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최근 중국 공급망 이슈의 영향 및 전망
최근 중국 공급망 이슈의 영향 및 전망
목차

제1장 배경
1. 코로나 팬데믹
2.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세
3. 미중 디커플링 심화

제2장 중국 공급망 이슈 사례
1. 제로코로나와 공급망 혼란
2. 주도권 경쟁과 자립형 공급망
3. 자국우선주의와 공급난 심화

제3장 한중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1. 대중국 수출에 대한 영향
2. GVC 재편 추세
3. 한중 공급망 구조 변화

제4장 전망 및 시사점

요약

□ 코로나 팬데믹,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미중 디커플링 심화 등이 최근 공급망 이슈 발생의 배경이 되고 있음
◦ 세계가 오미크론 확산을 경험한 두 달 뒤인 올해 4월 중국은 코로나19 첫 발발 이후 최악의 확산세를 보이며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심화함
◦ 2020년 2분기 코로나 회복과정에서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며 국제 원자재 가격 급상승해오다 2022년 들어 오미크론 확산,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겹악재로 원자재 가격 상승세는 더욱 심화하고 있음
◦ 미·중 갈등이 무역 분쟁에서 장기적이며 전면적인 대립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기술 패권 및 공급망 재편을 둘러싸고 미·중 대립이 격화되고 있는 양상

□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공급망 관련 이슈에는 제로코로나에 따른 공급망 혼란, 주도권 경쟁 및 자립형 공급망 구축, 자국 우선주의에 따른 공급난 심화 등이 있음
◦ 올해 오미크론이 확산이 심했던 중국 내 주요 경제발전 지역에서 제로코로나 정책이 시행되면서 제조‧물류가 활발했던 다수지역이 동시에 셧다운되는 상황 발생, 수출 및 지역 경제에 큰 타격
◦ 한편, 중국은 미국의 대중국 압박 대응을 위해 RCEP 등 자국 중심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대외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자립형 경제 구도를 구축하는 동시에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있는 상황
◦ 특히, 원자재 급등세, 중국의 경기둔화, 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중국 내 안정적인 공급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다시 공급난을 심화 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음

□ 이러한 중국의 공급망 이슈는 결국 대중 수출, GVC 재편 등 한중 공급망 구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올해 4월 중국의 코로나 봉쇄에 의한 생산 차질 등 공급망 이슈 발생에 따라 중국의 대한국 수입 증가율은 1년 8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 대중국 수출 주력 품목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도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 미·중 간 대립이 장기화 전면화 됨에 따라 기업들의 생산기지 이전(탈중국) 및 다변화가 이어지는 등 글로벌밸류체인(GVC) 재편이 활발해지는 추세
◦ 특히, 올해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물류난 등 공급망 이슈가 부각되자 기업들의 탈중국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음
◦ 이러한 상황은 역내가치사슬(RVC)이 더욱 빠르게 형성되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중 수출 경쟁이 심화하는 등 한중 양국 간 공급망 구조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음

□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지속, 미‧중 중심의 경제 블록화 가속이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은 대중국 의존도를 면밀하게 분석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중국은 적어도 올 해 연말까지 ‘공급망 안정’에 방점을 두고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재고관리 등 대응 방안이 필요함
◦ 미·중 주도권 경쟁이 심화하고 GVC의 빠른 재편이 진행되면서 경제 블록화 현상은 가속화될 전망으로 향후 GVC의 탄력성, 독립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임
◦ 대중 수입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단기적으로는 한중 공급망 안정을 보장해 한국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다양한 불확실성에 대비해 대중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China+1 등 유연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