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라시아 지역의 교역 메커니즘 변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라시아 지역의 교역 메커니즘 변화
목차

요약

제1장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의 유라시아 교역
제1절 유라시아 지역에서 러시아 시장의 중요성
제2절 역(逆) 허브화와 재수출의 사례

제2장 우크라이나 사태와 역(逆) 허브화의 재현
제1절 우크라이나 사태와 교역환경 변화
제2절 유라시아 국가들의 허브화 현상

제3장 메커니즘 장기화의 조건과 과제
제1절 러시아 내부 조건 및 글로벌 경제 제재
제2절 유라시아 국가들의 과제
    
참고문헌

요약

□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의 유라시아 교역

◦ 러시아는 유라시아 지역에서 절대적으로 많은 인구와 높은 소득수준으로 인해 압도적으로 큰 소비시장을 가진 타 국가의 주요 수출대상
* 인구 규모가 작은 유라시아 국가들은 자국 경제성장의 동력을 수출 활성화로 삼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대상은 러시아
** 특히, EAEU 전체에서 러시아의 소매시장이 차지하는 규모와 비중은 2021년 기준 각각 5,530억 달러 및 89.7%

◦ 러시아는 상품수출의 최종적인 목표시장인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다른 CIS 시장에 대해 상품 공급의 허브 역할을 해왔음.
* 러 기업들의 높은 구매력과 러 기업의 활발한 유라시아 지역 진출에 기인

◦ 하지만 키르기스스탄과 조지아는 일부 제품에 있어서 중앙아시아 국가 및 러시아로 재수출하는 무역허브(trade hub) 역할을 해왔음.
* 키르기스스탄의 비쉬켁 인근의 ‘도르도이 바자르(Dordoi bazaar)’는 2000년대 수출입에 대한 정부의 느슨한 정책과 관련 산업 성장이 배경
** 조지아도 광물 재가공 및 승용차를 수입하여 對러 재수출하는 구조

□ 우크라이나 사태와 역(逆) 허브화의 재현

◦ 러시아에 대해 경제제재를 부과한 서구 국가들, 제재 대상국인 러시아, 주변국들의 이해관계 등이 교역구조 변화에 작용
* 서방의 對러 직접 수출 차단, 러시아의 병행수입 허용, 주변국의 러시아 이탈기업 자국 유치 등

◦ 서방의 對러 수출이 금지된 품목 중 일부에서 유라시아 각 국가들의 對러 수출이 급증하면서 우회 수출 활성화
* 카자흐스탄의 경우, 보일러 및 기계류(HS 84), 전자기기·장비·부품(HS 85), 자동차·부품(HS 87) 수출 금액과 전체 수출에서의 비중이 전년비 크게 증가
** EAEU 회원국인 키르기스스탄과 아르메니아도 동 품목의 對러 수출 증가
***우즈베키스탄과 조지아도 유사한 패턴을 보이면서 역(逆) 허브화 현상 보임.

◦ 서구 국가들은 러시아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해 나갔으나, 제재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우회 수출 차단 노력 지속
* EU의 對러 11차 제재 패키지 중 우회 수출 관련 내용 포함
** 미국 등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각 국가에 대해 우회 수출을 통제하도록 개별적인 압력 행사

◦ 역(逆) 허브화는 러시아와 유라시아 국가 모두에게 경제적으로 유의미
* 러시아로서는 유라시아 국가들을 통해 자국 내 부족 상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중요한 기제이자 향후 경제협력의 기반
** 유라시아 국가들에게는 러시아에 대한 수출을 확대하는 등 시장 접근성을 개선할 절호의 기회

□ 메커니즘 장기화의 조건과 장애요인

◦ 역(逆) 허브화의 메커니즘이 장기화되기 위해서는 러시아 내부의 수입대체화 진척 정도와 서방의 제재 지속 여부가 중요
* 러시아의 제조업역량이 개선되어 서구 상품의 대체화가 신속히 이루어지면 시장보호를 위한 조처의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역(逆) 허브화의 지속을 제한할 것
** 러시아가 아닌 유라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역(逆) 허브화가 장기적으로 구조화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현 상황을 지속시키는 제재의 지속 여부가 중요

◦ 유라시아 국가들의 입장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의 종결과 제재 해제 이후에도 자국의 무역 허브로서의 역할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제조업이 일정 수준 이상 발전되어야 함.
* 유라시아에서 부가가치 창출금액이 높은 카자흐스탄도 러시아에 비하면 약 10% 정도이며 키르기스스탄은 0.5%도 안되는 수준
** 또한, 러시아와 유라시아 정부 간의 공식화된 협력틀을 마련하여 유라시아 국가들의 리스크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