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GCC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진출방안(표지)
GCC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진출방안(UAE, 사우디, 카타르, 오만)
목차

요 약


Ⅰ GCC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시장 동향
1. 정책 주요 내용
2. 시장 동향


Ⅱ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진출방안
1. 아랍에미리트(UAE)
2. 사우디아라비아
3. 카타르
4. 오만


Ⅲ 참고자료
1. 국가별 주요 발주처
2. 국가별 주요 기업

요약

□ GCC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 (추진배경) Post-Oil 시대 및 기후변화 대비 지속 가능한 미래전략 개편
  - 유가 변동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보유, 석유 의존형 경제구조 탈피 필요
  - 인구증가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발전방식 효율화·다변화 추진
◦ (주요내용) 국가 경제개발계획을 통한 정부 주도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 UAE 에너지 전략 2050, 사우디 비전 2030, 카타르 국가 비전, 오만 비전 2040 등 정부 주도의 에너지원 다변화 및 기후변화 대응


□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정책 주요 내용
◦ (UAE) 현재 25% 수준의 에너지 믹스 내 청정에너지 비중을 2050년까지 50% 이상으로 확대, 에너지 발전에 의한 탄소 배출량 현재 대비 70% 저감
  - (아부다비) 신재생에너지 전담 Masdar社설립, 세계 최초 탄소·폐기물 제로 도시인 Masdar City 구축 및 ’26년까지 5,700MW 태양광·열 발전설비 확충
  - (두바이) 청정에너지 전략 2050 일환으로 270억 달러 규모 두바이 그린펀드(Dubai Green Fund) 조성, 5,000MW 규모 MBRM 솔라파크 프로젝트 추진
◦ (사우디) 2030년까지 58.7GW의 재생에너지 개발, 48개의 에너지 단지 조성
  - 태양광 40GW, 풍력 16GW, 태양열 2.7GW 등 총 58.7GW의 재생에너지 개발
  - 동부 및 서부 중심 태양광 33개, 풍력 11개, 태양열 4개의 에너지 단지 조성
◦ (카타르) 국영에너지기업(QP) 중심 기후변화 대응 목표 설정 및 추진
  - ’22년 전체 공급량의 10%를 태양광으로 대체, ‘30년까지 20% 달성 목표
  - LNG 증산(현 7,700만⇢ ’27 1억 2,600만톤), 800MW Siraj 태양광 플랜트 건설 등
◦ (오만)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 16% 달성, 2030년 30%로 확대
  - Manah I, II 태양광(1GW), Ibri II 태양광(500MW) 등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 ‘17년에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 ‘Sahim’ 프로젝트 1단계 시작, ‘19년 2단계 착수 이후 주거용 건물 30%에 3-5kW 규모 옥상용 태양광 패널 설치 중


□ 우리기업 진출방안
◦ (투자진출) 법인 설립, 현지 공장건설 등 투자를 통한 진출방안 검토
  - 최근 중동의 산업정책은 제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산업 다각화에 중점, 현지법인 또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입찰에 유리
◦ (컨소시엄) 현지기업 우대 정책이 강화에 따른 컨소시엄 형태의 진출
  - 사우디 Acwa Power, UAE Masdar 등 현지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확대 추세, 따라서 현지 네크워크가 확보된 기업과의 컨소시엄을 통한 진출 검토
◦ (R&D협력) 기술이전, 인력양성 등 R&D 협력을 통한 진출
  - 현지인 기술인력 양성 프로그램 등 R&D 협력을 통한 진출 시 수주 가능성 증가
◦ (가격경쟁) 기자재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 가격경쟁력 확보
  -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자재를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기자재 수출을 위해서는 제품의 완성도 및 가격경쟁력 확보 필요


□ 진출 시 유의사항
◦ 석유·가스 등 일부 분야에 적용하던 현지화 정책(ICV, In-Country Value)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도 적용, 입찰 참여 시 현지화 이행조건 제출 필수
  - (UAE) ‘18년 국영석유회사(ADNOC)이 ICV 정책을 최초 도입, 현재 아부다비 국부펀드(Mubadala), 원자력공사(ENEC) 등 6개 기관이 ICV 적용
  - (사우디) ARAMCO(국영석유회사) IKTVA, SEC(전력청) BENA, SABIC(국영석유화학회사) NUSANED 등 주요 에너지 국영기업 현지화 정책 도입 완료
  - (카타르) ’19년 Qatar Petroleum(국영에너지기업)은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TAWTEEN 도입, ‘23년까지 현지 기자재 및 서비스 구매비율 40% 달성 목표
  - (오만) 현지생산 기자재 의무구매 관련 법적 제한 또는 요구사항은 없지만 수전력조달공사(OPWP)는 프로젝트 입찰 참여시 일반적으로 10%의 현지 기자재·서비스 구매 비율을 요구하고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