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한-필리핀 FTA 발효에 따른 수출유망상품 및 협력기회
한-필리핀 FTA 발효에 따른 수출유망상품 및 협력기회
목차

제1장 한-필리핀 FTA 개요
1. 협상 경과
2. 주요 내용
3. 의의

제2장 필리핀 시장 개황
1. 필리핀 시장 개요
2. 대표산업 및 기업동향
3. 필리핀의 주요 교역 및 투자 현황
4. 필리핀의 FTA 체결 현황 및 전환

제3장 한-필 경제교류 현황
1. 교역
2. 투자

제4장 FTA 발효에 따른 수출 유망품목

제5장 FTA 발효에 따른 협력기회 (스마트팜, 스마트시티, 재생에너지)

제6장 시사점 및 활용방안

<참고>
1. KOTRA 한-필 FTA활용지원센터 소개
2. 주요 정보원

요약

1.2억여명의 인구를 보유한 필리핀은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15위 교역국으로 2024년 5.8%, 2025년 6.1%(IMF 전망치)의 견조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시장이다.


`24년 12월 31일 정식 발효된 한-필리핀 FTA로 필리핀은 전체 품목수의 96.5%를 관세 철폐·감축을 하여, 우리기업의 필리핀에 대한 수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FTA협정 내 별도의 ‘경제·기술협력’챕터를 기반으로 양국 기업 간 산업협력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 수출기업을 위해, 한-필리핀 FTA로 수출확대가 유망한 품목군과 산업협력 유망분야를 제시하였다.


(수출확대 유망품목)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되는 내연기관차, 화물차, 기어박스(현행관세5%)를 비롯해 5년 내 관세가 철폐되는 전기차(5%), 자동차부품(3%~30%)등이 대표적인 수혜분야이다. 또한 한류 영향으로 디자인, 품질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는 우리기업의 문구류(5%), 가공식품(5%~15%), 가정용 전자기기(5%) 등 소비재도 수출확대가 전망되는 품목이다.


(산업협력 유망분야) 필리핀의 정부정책에 힘입어 양국 간 산업협력 가능성이 높은 분야는 스마트농업, 스마트시티, 재생에너지이다. 농업현대화 정책의 일환으로 필리핀 정부의 스마트농업분야 기술협력 수요가 늘고 있으며, 국가 주도의 인프라 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3개의 스마트시티 개발도 계획 중에 있다. 또한, 필리핀은 장기 에너지 계획인 ‘필리핀에너지플랜(PEP)’을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23년 22%에서 2030년 35%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본 보고서가 필리핀시장에 진출코자 하는 우리 기업인들에게 유용한 `종합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필리핀의 시장개황과 FTA 활용방안 정보도 포함하였으며 추가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마닐라 FTA활용지원센터 정보도 수록하였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