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크로아티아] 전체 기업 중 15%가 수출, 민간부문 51% 고용
  • 단신 속보뉴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윤태웅
  • 2024-11-27
  • 출처 : KOTRA

전체 투자액의 62%, 개발 투자액의 73% 차지

□ 크로아티아, 전체 기업 중 15%가 수출, 민간부문 고용은 51% 상회
   ㅇ 약 15%의 기업만이 수출을 하고 있으나, 이 기업들은 민간 부문 노동자의 51%를 고용

       - 해당 기업들은 전체 투자액의 62%를 차지하며, 개발 투자액의 73%를 차지

       - 2023년 크로아티아의 수출은 약 230억 유로, 어려운 지정학적 상황 속에서도 큰 성과

       - 주요 산업으로 제조업, 전체 수출의 약 40%를 차지, 크로아티아 경제 성장 및 경쟁력에 중요한 역할 수행
       - 신규 수출 기업 중 약 1/3만이 국제 시장에서 첫 5년간 생존

       - 생존한 기업 중 20-40%는 몇 년 내 상당한 성장을 기록

       - 현지 시장 이해 부족, 법적 장애물, 자원 부족 등이 주요 도전 과제

    ㅇ 경제부,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쟁력 및 결속' 프로그램 시행 중

       - 2014-2020년 동안 약 4319만 유로의 국제화 자금을 지원

       - 총 1,018개의 계약 체결, 총 가치 6020만 유로

       - 2021-2027년 기간 동안 수출 잠재력 강화를 위해 4970만 유로를 배정
       - 크로아티아의 국제화 기회는 그린 및 디지털 전환에 있음

       - 기술 발전과 디지털화가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을 가능, 인프라 개발 및 고학력 인력이 뒷받침

    ㅇ 대표적인 수출 기업 사례 : Cromaris

       - 주요 백색어류 및 유기농 어류 생산 기업으로, 수익의 88%가 해외 시장에서 발생

       - 주요 수출 시장: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 이스라엘, UAE, 캐나다, 미국으로의 확장을 고려 중이나 물류 및 행정적 장애물 존재
       - UNIBO와 협력해 CO2 배출을 줄이는 하이브리드 선박 모델 개발 중

    ㅇ EU와 크로아티아의 경제 정책

       - EU는 경제 정책의 중심에 경쟁력을 두고 있으며, 그린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 전략적 투자 지속 계획

       - 크로아티아의 지정학적 위치는 주요 시장으로의 신속한 운송을 가능하게 하고, 근거리 아웃소싱 기회는 수출 증대에 기여
       - 스웨덴의 '트리플 헬릭스 모델'을 예시로, 정부, 기업, 학계의 협력으로 국제화와 경쟁력 강화 추진

     ㅇ 서비스 및 상품 수출의 중요성

       - 2023년 크로아티아의 서비스 수출 증가, 특히 관광을 통한 경제 성장에 기여

       - 서비스 수출액은 약 160억 유로로, 2020년 대비 3배 증가

       - 관광 외에도 IT, 금융, 운송 서비스의 중요성 증가
       - 상품 교역에서 크로아티아의 주요 시장은 EU 지역으로, 2023년 전체 수출의 68%, 수입의 77% 차지

       - 이탈리아가 최대 교역 파트너이며,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미국, 세르비아 등 비EU 국가로의 수출도 중요 


기사원문 링크: Only 15 percent of Croatian companies export, but they employ 51 percent of the private sector (2024.11.26)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