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 총서번호 25-030
- 발간일 2025-07-02
- 게시일 2025-07-02
- 페이지 79
-
관련지역
아시아 중국
- 첨부파일
-
목차
Ⅰ. 중국 조선업 동향
요약
1. 조선업 시장 동향
2. 중국 조선업 밸류체인
3. 중국 조선업 기업 동향
4. 중국 조선업 기술 동향
Ⅱ.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시장 분석
1. 조선기자재 종합
2. 선박 동력
3. 선박 전자전기 제품
4. 선박 보조기계
5. 선박 자재
Ⅲ. 친환경 조선기자재 정책 분석
1. 글로벌 탈탄소 정책
2.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정책
3. 중국 탄소중립 정책
Ⅳ.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시장 진출전략
1. 진출 유망 분야
2. 현지 진출 전략1. 중국 조선업 동향
ㅇ (시장동향) 2024년, 대체 연료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조선업계의 호황 가운에 중국은 조선업 글로벌 시장 내 선두를 유지하고 있음
* (중국 건조량) 글로벌 시장의 55.7% 차지, 전년 대비 5.5 증가
(증국 신규수주량) 글로벌 시장의 74.1% 차지, 전년 대비 7.5% 증가
(중국 수주잔량) 글로벌 시장의 63.1% 차지, 전년 대비 8.1% 증가
ㅇ (밸류체인) 중국 조선업의 밸류체인은 △업스트림(원자재, 조선기자재, 선박 설계 등), △미드스트림(선박 제조), △다운스트림(해상운송, 선박 수리 등)으로 구분되며 전 분야에서 국산화 및 친환경 첨단 기술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ㅇ (기업동향) 중국 조선소는 주로 화동(华东), 화북(华北)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 조선기자재 제조업체는 주로 장쑤(江苏), 상하이(上海), 랴오닝(辽宁) 등 지역에 분포되어 있음
- 외국계 기업의 중국 조선기자재 시장 투자는 2005년부터 2015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확대되었으며, 특허라이선스 및 독자/합자 공장 설립 등의 방법으로 진출
ㅇ (기술동향) 중국 조선 기업들의 R&D 투자는 꾸준히 강화되고 있으며, 주요 투자분야는 수소 연료, 암모니아 연료 등으로 제로탄소기술 개발에 집중
- 다만, 친환경 관련 기술 등 일부 핵심 장비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동 기술 장벽은 단기간 내 완전히 돌파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2.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시장 분석
ㅇ (종합) 중국 공신부(工信部)에 따르면 중국 선박 부품의 현지화율은 평균 54%에 달하여, 기타 국가(한국 90%, 일본 95% 등)의 국산화율과 차이를 보임
- 2024년 중국 조선기자재 수입액은 37억6200만 USD로 전년 대비 33.6% 증가했으며, △선박용 디젤 엔진 및 부품, △선박용 추진기 등 장비를 주로 수입
- 2024년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시장은 68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9% 성장, 2030년에는 시장규모가 1,322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선박동력) 중국의 선박용 디젤 엔진 개발은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는 대부분 해외 브랜드의 생산 기술 도입 또는 수입에 의존
- 전기 추진 시스템은 △효율성 향상, △기술 혁신, △경제성 개선 등의 요인에 힘입어 민간 선박 분야에서의 적용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ㅇ (선박 전자전기 제품) 중국의 △통신항해장비,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위상 배열 레이더, △소나 등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지속 전망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선박 통신 항해 장비 산업은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고급 제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지만 중저가 제품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 보유
-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장비의 상당수는 여전히 해외 제품에 의존하고 있으나, 정부 정책 및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국산화 및 표준화가 가속화 되고 있음
ㅇ (선박 보조기계) 2024년 중국의 △선박용 펌프, △감판기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은 모두 전년 대비 성장
- 특히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은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분야에서 IMO 형식 승인 시스템을 보유한 기업이 가장 많은 국가임
ㅇ (선박자재) ①(강재)고급 선박용 강재에 대한 수요 증가 추세이며, ②티타늄재중국 함선 건조 분야에서 티타늄 합금의 사용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③비금속복합소재 중국은 현재 고성능섬유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추후 성장 잠재력 높음
3. 친환경 조선기자재 정책 분석
ㅇ (글로벌 탈탄소 정책) 해운수송의 탄소배출 문제가 대두되며, 대체연료 선박의 연구개발과 상업화가 글로벌 탄소 감축 추세의 핵심 방향이 됨
- 2025년 4월, IMO는 ‘순배출 제로 이행체계(Net-Zero Framework)’ 공식 승인하였으며, 2027년부터 “시장 기반 탄소 감축 메커니즘” 공식 적용될 예정
- 이처럼 IMO의 규제가 정량 평가(EEXI·CII) → 배출거래(ETS) → 글로벌 탄소세 도입으로 점차 강화되면서, 친환경 조선기자재 수요가 빠르게 확산
ㅇ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정책) 2021년, 중국 정부는 ‘친환경 스마트 선박’을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육성할 것을 명시하였으며, 2030년 글로벌 선두를 목표로 함
ㅇ (중국 탄소중립 정책)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 기조는 1(하나의 중심 정책)+N(여러개의 세부 정책)을 바탕으로 추진하며, 탄소 발자국 정량화 요건 통칙 국가표준을 제정해 중국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지원
4. 중국 친환경 조선기자재 시장 진출전략
ㅇ (진출 유망 분야) △한국 기술이 우위에 있는 분야, △중국 수요 증가 분야, △친환경 관련 신흥 부상 분야 등이 진출 유망 분야로 판단됨
- ①‘한국 기술이 우위에 있는 분야’로는 △고부가 LNG선 설비 기술, △자립형 친환경 추진 시스템, △연료공급·저장 통합 기술이 있음
- ②‘중국 수요 기반 진입 분야’에는 △LNG 저장탱크 첨단 기술, △내륙 화물선 친환경 동력 시스템, △IMO 규제 대응용 친환경 기자재가 있음
- ③‘신흥 친환경 조선기자재 분야’에는 △암모니아 추진선 기술, △액체수소 운반선 기자재, △CCS(탄소포집저장) 기술, △연료전지 기반 전동 선박, △하이브리드 전기추진 솔루션, △스마트 조선소 플랫폼이 있음
ㅇ (현지 진출 전략) 중국 진출 방식으로는 △직접투자, △합자/합작투자, △대리판매 모델 등이 있음
- 중국 시장 진출 전략으로는 △맞춤형 포지셔닝, △전략적인 가격 책정, △채널 구축 및 판매 전략 수립 등이 있음
- 현지화를 위해 중국 시장을 이해하는 현지 인재를 채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중국 시장의 수요에 따른 제품 현지화도 필요함. 더불어, 공급망을 현지화 한다면 비용 절감, 공급 안정성 확보, 시장 대응력 제고 측면에서 유리함<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번호 | 보고서명 | 첨부파일 | 저자 | 발간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