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도 내는 중국의 자율주행기술, 응용과 전망
- 총서번호 25-027
- 발간일 2025-07-01
- 게시일 2025-07-01
- 페이지 43
-
관련지역
아시아 중국
- 첨부파일
-
목차
제1장 중국 자율주행 차량 산업 발전 개황
요약
제1절 자율주행차의 정의
제2절 발전 배경
제3절 중국 자율주행의 산업 현황
제2장 중국 자율주행 산업 밸류체인 및 주요 기업
제1절 중국 자율주행 산업의 밸류체인
제2절 중국 자율주행 기업 현황
제3절 중국 자율주행 주요 기업
제3장 중국 자율주행 차량 응용 분야
제1절 도시 관리
제2절 항만
제3절 광업
제4절 물류
제5절 유통
제6절 도심 교통
제4장 전망 및 협력기회
제1절 전망과 시사점
제2절 협력기회□ [현황] 중국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 가속화
◦ 발전의 3대 동력: ①전기차의 빠른 보급 ②물류비 절감 ③정부 정책
◦ 승용차의 자율주행은 L2에서 L3+로 전환, 상업용 차량의 자율주행은 수익창출 가능 단계에 진입
◦ 자율주행 산업에 대한 투자 증가, 시장 규모는 빠르게 증가
□ [산업체인 및 주요 기업] 자국 내 완전한 산업체인 구축, 외국 자본의 투자 활성화
◦ 업스트림 기업의 수익 실현, 미들스트림 제조업체들은 수익 모델 구축 중, 다운스트림 일부는 소규모 상업화 완료
◦ 해외 상장 기업 및 유니콘 기업 다수 분포
□ [적용 사례] 중국 자율주행의 6대 활용 분야
◦ (도시 관리) 정부가 도심 미화를 위해 빠른 속도로 상업적 활용 시작
◦ (항만) 중국 항구의 자율주행은 세계 시장의 30% 차지
◦ (광업) 2025년 중국 내 신규 광산의 무인 트럭 침투율은 20%에 도달
◦ (물류) '엔드 투 엔드' 운송을 통해 가장 유용한 상업적 활용 실현
◦ (유통) 메이퇀, SF 특송, JD.com 등 물류 대기업이 라스트 마일 배송 실시
◦ (도심교통) 중국 내 다수 도시에서 완전 무인 택시 운영, 상업화 추진
□ [전망] 신기술 도입으로 자동차 산업 공급망 재편 중, 중국 자율주행차 부품 시장 확대
◦ (전망) 자동차 산업의 지능화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자동차 공급망 구조가 재편
◦ (협력기회) 중국의 자율주행 차량 및 서비스 증가는 관련 시장에서의 기회를 확대<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번호 | 보고서명 | 첨부파일 | 저자 | 발간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