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아프리카 주요국 농업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아프리카 주요국 농업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목차

요약

제1장 아프리카 농업시장 현황 및 전망
제1절 아프리카 농업시장 개황
제2절 아프리카 식량안보 위기와 농업 발전 저해 요인
제3절 아프리카 미래 농업시장 전망

제2장 주요국 농업시장 동향 및 전망
제1절 남아프리카공화국
제2절 케냐
제3절 나이지리아
제4절 탄자니아
제5절 수단
제6절 에티오피아
제7절 가나
제8절 모잠비크
제9절 코트디부아르

제3장 아프리카 농업시장 진출 방안
제1절 한-아 농업시장에 대한 역량 분석
제2절 진출 전략 및 유망품목

부록 국가별 주요 수입 에이전트 정보

요약

1. 현황 및 기회
ㅇ (현황)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SA, Sub-Saharan Africa)에서 농업은 경제의 중심이 되는 중추 산업
- 전체 GDP에 17.3%(48개국, ‘22년) 기여하고 고용의 52%(‘21년) 담당(WB), 간접 기여분(식품 가공 등)까지 포함하면 전체 GDP에 약 50% 기여
- 국토 대비 농지 비중은 세계 2위 수준*으로 세계평균을 상회, 전 세계 미개척 농지 중 60%가 동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 농지 비중: (1위) 남아시아 56.9%, (2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42.5%, (세계평균) 36.5%

ㅇ (기회)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여 농업환경을 개선하면 곡물 생산량을 현재의 155%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Mckinsey)*
* 아프리카 토지 생산성 개선 시 글로벌 곡물 생산량(약 26억 톤)은 20% 상승이 기대됨
- 기계화, 비료 사용, 기술 수준 제고로 생산성 향상 가능, 아프리카 정부·국제기구 지원으로 농기계 시장 연간 6.4% 성장 전망(~’28년까지)

2. 시장분석 및 진출전략
ㅇ (시장분석) 나이지리아,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농업 잠재력은 대륙 전체의 30% 이상,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AfCFTA) 발효로 시장 확대 전망
ㅇ (진출전략) 중소형 농장을 수요처로 하는 공공 조달시장 및 수입 에이전트를타깃으로 유망 품목별 단·중장기 진출방안 제시
- (단기) 농업 생산성을 빠르게 높일 수 있는 농기구, 비료, 농수산물 가공 및 포장 기계 분야에 진출하여 노동 효율과 토지 생산성 증대
- (중기) 정책자금(ODA, KSP 등)을 투입하여 중소형 농장을 위주로 소형 경운기 등 소형 농기계를 보급, 경험·기술 전수로 공동 성장 실현
- (장기) 아프리카 시장 진출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신산업 분야에서 미래 시장을 선점하고 관개시설, 저장창고 등 인프라에도 적극 진출
* 아프리카 각국 정부 및 국제기구(UN 식량농업기구 등)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지 니즈에 맞는 프로젝트 발굴 및 인프라 수주 필요

3. 시사점
◦ 아프리카는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혁신 및 개발정책 수립에 적극적*, 시장 잠재력이 높아 선제적인 진출 필요
* 한-아프리카 농작물 생산(쌀 등) 증대 협력사업 수요 및 사업개발 가능성 다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