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러시아 국제헬스케어 전시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25-10-27
  • 출처 : KOTRA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러시아 의료산업의 현 실태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2025년 제3회 국제헬스케어 전시·포럼

개최기간

2025.10.14(화) ~ 16(목)

개최주기

연 1회

개최장소

Expo center Novosibirsk, Russia Federation

홈페이지

https://xn--e1anbdcdahefrkku.xn--p1ai/

개최규모

참가기업 수: 100개사

(러시아, 벨라루스, 한국, 중국, 유럽 등 참여)

주요품목

의료장비, 의료부자재, 소모품, 제약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병원용 가구, 의료 서비스 및 교육 등

외국기업 참가

벨라루스, 한국(현지 대리점), 중국, 유럽

 

<주요 참가기업 리스트>

회사 로고

회사명(국가)

누가의료기(한국)-재활기기, 저주파 자극기 등

Medgrade(러시아)-글로벌 기업 의료기기 제품 전문 유통

Deal Med(러시아)-의료기기 전문 유통(한국 및 중국 기업 OEM 제조 포함)

Bonafide(러시아)-성형, 재활, 미용 기기 전문 유통

Medine(벨라루스)-의료기기 및 가구 제조

 

올해 3회 차를 맞이한 '국제 헬스케어 전시회'는 의료 장비, 각종 부자재, 제약, 기술 개발 및 의료 시스템 현대화를 위한 전문 전시회이다. 러시아 산업통상부 주관으로, 상공회의소, 노보시비르스크 주 정부 및 보건부의 지원을 받아 개최되고 있다. 전시회에는 러시아 내 38개 도시와 해외에서 온 100개 이상의 기업들이 참가하여 최신 제품을 소개하는 홍보의 장이 열렸다. 

 

개최 기간 동안 노보시비르스크 의사 협회, 간호사 협회 및 노보시비르스크 국립의대 종사자들의 참석 하에 <시베리아 연방관구: 과학과 실습> 이란 주제로 포럼이 진행되었다. 해당 포럼에는 국제 전문가, 러시아 보건부 고위 공무원들도 참여하여 러시아 의료 기술 발전을 위한 토론이 진행됐다. 가장 활발하게 토론이 진행된 토론 주제는 웰빙 생활 홍보, 재활 치료 및 출산 관련 기술 발전이었다. 

 

<전시회 전경>

общий вид

конгресс-холл

전시장 전경

포럼행사

[자료: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주최 측 집계에 따르면 전시 기간 동안 베리아 연방관구 소속 지역, 한티만시 및 야말로-네네츠키 자치구 관련 종사자 포함 약 4천 여명의 방문객이 참가했다.


주요 참가 기업 부스 리뷰


전시회에 참가 업체 중 대다수는 러시아 제조업체들이 주를 이루었고 ELEPS, Mosneuro, MediCo 등 러 정부의 ‘수입 대체’ 정책에 발맞춰 첨단 생산 시설을 구축한 업체들이 눈에 띄었다.


<전시회 전경>

рос производитель

моснейро

ELEPS사 부스

Mosneuro사 부스

[자료: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벨라루스 업체 중 Medin사는 자체 생산하는 의료 기기와 병원 전문 가구를 홍보했고 참관객들은 세계적 수준의 제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전시회 전경> 

белорусы

Medin사 부스

[자료: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한국 업체는 러시아 현지 대리·유통점을 통해 전시회에 참여했다. 특히 매년 참가하는 (주)누가의료기(대리점 참여)의 부스에는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재활 분야 제품이 전시되어 방문객의 눈길을 끌었다. 


또한, 한국 의료 기기를 주로 취급하는 DIAR, Acuuniq 등 러시아 유통업체들이 참여하여 신제품을 소개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전시회 전경> 

nuga med

диар и медгрейд

㈜ 누가의료기 제품 체험

DiAR사 부스

[자료: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현지 기업 인터뷰


(1) Ms. Victoriya Alexandrovna(Smart Medica)

수입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참여하였으며 한국 업체들과의 풍부한 거래 경험을 갖고 있다. 2024년 KIMES에 참여하여 다양한 한국 업체들과 미팅을 진행했다. 수입 제품에 대해 인증·등록을 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러시아 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에 대해서는 항상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2) Mr. Anton Antonov(Medgrade)

주로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많이 하지만 한국 업체들과의 거래한 경험이 있다고 밝히면서 러시아 시장에서 알맞은 제품이 있다면 언제든지 수입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기기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사점

 

러시아 의료 산업은 2020년 이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Rosstat에 따르면 관련 예산이 2020년 870억 루블(약 11억 달러)에서 2024년 1조 5700억 루블(약 200억 달러)로 4년 만에 80.5%나 증가했다. 공공 의료 발전을 위해서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예정인데 2030년까지 ‘Prolonged and Active life’ 프로젝트에 약 2조 루블(약 227억 달러) 규모의 예산이 디지털 전환, 국민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의료기기·의약품 ‘회색시장’ 개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전체적으로 러시아 의료 시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해외 선도 기업들과 협력하여 러시아 국내 제조를 바탕으로 ‘수입 대체’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등록·인증을 진행하는데 최소 몇 달에서 최대 몇 년이 소요되므로, 러시아 시장 진입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들은 등록 및 인증에서 역량을 갖춘 현지 파트너사와 협력을 하는 것이 시장 진출에 유리하다.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 러시아 국제헬스케어 전시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