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장·냉동식품, 중국 수출 가이드
- 총서번호 24-219
- 발간일 2025-01-15
- 게시일 2025-01-15
- 페이지 37
-
관련지역
아시아 중국
- 첨부파일
-
목차
Ⅰ. 중국 냉장·냉동식품 소비 트렌드
요약
1. 중국 냉장·냉동식품 소비 트렌드
Ⅱ. 중국 식품 통관 절차 및 유의사항
1. 중국 식품 수출 절차
2. 식품 수입 관련 중국 기관
3. 통관 시 유의사항
Ⅲ. 한-산둥성 식품 물류 인프라
1. 산둥성 물류 인프라
2. 산둥성 항구별 특징
3. 산둥성 물류창고
Ⅳ. 냉장·냉동식품 주요 수출 사례 및 시사점
1. 주요 수출 사례
2. 시사점□ 중국 냉장·냉동식품 소비 트렌드
ㅇ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가공식, 건강식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냉장·냉동식품을 찾는 소비자 또한 늘고 있음
ㅇ 콜드체인 물류 인프라가 확충됨에 따라 냉장·냉동식품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해져 소비자들의 냉장·냉동식품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
□ 중국 식품 통관 절차 및 유의사항
ㅇ 중국 식품 수출은 해외생산기업 등록, 품목별 수출입 조건 파악, 수출신고, 수입신고, 검역, 관세 납부의 절차로 진행
ㅇ 식품 수입을 담당하는 중국 기관은 해관총서, 국가시장감독관리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농업농촌부가 있음
ㅇ 중국 식품 통관 시 통관이 거부되는 최다 사례는 라벨링 규정 미준수로 수출기업의 라벨링 표기 등 관련 규정 숙지 필요
□ 한-산둥성 식품 물류 인프라
ㅇ 산둥성은 지리적 측면·통관 시스템·콜드체인 물류 등 신선식품 수출에 적합한 인프라를 보유
ㅇ 산둥성 항구별 특징이 다르므로 식품 종류에 따라 적합한 항구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
ㅇ 산둥성에는 냉장·냉동 창고를 보유한 물류통관사가 다수 소재하여 신선식품 보관·통관에 유리
□ 냉장·냉동식품 주요 수출 사례
ㅇ 치즈볼·꼬마피자·게맛살·우유·냉동 김밥은 산둥성을 통해 수입 유통되어 중국 전역으로 판매되고 있음<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번호 | 보고서명 | 첨부파일 | 저자 | 발간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