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일본 차세대배터리 산업 동향 및 육성전략 분석
2025 일본 차세대배터리 산업 동향 및 육성전략 분석
목차

제1장 일본 차세대배터리 시장 현황과 경쟁력    
제1절 글로벌 시장 및 일본 시장 현황
제2절 일본의 차세대배터리 수출입 현황
제3절 일본 차세대배터리 산업의 경쟁우위 분야

제2장 일본 정부의 차세대배터리 육성 및 인력 확보 지원 정책
제1절 일본 정부의 차세대배터리 육성 정책
제2절 일본 정부의 공급망 안정화 정책
제3절 기술 인력 확보 및 유치 제도
    
제3장 일본 차세대배터리 주요 기업 현황 및 산업 전망    
제1절 일본 차세대배터리 주요 기업 현황    
제2절 관련 업계 인터뷰를 통한 일본 차세대배터리 산업 전망
    
제4장 차세대배터리 분야 한일 협력을 위한 시사점

부 록

요약

□ 시장 동향
◦ 전 세계 배터리 수요는 2050년까지 약 1.1만 GWh, 100조 엔 규모로 성장 예상됨
◦ 일본은 2024년 85GWh 생산능력 보유, 2030년까지 150GWh 확보를 목표로 민관 투자 확대 중임

□ 일본 배터리 산업의 경쟁우위 분야
◦ 전고체·리튬황 등 차세대 소재 분야에서 기술 실증과 특허 출원이 활발
◦ 고속 자동화 설비와 품질관리 시스템(QMS) 도입으로 정밀 제조 체계 보유
◦ 니켈·전해질 등 핵심소재의 고순도 정제·가공 기술에서 세계적 경쟁력 확보

□ 일본 정부의 정책 방향
◦ 배터리를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산업으로 규정, 3단계 전략* 추진
* ① 제조 기반 확대 → ② 글로벌 생산력 강화 → ③ 차세대 기술 상용화
◦ 기술·자원 확보 및 실증 지원제도 추진
* GI기금(2조 엔 규모), SoliD-NEXT(100억 엔 규모), JOGMEC 공급망 보조 등
◦ 공급망 전반에서 2030년까지 3만 명 인재 확보 추진

□ 주요 일본 기업의 대응 전략
◦ (파나소닉에너지) 4680셀 자동화 생산, 네바다·캔자스 공장 통한 관세 대응 강화
◦ (TDK) 소형 고밀도 배터리와 AI 디바이스 연계, 중국 외 공급망 다변화 추진
◦ (GS유아사) 전고체·ESS용 셀 개발 및 합작 기반 OEM 전략 검토

□ 산업 전망 및 한국 기업 시사점
◦ 전고체·ESS 등 차세대 기술은 상용화까지 시간이 필요하나, 산업용 중심으로 수요 확대 가능성이 있음
◦ 우리 기업은 공동 실증·OEM 등 간접 진입과 QMS 기반 품질 신뢰 확보 전략 필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