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싱가포르 조선해양 산업 동향 및 주요 전망
싱가포르 조선해양 산업 동향 및 주요 전망
목차

I. 조선해양 산업 동향 및 현황
1. 시장개요
2. 주요정책
3. 싱가포르의 경쟁력

II. 조선해양 산업 주요기업 현황
1. 대표 조선소
2. 대표 선사
3. 유관기관 및 협회

III. 진출전략

IV. 첨부자료
1. 대표 수출품목
2. 주요 전시회

V. 참고자료

요약

□ 해양 산업의 ‘종합 클러스터(cluster)’로서 아시아 주요 허브 역할 수행
◦ 세계 항구도시 순위 1위, 잭업리그와 FPSO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
◦ 기업 친화적인 정책, 유럽과 아시아의 무역로를 잇는 전략적 위치 등을 기반으로 허브항만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일구어냄
◦ 글로벌 LNG 수요, 해상풍력발전 수요 증가를 기회로 삼는 싱가포르의 중요성 높아질 것으로 기대

□ 석유 탐사, 수리개조와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부문이 특화되었으나, 기존 시장 축소 영향으로 신재생 에너지 부문 관련 선박건조 분야 진출
◦ 한국·중국·싱가포르 3국이 글로벌 해양플랜트 설비생산 시장의 90% 이상 점유
◦ 주 제품인 리그, 오프쇼어 플랫폼, FPSO 관련 기술력 바탕으로 대만, 아일랜드, 베트남 등으로 해양재생에너지(Offshore Renewable Energy) 시장 확장

□ 한국 대형조선 3사, BW Group 등 싱가포르 주요 선주로부터 꾸준히 신조 수주
◦ 컨테이너선과 LNG추진선 중심으로 신조수요 증가
◦ IMO 환경규제 대응 위해 LNG를 연료로 쓰는 LNG추진선 발주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관련 선박기자재가 유망품목으로 예측됨
◦ 조선기자재 선두주자인 한국에 대비하여 중국은 기술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이 있으나 시장가격보다 할인된 견적가를 제시하며 싱가포르 선주대상 공격적인 마케팅 전개

□ 친환경 해양재생에너지(Offshore Renewable Energy) 발전에 중심을 둔 신재생 에너지 시대 돌입
◦ 싱가포르 대형조선소 Keppel O&M은 북해와 대만 해역에서 해양풍력발전에 의한 전력 공급 위해 컨버터 스테이션, 섭스테이션을 2024년까지 제작 예정
◦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는 가운데, 부유식 수소 생산 해양플랜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양 이산화탄소포집저장(CCS) 인프라 등 해양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 및 관련 수요 급증 예상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