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집트 제조업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방안
이집트 제조업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방안
목차

요약

제1장 산업 구조 및 잠재력
제1절 산업 구조 및 정책 동향
제2절 산업 육성 현황 및 잠재력

제2장 제조업 현황
제1절 근현대 제조업 발전 역사
제2절 주요 제조업 특징 및 동향
제3절 제조・수출・투자 정책 동향
제4절 이집트 주요 무역협정
제5절 산업단지 현황

제3장 진출 유망 제조업 분야
제1절 전자제품
제2절 석유화학
제3절 기계・부품・장비

제4장 이집트 제조업 진출전략 및 참고・유의사항
제1절 SWOT 분석을 통한 이집트 제조업 진출전략
제2절 투자진출 참고 및 유의사항

요약

□ 제조업 구조 및 잠재력
◦ (산업구조) 이집트 GDP 중 제조업 비중은 약 17%로 전 산업 분야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제조업 종사자 또한 전체 산업의 12.6%로 1위 농업(19.2%), 2위 도소매업(15%), 3위 건설업(13.8%)에 이어 4위 수준
◦ (잠재력) 1.1억 이상의 인구, 세계 38위 국토 면적(100만㎢, 한반도 약 4배), 유럽-중동-아프리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 수에즈 운하(세계 물동량 10% 담당) 보유 등을 활용한 제조업 성장 잠재력 보유

□ 제조업 발전 역사    
◦ (1930~50년) 민족주의 열망에 근거하여 외국제품 관세 부과 등 자국 제조업 육성 필요성 인식 시작
◦ (1950~80년) 1950년 초부터 다수의 제조기업이 국유화되었고, 식품, 섬유, 기성복 등 노동집약 경공업 중심으로 제조업 발전
◦ (2000년 이후) 이집트 전자 제품화 정책(EME). 2002-2022 석유화학 마스터플랜, 국가 구조개혁 프로그램(NSRP) 등을 통해 전자제품, 석유화학, 기계・부품・장비 중심의 제조업 본격 육성

□ 제조업 현황    
◦ (전자제품) 엘시시 대통령 주도로 2015년부터 본격 육성, 삼성・LG전자 등 우리기업도 진출해 있으며 주요 부품 현지 생산을 통해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직접 생산 중
- 이집트 통신정보기술부는 자국 전자산업 발전을 위해 R&D, 디자인, 마케팅, 기술인력 양성 등 9개 특별 프로그램 시행 중
◦ (석유화학) 2002-22 석유화학 마스터플랜 종료 후 신규 정책 발표는 없으나 동 플랜 연장선상으로 석유화학 ▲ 인프라 현대화, ▲ 생산능력 개선, ▲ 수출 증대를 위한 노력 확대
- 석유부는 중밀도 섬유판(MDF) 연간 205,000㎥, 포름알데히드 요소 87,000톤, 바이오에탄올 10만톤 생산 프로젝트 등 추진 중
◦ (기계・부품・장비) 이집트 비전 2040 정책과 연계한 2021-24 국가 구조 개혁 프로그램 추진, 이집트 제조업 발전을 위한 핵심 부품 자체 생산 인프라 구축 목표

□ 한-이집트 제조업 협력 SWOT 분석 및 진출 유의사항
◦ (SWOT 분석) 1960년 이후 제조업 개발 및 고도화를 이룬 세계 유일 국가로 이집트의 제조업 발전 정책에 부합하는 협력 분야 발굴 가능
- (SO 전략) 한국의 높은 기술력, 이집트의 기술이전, 인력양성에 대한 수요 중심 석유화학, 기계류 제조 등의 제조업 분야 협력 가능
- (WO 전략) 정부 간 한-이집트 FTA 추진을 통해 우리기업의 對이집트 수출 경쟁우위 확보 지원
- (ST 전략)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ODA 등 정부 정책자금을 활용한 이집트 철도 현대화, 원전 등 이집트 대형 프로젝트 진출 방안 모색
- (WT 전략) 노동집약형 제조업 분야 투자진출로 현지 내수 및 아프리카 수출전략 검토, 외화송금 애로 등 금융 리스크는 사전 대비 필요
◦ (유의사항) 이집트의 단기 경제 성장률 전망 부정적, 다만 글로벌 경기 회복 시 관광 및 제조업 중심의 경제 회복으로 중장기 전망 긍정적
- 2022년 말 IMF 차관 도입 이후 민영화 추진 등 민간 부문 유연성이 확대되는 추세, 향후 투자 진출 및 비즈니스 환경 개선 기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