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주요국 수소경제 동향 및 우리기업 진출전략
주요국 수소경제 동향 및 우리기업 진출전략
목차

I. 조사배경

Ⅱ. 주요국 수소경제 동향
 1. 독일
 2. 미국
 3. 중국
 4. 일본
 5. 호주

Ⅲ. 우리기업 진출전략

Ⅳ. 참고자료

요약

□ 조사배경
 ◦ 탄소중립 계획에 따른 글로벌 수소 소비량은 `30년 1.4억 톤, `50년 6.6억 톤에 이르러 전체 에너지 수요의 약 22%에 이를 전망(McKinsey)
 ◦ 주요국(독일, 미국, 중국, 일본, 호주)* 수소경제 동향 분석으로 우리 기업의 글로벌 수소 산업 공급망(생산-저장·운송-활용) 진출전략을 모색
  * 생산, 저장·운송 분야 시장 규모와 활용 분야 진척도를 기준으로 5개국 선정

□ 주요국별 동향
 ◦ ‘친환경 생산-고효율 저장·운송-수소차 확산’ 가치사슬 구축 추진
  ➊ (생산) 국가별 탄소중립 목표 아래 재생에너지 기반의 대규모 수전해 설비 건설 등 친환경 수소생산 확대 정책 추진
  ▹ (미국) ’30년까지 수소 자급률 100%를 목표로 친환경 생산기술 투자
  ▹ (일본) 그린 수소 생산 역량 강화와 해외자원(호주 갈탄 등) 활용 병행
  ➋ (저장·운송) 액체·액상 수소 기술을 활용한 저비용·고밀도 저장 및 운송 시스템 개발 추진
  ▹ (독일) 액상유기화합물 기반 수소 저장·운송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추진
  ▹ (일본) 세계 최초로 액상수소 저장 기술을 적용, 수소 수입 실증(’20년)
  ➌ (활용) 수소 활용 모빌리티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 확대*,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산업용 수소 활용 기술도 증가세
   * `30년 수소전기차 보급목표(만 대) : (독) 180, (미) 120, (중) 100, (일) 80/ `30년 수소충전소 보급 목표(지점) : (독) 1,000, (미) 5,800, (중) 1,000, (일) 900
  ▹ (독일) 수소환원제철 방식을 도입, 고농도 수소를 사용하여 탄소배출량 저감
  ▹ (중국) 수소 생산량 중 약 52%를 암모니아 생산에 활용

□ 우리 기업 진출 전략
 ◦ 풍력(독일), 태양광(중국) 등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 프로젝트 활발. 수전해스택* 등 생산용 설비·부품 수출 확대 가능
  *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로 전극, 분리막, 셀프레임 등으로 구성
  - (미국) 1,600마일 규모의 파이프라인을 활용한 운송 프로젝트 추진, 튜브 트레일러, 수소 저장탱크 및 관련 부품·장비 수출 유망
  - (중국)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 관세율 인하로 수소 모빌리티 분야 유망. 수소차 부품, 연료전지, 충전 인프라 장비 진출 가능
  * `22년부터막전극접합체(MEA), 분리판(Bipolar Plate) 관세율 인하(4%대 잠정세율 적용)
  - (일본·호주) 친환경 수소생산 및 액체 수소 기반의 공급망 구축, 수전해스택, 액화 수소 운반 관련 소재·부품·장비 등 수출 유망
 ◦  얼라이언스 참여를 통한 기업 간 교류 강화로 공급망 참여 확대
  - 참여 기업 간 기술 공유, 공동 기획 연구 추진 및 사업화 협력 등으로 전방산업 수요에 기반한 제품 생산과 공급 추진 도모
  (사례) 일진하이솔루스는 기업 간 연합체인 ‘하이존 제로 카본 얼라이언스’에 가입(’21.10월). 연합체 가입 기업을 대상으로 수소 저장탱크 등을 공급
 ◦ 제조·마케팅 인프라 또는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해외기업과의 합작법인(JV) 설립으로 초기 시장 점유율 확대
  - 우리 기업의 수소전기차·연료전지 부품 제조 기술과 해외기업의 현지 제조·마케팅 인프라를 활용하여 초기 경쟁에서 우위 선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