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진출 전략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진출 전략
목차

제1장 베네수엘라 경제 및 교역
제1절 경제 동향
제2절 한-베네수엘라 교역 동향

제2장 베네수엘라 자동차 시장 동향
제1절 자동차 생산·수입·판매 동향
제2절 중고차 시장 동향

제3장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시장 동향
제1절 자동차부품 수입 동향
제2절 한국산 자동차부품 수입 동향
제3절 진출 유망 품목

제4장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시장 진출 전략
제1절 진출 전략
제2절 전문가 인터뷰
제3절 잠재 바이어 정보
제4절 기타 정보

참고. 콜롬비아의 한국산 자동차부품 비중    

요약

□ 베네수엘라는 ’21년부터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완화되면서 경제가 성장하고 있으며, '25년 약 3%의 경제성장을 예상
◦ 경제 성장에 따라 베네수엘라의 수입도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은 '24년 약 42백만 달러를 수출하여 '20년(19백만 달러) 대비 2.2배 증가
◦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승용차, 담배, 냉장고, 계면활성제, 자동차부품 순

□ ’24년 베네수엘라는 약 13천대의 차량을 중국, 미국, 태국, 브라질 등에서 수입했으며 한국산 차량의 수입 비중은 2.8%로 7위를 차지
◦ ’24년 베네수엘라의 신차 판매량은 17,588대로 전년 대비(7,245대) 142% 증가

□ 베네수엘라에서 운행되는 전체 차량의 79.9%가 15년 이상의 연식을 보유하고 있어서 차량 유지를 위한 자동차부품 수요가 꾸준히 존재
◦ ’23년 기준 차량 점유율 분석 결과, 1위는 Chevrolet(28.5%), 2위 Ford(17.7%), 3위 Toyota(13.6%) 순이며, 현대는 3.4%로 7위, 기아는 1.4%로 14위 차지

□ 45개 주요 자동차부품 HS코드를 기반으로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수입 동향 분석 결과, 35개 품목이 연간 20% 이상의 수입 증가율을 기록
◦ 현재 한국산 부품 수요는 주로 승용차용 타이어(HS코드 401110)와 소형트럭용 타이어(401120)에 집중

□ 수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베네수엘라 진출 유망 품목을 도출한 결과, 엔진부품-DIESEL(HS코드 840999), 승용차(HS코드 401110) 및 소형트럭용 타이어(HS코드 401120), 클러치와 부분품(HS코드 870893) 등이 선정

□ 베네수엘라는 전형적인 셀러 마켓으로 판단되므로 유력한 현지 파트너 발굴이 중요
◦ 파트너 발굴을 위해서는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유관기관(Favenpa, Canidra) 또는 KOTRA 보고타무역관(베네수엘라 관할) 활용 추천
◦ EXPOCANIDRA 등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전시회 참가 검토 및 가격 외의 품질, 납기, A/S 등의 마케팅 포인트 발굴 필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