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화장품 시장 트렌드 및 K-뷰티 진출전략
미국 화장품 시장 트렌드 및 K-뷰티 진출전략
목차

I. 미국 화장품 산업 시장 현황
가. 시장 규모
나. 수입 동향
다. 미국 화장품·뷰티 트렌드

II. 미국 내 K-뷰티 현황
가. K-뷰티 진출 동향
나. K-뷰티 관련 이슈

III. 미국 화장품 유통 채널 현황
가. 소비자 유형별 유통 채널 이용 분석
나. 온라인 판매 현황
다. 오프라인 판매 현황

IV. 미국 화장품 관련 규제 및 인증
가.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나. 라벨링
다. 기타 인증 및 규제

V. K-뷰티 미국 시장 진출 전략
가. 진출전략
나. 우리 기업 성공 사례
다. 전문가 Q&A로 알아보는 유의사항

부록 1. 미국 화장품 관련 전시회 및 기타 행사 정보
부록 2. 참고 문헌

요약

□ (시장 변화) 소비자 세분화·가치 소비 확대로 구조 전환
◦ 미국 화장품 시장은 2024년 약 1,244억 달러 규모로 성장세를 유지하며, 클린 뷰티·스킨텔리전스·맞춤형 제품 등 기능성과 윤리성을 결합한 소비 트렌드가 확산
◦ 소비자층도 Z세대·알파세대 등 세대별 소비자 특성 다변화와 함께 남성용·젠더 뉴트럴 제품 수요도 증가하며 소비자 세분화와 가치 소비 중심의 시장 구조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

□ (K-뷰티) 수입 1위 달성 및 브랜드 영향력 확대
◦ K-뷰티는 트렌디한 이미지에서 출발했으나 빠르게 시장 지위를 강화하며, 2024년 미국 수입액 약 17억 19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54.3% 성장하며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달성
◦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반영한 제품 다변화, 한류 콘텐츠 연계 마케팅 등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와 시장 영향력을 확대

□ (유통 전략) 물류 전략 확보 속 옴니채널 구축이 관건
◦ 아마존·틱톡샵 등 온라인 플랫폼과 세포라·울타 등 오프라인 리테일을 연계한 옴니채널 전략이 시장 확대의 핵심으로 부상
◦ 2025년 $800 미만 소액면세(De Minimis) 제도 폐지로 역직구 모델 활용이 어려워지면서, 현지 재고·물류 거점 확보 및 3PL 활용 전략의 중요성 강화

□ (규제·인증 및 시사점) 신규 규제 대응과 지속가능성 확보 필요
◦ MoCRA 시행으로 제조시설 등록, 제품 리스팅, 성분·부작용 보고, 라벨링 강화 등을 의무화하며 규제 환경 강화
◦ 성분 안전성·윤리성·친환경성 입증, 포용적 마케팅 전략을 통합적으로 마련해야 장기적 경쟁력 확보 가능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