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북한 대외무역 동향
- 총서번호 25-091
- 발간일 2025-07-28
- 게시일 2025-07-28
- 페이지 101
-
관련지역
KOTRA 본사 KOTRA 본사 전세계
- 첨부파일
-
목차
요약
요약
Ⅰ. 조사 개요
Ⅱ. 2024년 북한 대외무역 실적
Ⅲ. 종합평가
[자료] #1 북한의 연도별 대외무역 추이
#2 북한의 품목별 수출입
#3 북한의 국별 수출입
#4 주요 국가의 품목별 수출입
#5 북한의 품목・국가별 수출입
#6 자료원ㅁ (무역규모) 2024년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전년에 비해 2.6% 감소한 27억 달러 기록. 북한의 수출은 전년 대비 10.9% 증가한 3.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23.4억 달러를 기록, 무역수지는 19.8억 달러 적자로 전년 대비 6.8% 축소
ㅁ (주요 교역품목 동향) 2024년 최대 수출품목은 신발・모자(HS 64-67)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1%(1.9억 달러)이며, 광물성생산품(HS 25-27)은 19.2%(6,911만 달러) 차지. 2024년 최대 수입품목은 광물성생산품(HS 25-27)으로 19.2%(4.5억 달러)이며, 이어서 섬유제품(HS 50-63)이 18.2%(4.2억 달러) 차지
ㅁ (對중국 의존도 유지) 2024년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98%로 2023년의 98.3%에서 다소 하락, 對중국 수출은 3.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6.9% 증가, 수입은 23억 달러로 전년 대비 5.3% 감소
ㅁ (주요 교역국가) 2024년 중국을 선두로 아르헨티나, 베트남이 3대 교역국이며 네덜란드, 나이지리아, 인도, 오스트리아, 인도네시아, 모잠비크, 세네갈 順으로 10위권에 들었으며, 인도네시아, 세네갈이 10대 교역국에 새롭게 진입
ㅁ (아시아 지역 편중) 2024년 10대 교역국 중 아시아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총 4개국이며, 이들의 교역 비중은 2023년 99.1%에서 다소 하락한 98.6% 수준을 기록. 금액과 물량 면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의 영향으로 아시아 지역 편중 현상 지속<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번호 | 보고서명 | 첨부파일 | 저자 | 발간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