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무역사기 예방 및 대응 매뉴얼
2025 무역사기 예방 및 대응 매뉴얼
목차

I. 들어가며

II. 무역사기 이해하기
1. 무역사기의 발생 현황과 분류
2. 무역사기 발생 배경과 동기
3. 무역사기 동향과 사례 분석

III. 무역사기 예방전략
1. 위험 평가 및 관리 체계 운영
2. 무역사기 유형별 주의해야 할 사항

IV. 지역별 무역사기 수법 및 대응 팁
1. 중동
2. 동남아
3. 아프리카
4. 유럽
5. 북미
6. 중국
7. 중남미
8. 일본
9. CIS

V. 무역사기 발생 시 핵심 행동요령
1. 무역사기 대응 핵심 행동요령
2. 관련 웹사이트

요약

□ 2024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KOTRA 해외무역관에 접수된 우리 기업 대상 무역사기는 총 90건으로 집계
□ 2024년에 무역관을 통해 접수된 무역사기 건들은 유형별 분류에 따라 금품사기 28건, 서류위조 19건, 선적불량 16건, 이메일사기 14건, 결제사기 6건, 불법체류 2건, 기타 5건 순
□ 유사한 무역사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사기 유형과 수법에 대한 이해 필요
□ 계좌번호 변경을 안내하며 제3의 계좌로 송금을 유도하는 것은 이메일 무역사기의 전형적인 패턴으로 주의
□ 제품 확인 전 대량 주문을 하거나 우호적인 결제조건을 제시하며 계약을 서두를 경우 무역사기의 확률이 높음
□ 사기 발생 후에는 자금회수 등 문제 해결이 어려우므로 예방이 필수
□ 거래 전 KOTRA(해외수입업체 연락처 확인), 한국무역보험공사(국외기업 신용 조사) 등을 통한 해외 기업 및 담당자에 대한 조사는 필수
□ 신흥국과의 거래, 대형 거래 또는 첫 거래인 경우 무역보험, 신용장 거래 등을 통해 안전장치 확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