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AI 산업과 한국 기업의 기회- 총서번호 25-046
- 발간일 2025-10-28
- 게재일 2025-10-28
- 페이지 55
- 
                            관련지역
                            
                                아시아 중국 
- 첨부파일
 
- 
				
				
					
				
				
				
                
                목차Ⅰ. 중국의 AI 산업 현황 요약
 1. 시장규모와 전망
 2. 정부 주도의 AI 산업 생태계
 3. AI 산업 기초·기술단계별 시장현황
 1) 기초단계
 2) 기술단계
 4. 중국의 지역별 AI 산업 발전 현황
 1)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
 2)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
 3) 징진지(京津冀)
 
 Ⅱ. 중국의 AI 주요 응용 분야 및 사례
 1. AI + 제조업
 2. AI + 자율주행
 3. AI + 의료
 
 Ⅲ. 중국기업의 AI 협력수요와 우리 기업의 진출방안
 1. 중국기업의 AI 분야별 협력 수요
 2. 우리 기업의 진출방안
 
 Ⅳ. 참고 자료
 1. 중국의 스마트팩토리 산업체인 별 핵심 기업 리스트
 2. 중국의 자율주행 산업체인 별 핵심 기업 리스트
 3. 중국의 AI의료 산업체인 별 핵심 기업 리스트○ ‘Global AI Index’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에 이어 전 세계 두 번째로 AI 산업이 발달함 영국 언론사 Tortoise Media 
 - 중국의 AI 산업은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32.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의 AI 산업은 더욱 주목받고 있음
 - 이 보고서는 중국의 AI 산업이 어느 수준까지 발전했는지, 어떤 전략과 정책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 기업이 협력할 만한 분야와 진출 방안을 제시함
 
 ○ 중국의 AI 산업의 특징은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지원하며, 데이터자원과 응용시장이 방대하다는 점임
 - 나아가, 기초연구보다 산업 응용에 집중하고 인재 육성 및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함
 
 ○ 중국 AI 산업은 중앙정부가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지방정부가 응용사례를 창출하는 방식임
 - 지역적으로 보면, 장강삼각주(长江三角洲)는 상하이가 기업 및 인재 육성을 중심으로 주도하고 장쑤성과 저장성이 협력하는 형태임
 -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는 선전과 광저우가 IT·전기전자·로봇·자동차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AI 응용산업에 주력함
 - 징진지(京津冀)는 수도 베이징이 AI 산업 핵심 정책을 수립하고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하는 방식임
 
 ○ 중국은 AI 산업의 기초단계에서 국산화 중심의 AI반도체칩, 스마트 센서, 클라우드 컴퓨팅 등 AI가 작동하기 위한 기초단계 인프라를 확보하고 개방형 생태계 구축하는데 집중함
 
 ○ 기술단계에서는 국산화 중심의 수직계열화 전략을 앞세워 ‘칩 → 프레임워크 → 모델 → 플랫폼’ 내재화에 집중하고 있으나 기술 완성도와 범용성 측면에서는 글로벌 수준에 미치지 못함
 
 ○ 보고서에서는 응용단계의 경우 우리 기업과 협력 가능성이 높은 제조분야와 중국이 우위를 보이는 자율주행과 의료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함
 - 제조 분야에서 중국은 전통 제조 대기업과 빅테크 기업 간 협업을 통해 스마트공장이 빠르게 구축하고 있으나, 핵심 알고리즘이나 정밀 장비 기술력은 여전히 한계가 있음
 - 자율주행 분야에서 중국은 빅데크 주도의 생태계 구축과 도심 실증을 통해 기술이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으나 핵심 AI칩 및 센서 등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음
 - AI 의료 분야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드웨어 기반의 AI 의료기기 개발이 활발하나, 데이터 표준화와 고급 기술 분야에서 여전히 격차가 존재함
 
 ○ 현지 AI 관련 기업과의 인터뷰를 통해 비전AI, 센서, 로봇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발굴함
 - 당장의 수입 수요는 찾기 어려울 수 있으나 3D 스캐너 AI칩, 라이다 AI 솔루션, 로봇 초정밀 부품 등에 대한 한국기업과의 장기적인 협력 수요를 기대해 볼만함
 
 ○ 우리 기업은 중국의 AI시장에서 제조분야는 EPC 또는 SI(시스템 통합) 기업을, 의료분야는 AI 의료 플랫폼 혹은 의료기기 제조기업을, 자율주행 관련 기업은 완성차 제조기업 혹은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바이어 접촉은 KOTRA 무역관이나 산업별 현지 유망 전시회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음
 - 특히 산업별 협회를 통해 현지 협력 수요를 적극 발굴하는 것이 필요<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번호 | 보고서명 | 첨부파일 | 저자 | 발간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