만으로는 시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에 충분하지 않음


*Link to original article:  Our 'honeymoon' with EU money will last another 2-3 years. And so be careful, because productivity is falling... - Business Daily 2025.01.05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