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크로아티아] 2024년 수출입(교역) 현황 *통계청
  • 단신 속보뉴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윤태웅
  • 2024-08-11
  • 출처 : KOTRA

수출 239억 유로 , 수입 418억 유로, 178억 유로 적자(전년 166억)

□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수출 증가, 그러나 수입 증가 더 빨라

    ㅇ 2024년 총 수출액 240억 유로, 전년 대비 4.8% 증가

        - 수입은 419억 유로로 5.8% 증가

    ㅇ 2025년 1월 크로아티아의 상품 수출은 19억 유로로 전년 동월 대비 9% 증가

        - 수입은 33억 유로로 9.6% 증가

        - 무역 적자는 14억 유로, 수입 대비 수출의 비율은 58.1%

        - EU 회원국으로의 1월 수출은 12억 6000만 유로로 7.3% 증가

        - EU 비회원국으로의 수출은 12.5% 증가하여 거의 6억 29만 유로 기록


□ [크로아티아] 2024년 수출 약 239.4억 유로 2023년 대비 4.6% 증가함
  ㅇ 최종 약 241.1억 유로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
      - 2024년과 2022년의 수출액 차이는 약 1.14억 유로에 불과

          - EU 시장: 수출은 전년 대비 0.4% 증가

          - 제3시장: 수출은 13.4% 증가, 미국에서는 11개월 기준 약 21억 유로) 증가,

            BiH에서는 약 25억 유로로 17% 상승
      - 독일: 2024년 11개월 기준 약 26.5억 유로로 소폭 증가(1.3% 상승),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 자리매김
  ㅇ 2024년 수입은 약 417.6억 유로로 5.4% 증가

          - 2022년 기록과 약 1.0억 유로 차이
  ㅇ 전체 무역 적자는 2024년에 약 178.2억 유로

          - 2022년  177.6억 유로와 거의 동일


□ 2024년 크로아티아 수출 증가, 그러나 무역적자 심화

   ㅇ 2024년 크로아티아의 총 상품 수출액은 239억 유로로 전년 대비 4.6% 증가
       - 수입은 418억 유로로 5.4% 증가하며, 무역적자가 178억 유로로 확대(약 12억 유로 증가)

       - 비EU 국가로의 수출 증가(13%) → 총 83억 유로 기록
       - EU 국가로의 수출은 156억 유로로 사실상 정체(전년 대비 0.4% 증가)
       - 독일(26.5억 유로, 1.3% 증가), 이탈리아(24.9억 유로, 2.4% 감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4.7억 유로, 17% 증가), 슬로베니아(20억 유로 이상)

   ㅇ 산업별 수출 동향
       - 석유 제품(+21%), 자동차 산업 관련 제품(+20.7%), 제약 제품(+13.8%) 등 두 자릿수 성장
       - 반면, 가구·선박(-26%), 전기 및 가스 수출(-26%) 등 일부 산업에서 큰 폭의 감소

   ㅇ 무역적자 증가 원인
      - 식품 수출은 전년과 비슷한 18.4억 유로, 그러나 수입이 9% 증가하며 38.6억 유로 기록

        → 식품 무역적자 20억 유로(전년 대비 3억 유로 증가)
     - 제조업 부문에서 수입 증가율(6.8%)이 수출 증가율(3.4%)보다 높음

   ㅇ 수출 증가 전망과 불확실성
       - 2025년에는 외부 수요가 다소 회복될 가능성 있으나, 지정학적 긴장과 보호무역주의 조치의 영향이 변수


□ 2024년 크로아티아 수출·수입 현황
   ㅇ 통계청(CBS), 2024년 총 상품 수출 239억 유로(전년 대비 4.6% 증가), 수입 418억 유로(전년 대비 5.4% 증가) 발표
       -  무역적자는 178억 유로로 전년(166억 유로)보다 확대되었으며, 수출입 비율은 57.3%로 감소(2023년 57.8%)

   ㅇ EU 회원국 대상 교역 현황
       - EU 회원국으로의 수출 156억 유로(전년 대비 0.4% 증가)
       - EU 회원국으로부터의 수입 326억 유로(전년 대비 7% 증가)

   ㅇ 비EU 국가 대상 교역 현황

       - 비EU 국가로의 수출 83억 유로(전년 대비 13.4% 증가)
       - 비EU 국가로부터의 수입 92억 유로(전년 대비 0.2% 증가)

   ㅇ 2024년 1~11월 누적 교역 데이터(수정본)
       - 수출 219억 유로(전년 대비 3.9% 증가), 수입 386억 유로(전년 대비 5.4% 증가)
       - 무역적자는 167억 유로, 수출입 비율은 56.8%


□ 2024년 크로아티아 수출 시장,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미국, 슬로바키아가 주도

   ㅇ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크로아티아 수출 실적

       - 총 수출액 217억 90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억 유로 증가

       - 증가분은 대부분 EU 외 국가에서 발생, EU 시장 수출은 정체

       - 수입은 385억 유로로 전년 대비 7.4% 증가

   ㅇ 주요 수출 시장 및 성장률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수출 2억 6000만 유로 증가, 총 22억 6천만 유로

       - 미국: 2억 유로 증가, 총 6억 5800만 유로

       - 슬로바키아: 2배 증가, 4억 4400만 유로 도달

       - 독일 및 슬로베니아: 각각 1~2% 증가

       - 이탈리아: 2.4% 감소

       - 오스트리아: 3.7% 감소

       - 헝가리: 4.3% 감소

   ㅇ 크로아티아의 수입 동향

       - 식품 수입이 전체 수입의 10%로 가장 높은 비중 차지

       - 석유 제품, 기계 및 장비, 화학제품 수입액 약 25억 유로

       - 선박 및 철도 차량 수입이 57% 증가, 11억 3000만 유로에 도달

       - 같은 품목의 수출은 30% 감소, 5억 5400만 유로 기록


□ 2024년 1~11월 크로아티아 수출입 동향

   ㅇ 수출입 실적

       - 수출: 218억 유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 수입: 385억 유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

       - 무역수지 적자: 167억 유로

       - 수출입 커버리지 비율: 56.6% (2023년 57.6%에서 감소)

  ㅇ EU 회원국과의 교역

      - EU로의 수출: 143억 유로 (0.2% 감소)

      - EU로부터의 수입: 302억 유로 (7.4% 증가)

  ㅇ 비EU 국가와의 교역

      - 비EU 국가로의 수출: 74억 유로 (10.8% 증가)

      - 비EU 국가로부터의 수입: 83억 유로 (2.5% 감소)

  ㅇ 2024년 1~10월 조정 데이터

      - 수출: 197억 유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

      - 수입: 351억 유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

      - 무역수지 적자: 154억 유로

      - 수출입 커버리지 비율: 56.2%


□ 수출에서 농업과 광업의 선전, 미국,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의 부상

  ㅇ 2024년 크로아티아 수출 성과

      - 2024년 10월까지 크로아티아 기업은 197억 유로 상당의 상품을 수출, 전년 대비 4% 증가

      - 제조업이 수출의 90%를 차지하며 3.5% 성장

      - 농업과 광업, 특히 원유와 원자재 수출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

      - 크로아티아는 비전통적 교역국과의 교류를 확대하며 광업과 농업 부문에서 수출 성장
      - 미국 LNG는 여전히 주요 수입원으로 남아 있지만, 글로벌 에너지 시장 변동에 따른 영향이 지속될 전망

  ㅇ 농업과 광업의 수출 기여

      - 농업 수출: 10억 6000만 유로, 전년 대비 두 배의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 성장세 지속

      - 원유 및 광업 상품 수출: 41% 증가(9억 6200만 유로), 그러나 여전히 수입 규모가 두 배 이상

      - 코크스 및 석유 정제품 교역은 수출 20% 증가

  ㅇ 지정학적 상황과 에너지 가격 변동의 영향

      -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 등 비전통적 경제 교역국이 주요 수입국으로 부상

      - 아제르바이잔에서 7억 7000만 유로, 카자흐스탄에서 2억 4800만 유로 수입

      - 나이지리아와 알제리에서도 각각 1억 1800만 유로 및 1억 6500만 유로 상당의 수입 증가

  ㅇ 미국산 LNG 수입 현황

      - 2024년 LNG 수입의 57%가 미국산, 트리니다드토바고와 알제리가 각각 18% 차지

      - 2023년 대비 수입액 25%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요 공급원

      - Krk LNG 터미널을 통해 도착한 109척 중 62%가 미국산

      - 2022년 기록적인 에너지 가격 상승 당시 수입액은 26억 7000만 유로

      - 2024년 수입액은 6억 3700만 유로로 감소했으나 미국은 여전히 주요 공급국


□ 크로아티아 2024년 수출입 현황 *통계청

   ㅇ (2024년 9월 누계) 역 적자는 139억 유로

       - 수출 총 175억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
       - 수입은 314억 유로로 4.7% 증가
       - 수출입 커버리지 비율은 55.8%로 전년도 56.4%에서 소폭 감소

       - EU 회원국으로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한 115억 유로 기록
       - EU로부터의 수입은 8.3% 증가하여 총 246억 유로에 달함
       - 비EU 국가로의 수출은 10.8% 증가한 59억 6천만 유로

       - 비EU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6.4% 감소한 약 68억 유로

   ㅇ 2024년 첫 8개월간 수정된 무역 데이터

       - 1월부터 8월까지 수출은 3.6% 증가 155억 유로, 수입은 4.7% 증가하여 279억 8천만 유로 
       - 무역 적자는 124억 유로로, 수출입 커버리지 비율은 55.5%

   ㅇ (2024년 8월 누계) 적자 규모 124억 1900만 유로

      - 전년 동기(117억 3,000만 유로) 대비 5.9% 증가  

      - 수출 2.9% 증가 154억 4,600만 유로

      - 수입 4.2% 증가 278억 6,600만 유로

      - EU로의 수출 0.1% 감소 102억 2,000만 유로
      - EU로부터의 수입 8.2% 증가 218억 7,000만 유로

   ㅇ 무역적자 규모 증가 추세 지속

      -  2023년 166억 유로, 2022년 178억 유로

   ㅇ 2004년 7월 누계, 수출 137억 유로(작년 동기 대비 2.4% 증가), 수입 249억 유로(5.5%)

       - 무역수지 적자 112억 유로, 수입/수출 비중 54.9%

       - EU 회원국으로의 수출 90억 유로(1.9% 감소), 수입 195억 유로(8.7% 증가)

       - 비EU 국가로의 수출 46억 유로(11.9% 증가), 수입 53억 유로(5% 감소)

   ㅇ 2024년 상반기 무역 통계 수정치 발표

       - 수출 115억 유로(0.1% 감소), 수입 212억 유로(4.7% 증가)

       - 무역수지 적자 97억 유로, 수입/수출비중 54.2%

   ㅇ 2024년 상반기 무역적자* 96억 유로로 2023년 동기 87억 2900만 유로 대비 격차 10% 확대 

       * 2023년(166억 유로), 2022년(178억 유로), 2021년(100억 유로)

       - 수출액 114억 6200만 유로, 작년 동기 대비 0.3% 감소

       - 수입액 210억 8600만 유로, 4.2% 증가

       - 수입/수출 비중 54.4% (작년 동기 56.9%)

       - EU로의 수출 76억 3100만 유로(3.9% 감소), 비EU 수출 38억 유로(7.6% 증가)

       - EU에서의 수입 `166억 2800만 유로(8.2% 증가), 비EU 수입 45억 유로(8.2% 감소)

   ㅇ 2024년 5월 누계(수정), 무역적자 80억 유로

       - 수출 96억 유로(작년 동기 수준), 수입 176억 유로(5.4% 증가) 


□ (2024.3~4월) 크로아티의 상품 수출은 거의 비슷한 수준

   ㅇ 4월 누계, 수입은 2.3% 증가

      - EU로부터의 수입 6.1% 증가, 기타 시장으로부터는 10.4% 감소

   ㅇ 3월 수출액은 20억 유로로 작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감소(16.6%)

   ㅇ 4월 수출액은 20억 유로로 작년 동월 대비 10% 증가

       - 첫 4개월 누계는 전년 동기 대비 명목상 1.2% 수출 감소 (실질 상품수출은 0.2% 증가)

   ㅇ 3월 누계 기준, 지속적인 크로아티아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 걱정했던 독일*로의 수출가 실제로 구현

       * 크로아티아의 1위 수출국 (1분기 EU 수출 감소율 9% 중 2.2%를 비중 차지)

       - 대독일 수출은 매월 소폭 증가하다가 2024년 3월에야 적자로 전환 시작

   ㅇ 중남부 유럽 중 보스니아-헤르체코비나 수출이 선두

      - 중남부 유럽 국가로의 수출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증가, 22.2% (6억 3600만 유로*)
        * 독일보다 5000만 유로 적고 이탈리아보다 3000만 유로 적은 금액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가 가장 중요한 수출시장 중 3위로 등극 (최초)

      - 슬로베니아로의 수출은 7.4% 감소(6억 3600만 유로)

      - 헝가리로의 수출은 급격히 감소, 1분기 수출감소율은 19%로 수출액은 3억 4100만 유로 


□ (2024.4월) 상품 수출, 연간 기준 10% 강력한 회복세

   ㅇ 주요 해외 무역 파트너 수요 회복 결과

       - 글로벌 생산 사이클에 대한 전망 강화 및 유로화 안정세

       - 6월 둘째주부터 유럽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사이클 시작

       - 세계 무역의 강력한 회복 및 금리 하락으로 2025년 유로 지역 투자 및 수출 회복 기대(3~3.5%)

       - EU 전체 상품 수출 의 실질 성장률은 약 3.5% 성장 예상

  ㅇ 크로아티아는 글로벌 가치 사슬, EU 외부 무역에 대한 낮은 노출로 큰 영향 없음

       - 수입 집약적 개인 소비 증가와 투자 수요 증가로 인한 에너지 수지 개선에도 불구하고

       - 2024년 상품무역적자 추정치는 GDP의 23%로 상향 조정

       - 관광수입은 160억 유로로 크게 증가, 2024년 경상수지는 GDP의 약 1.5% 흑자 유지 예상

  

□ (2024.1~ 2월) 무역적자 26억 7000만 유로

   ㅇ 수출 36억 유로, 수입 62억으로 26억 적자

   ㅇ EU 내 교역 비중(유로, 비중) : 수출 24억(66%), 수입 51억(82%)

   ㅇ 대한국 교역 : 수출 1.6백만유로, 수입 9.2백만 유로


□ (2024.1월) 무역적자 12억 4142만 유로 *크로아티아 통계청

   ㅇ 무역적자 규모 : 2023년(166억 유로), 2022년(178억 유로), 2021년(100억 유로)

   ㅇ 전년 동기(13억 3800만 유로) 대비 감소, 수입 감소폭이 더 컸음

      - 수출 16억 8500만 유로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

      - 수입 28억 5200만 유로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

   ㅇ 대EU 교역은 비중은 수출, 수입 각각 67%, 82% 차지

      - 수출 11억 3900만 유로(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

      - 수입 23억 6000만 유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 


□ (2023년) 수출, 수입 각각 5%, 5.4% 감소 *크로아티아 통계청 

   ㅇ 수출액 229억 유로, 수입액 395억 유로

       - 무역적자 166억 유로, 2022년 대비 6%(12억 유로) 감소

       - 2022년 수출 241억, 수입 419억 유로  (178억 적자)

       - 2021년 수출 184억, 수입 284억 (100억 적자)

   ㅇ 2023년 수출비중은 58%로 2022년과 비슷

       - 제조업 수출 195억 유로 85% 비중(전년 대비 3.3% 증가)

       - 제조업 수입 342억 유로 86% 비중(전년 대비 3.8% 증가)


* 기사원문 링크 

Hrvatski izvoz raste, ali uvoz raste brže - Poslovni dnevnik (2025.03.11)

Croatian exports - recorded growth last year (2025.02.15)

Merchandise exports 4.6 percent higher, but furniture, ships and electricity exported a quarter less - Poslovni dnevnik (2025.02.09)

Commodity exports - data from the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25.02.07)

Exports - Hit Markets in 2024 I'd like to see Slovakia and Slovakia (2025.1.18)

In terms of exports, agriculture and mining were surprised.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Azerbaijan, Kazakhstan and Nigeria came to the fore - Poslovni dnevnik (2025.01.12)

Croatia 2024 - Imports and exports increased (2024.1.9)

Croatian exports and imports increased - Index.hr (2024.11.8)

Croatia's trade gap widens 5.9% y/y in Jan-Aug | Croatia Economy News | SeeNews (2024.10.9)

Croatian exports increased by 2.4 percent this year, and imports by 5.5 percent - Index.hr (2024.9.6)

Croatia's trade gap widens 10% y/y in H1 | Croatia Economy News | SeeNews (2024.8.9)

Exports - Imports Fallen, Increased (lidermedia.hr) (2024.8.9)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