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폴리에틸렌 시장 동향
  • 상품DB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이준호
  • 2024-07-01
  • 출처 : KOTRA

국내 업체의 높은 품질 내세워 치열한 인도 시장 경쟁 뚫어야

상품 이름 및 HS 코드

폴리에틸렌-PE, HS 코드 390140

 

폴리에틸렌(PE)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인식되는 폴리머이며 그 가용 범위는 굉장히 넓다. 폴리에틸렌은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며 각각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고유의 특성을 지닌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등이 있다.

 

인도의 폴리에틸렌(PE) 수요는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및 최종 사용 산업의 확대로 인해 상당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국가 중 하나인 인도는 중산층의 가처분소득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폴리에틸렌의 주요 응용 분야인 소비재 포장 제품, 자동차 부품 및 건축 자재 등 여러 부문으로 부터 수요가 촉발되고 있다.

 

인도 폴리에틸렌 시장 동향

 

인도의 폴리머 수요는 2022-23 회계연도에 12% 증가했는데, 이는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둔화가 2년 넘게 지속된 후 소비자 활동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해당 업계의 대기업 Reliance Industries Ltd(RIL)가 자사의 투자자와 주주에게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22-23 회계연도에 인도의 전체 폴리머 수요는 1,710만 톤으로 전년도에 보고된 1,530만 톤보다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의 수요는 2022-23 회계연도에 전년 대비 8% 증가한 700만 톤으로 보고되었다.

 

<인도의 폴리머 및 폴리에틸렌 수요 증가세>

(단위: 백만 톤)

내역

회계 연도

성장률(%)

2021-22

2022-23

폴리머

15.3

17.1

12%

폴리에틸렌(PE)

6.4

7.0

8%

[자료: Reliance Industries Ltd]

 

인도에서 폴리에틸렌을 소비하는 주요 부문 중 하나는 바로 포장 산업이다. 전자 상거래가 발달되고 간편식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연하고 내구성 있는 포장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처럼 은 , , 한 광범위한 포장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인도의 건설 산업 또한 폴리에틸렌 수요를 주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주택 프로젝트, 스마트 시티, 도시 인프라 개선을 포함한 인프라 개발을 추진하는 인도 정부는 배관 시스템, 단열재 및 기타 건축 자재에 사용될 상당한 양의 HDPE를 필요로 한다.

 

자동차 산업은 인도의 폴리에틸렌 수요 증가에 기여하는 또 다른 중요한 부문이다. 인도가 새로운 자동차 제조 허브로 부상함에 따라 가벼운 차량용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UHMWPE 및 HDPE 형태의 폴리에틸렌은 연료 탱크, 내부 패널 및 엔진룸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고 있다.

 

<인도의 폴리에틸렌(PE) 응용분야별 점유율, 2022>

[자료: Statista]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동향과 규모

 

인도의 폴리에틸렌(PE) 수입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인도가 상당한 폴리에틸렌 제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급증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상당량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HDPE, LLDPE 및 특수 폴리에틸렌 유형과 같은 특정 등급의 폴리에틸렌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인도의 폴리에틸렌 수입 현황>

(단위: US$백만, %)

연번

무역 파트너

수입금액

점유율

증감률

22-23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세계

518.8

698.1

750.6

100.0

100.0

100.0

7.5

1

싱가포르

210.1

231.3

255.8

40.5

33.1

34.1

10.6

2

미국

57.0

123.3

114.5

11.0

17.7

15.2

-7.2

3

아랍에미리트

94.1

123.7

110.7

18.1

17.7

14.7

-10.5

4

말레이시아

66.9

66.3

83.4

12.9

9.5

11.1

25.8

5

카타르

7.0

27.5

35.0

1.3

3.9

4.7

27.5

6

태국

19.5

34.6

33.3

3.8

5.0

4.4

-3.8

7

캐나다

9.8

18.3

28.8

1.9

2.6

3.8

57.1

8

사우디아라비아

22.9

29.0

26.9

4.4

4.2

3.6

-7.2

9

스페인

5.5

8.0

17.1

1.1

1.2

2.3

112.4

10

대한민국

15.1

12.6

15.7

2.9

1.8

2.1

25.0

[자료: DGCI&S, 인도 상무부]

 

경쟁 동향

 

인도 폴리에틸렌(PE) 시장에는 국내외 업체 간의 경쟁, 생산 기술의 발전, 변화하는 규제 등 여러 요인이 상존한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수요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시장 내 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인도에는 Reliance Industries Limited, Indian Oil Corporation 및 GAIL (India) Limited와 같은 국내 제조업체들이 존재한다. 이 회사들은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기술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와 발맞추어 인도 정부에서도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이니셔티브와 같은 국내 제조업 촉진 정책을 통해 석유화학 부문에 대한 현지 생산 및 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시장에서 가격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원자재 가격, 특히 원유의 변동은 폴리에틸렌 생산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조업체는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인도의 주요 폴리에틸렌 공급업체>

연번

회사명

소개

웹페이지

1

Reliance Industries Limited

-인도 최대의 석유 화학 제품 생산업체이자 세계 10대 제조업체에 해당.

-1992년 Hazira Petrochemical Complex에 연간 200,000톤 생산규모의

첫 번째 PE 공장을 가동. 이 공장에서는 LLDPE와 HDPE를 모두 제조 가능.

https://www.ril.com/

2

Haldia Petrochemicals Limited

-연간 70만 톤의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는 주요 제조업체 중 하나.

-다양한 등급의 HDPE 및 LLDPE를 제조.

https://www.haldiapetrochemicals.com/

3

HPCL-Mittal Energy Ltd

-2007년 인도 정부 기업인 HPCL과 싱가포르 

Mittal Energy Investments Pte Ltd.(MEIL) 간의 민관 합작 투자로 설립.

-모든 응용 분야에 맞는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제품을 연간 총 220만 톤 생산.

https://www.hmel.in/

4

GAIL (India) Limited

-GAIL은 캐나다 M/s Nova Chemicals로부터 라이센스를 받아 

 LLDPE 및 HDPE를 생산할 수 있는 "Sclairtech" 용액 중합 공정을 보유.

-HDPE를 생산하기 위해 일본 M/s Mitsui Chemicals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두 개의 슬러리 기반 중합 공정을 보유.

https://www.gailonline.com/home.html

5

Brahmaputra Cracker and Polymer Limited (BCPL)

-GAIL (India) Limited에서 지분 70%를 보유.

-연간 220,000 톤의 HDPE 및 LLDPE의 생산.

https://bcplonline.co.in/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종합]

 

유통 구조

 

DCA-cum-CS(Del Credere Agent cum Consignment Stockist)는 인도에서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한 폴리머의 마케팅 및 유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el Credere 에이전트는 제조업체와 최종사용자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구매자가 지불 의무를 이행할 것이라는 보증을 제조업체에 제공한다. DCA의 주요 역할에는 신용 보증, 판매 촉진, 고객 관리 및 재고 관리 등이 있다.

 

<인도 폴리에틸렌 시장 유통 구조>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종합]

 

관세 정보

 

<자유무역협정 체결 여부 및 관세율(2024년 4월 15일 기준)>

국가

인도와의 자유무역협정

협정 혜택 여부

기본관세율

최종관세율

말레이시아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있음

5%

24.99%

싱가포르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있음

0%

18.00%

대한민국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있음

5%

24.99%

아랍에미리트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있음

6%

26.38%

미국

-

없음

7.5%

28.47%

[자료: Indiantradeportal]

 

<관세 계산식(미국 기준)>

내역

관세율

수식

최종관세율

평가 가능 가치(AV)

-

100

 

기본 관세율 (BCD)

7.5%

7.5%X(AV)

7.50%

세관 AIDC (C. AIDC)

7.5%

7.5%X(BCD)

0.56%

사회 복지 할증료 (SWS)

10%

10%X(BCD+AIDC)

0.81%

IGST

18%

18% X (AV+BCD+AIDC+SWS)

19.60%

총 관세

 

BCD+AIDC+SWS+IGST

28.47%

*AIDC= 농업 인프라 및 개발 세(Agriculture Infrastructure and Development Cess)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종합]

 

반덤핑 관세(ADD)

 

지난 2020년,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https://www.dgtr.gov.in)에서는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태국, 아랍에미리트, 미국으로부터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입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인도 정부는 2022년 6월 이러한 수입품에 반덤핑 관세(ADD)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현재로써 확인되는 반덤핑 관세는 존재하지 않는다.

 

<HS코드 390140에 대한 인도 정부의 반덤핑 조사 내역>

[자료: https://www.dgtr.gov.in]

 

인증

 

인도 화학비료부 산하 화학및석유화학부는 "성형 및 압출(품질관리)용 폴리에틸렌" 재료에 대해 품질관리 명령을 통보한 바 있다. 당국은 시행일을 6차례 연장한 뒤 2024년 1월부터 최종 시행하였으며, 이러한 조치에서 특정 등급의 폴리에틸렌 제품은 제외시켰다. 품질관리 명령으로부터 면제된 제품에는 LDPE coating, LDPE film grades (blown/cast) or pharma, LLDPE butene grades, LLDPE hexene/ octene grades, metallocene polyethylene grades, base resins of power cable, jacketing and other applications and compounds for Cable Jacketing/ Sheathing/ Polyethylene-80 and Polyethylene-100 (Black and Pigmented)/ reinforcement fillers 등이 있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인도 정부의 BIS 규제>

인증서 마크

또한 라이선스 번호는 BIS 표준 마크와 함께 제품에 적절하게 표시되어야 하며, 표준 마크 아래에 'CM/L-XXXXXXXXXX'의 형태로 표시되어야 함.

세부사항: https://www.bis.gov.in/wp-content/uploads/2018/08/Diamensions_of_ISI.pdf

인증서 이름

ISI mark on product under Foreign Manufacturers Certification Scheme (FMCS)

대상 제품

https://www.bis.gov.in/wp-content/uploads/2021/05/Polyester-QCO.pdf

https://www.bis.gov.in/wp-content/uploads/2024/01/Polyethylene-Material-for-Moulding-and-Extrusion.pdf

절차

BIS에 신청서 제출 è BIS 담당자가 구내(공장) 방문을 주선 è 방문 비용 및 테스트 비용을 지불è통과 보고서 작성 후 인증서 발급

인증 기관

인도 표준국(Bureau of Indian Standards)

웹사이트: https://bis.gov.in/

Head, Foreign Manufacturers Certification Department

Room No. 459, Manakalaya Building, Bureau of Indian Standards, 9, Bahadur Shah Zafar Marg, New Delhi – 110002

Phone: +91-11-2323 0131/3375/9402, 2360 8280/8319/8449

Email: fmcs@bis.gov.in

자주 묻는 질문(FAQ)

https://www.bis.gov.in/fmcs/fmcs-faqs/

[자료: KOTRA뭄바이무역관 종합]

 

시사점

 

인도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포장, 건설, 자동차 및 소비재를 포함한 다양한 부문에서 폴리에틸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관련 수출업체에게 인도의 포장 산업은 상당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첨단 기술과 고품질 폴리에틸렌 제품을 보유한 한국 기업은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인도에 제공함으로써 성장하고 있는 인도의 소비재 시장에서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의 폴리에틸렌 시장 경쟁 구도는 Reliance Industries Limited 및 Indian Oil Corporation과 같은 기존 국내 제조업체와 주요 국제 업체로 인해 치열하다. 한국 업체는 우수한 품질, 혁신적인 솔루션, 경쟁력 있는 가격을 통해 차별화해야 한다. 현지 유통업체와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고 기술 발전을 활용하면 경쟁이 치열한 인도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tyroplast Trading의 Doshi는 KOTRA 뭄바이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도 시장은 폴리에틸렌 기반 제품을 공급하는 한국 업체에게 상당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신중한 고려가 필요한 도전 과제도 제시합니다. 시장 역학을 이해하고, 규정을 준수하고, 물류를 최적화하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에 투자함으로써 한국 수출업체는 성장하는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지 유통업체, 딜러 및 물류 제공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유통 및 시장 침투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지 파트너는 시장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규제 및 물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료: Indian trade portal, DGTR, BIS, ICEGATE, KOTRA 데이터베이스,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폴리에틸렌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