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김다빈
- 2025-10-27
- 출처 : KOTRA
-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건강 관리 트렌드와 디지털 생활 확산에 따라 성장 중
우리 기업은 기능성과 착용 편의성 강화를 통해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 공략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HS코드 및 상품명>
HS코드
상품명
851762
- HS 851762(6자리): 음성ㆍ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수신용ㆍ변환용ㆍ송신용ㆍ재생용 기기[교환기와 라우팅(routing)기기를 포함한다]
- HS 851762-010: 스위칭 및 라우팅 장치
- HS 851762-090: 기타
[자료: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수입통계품목표 (2025.4.1.)]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폰처럼 ‘휴대하는’ 것이 아니라 ‘착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기의 형태는 손목형부터 고글형, 캡형, 링형, 헤드폰형, 펜던트형 등 다양하며 하나의 기기에 여러 기능을 통합해 결제, 채팅 등 일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용 부위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심박수, 신체 움직임 등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건강 관리나 행동기록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도 증가하고 있다.
시장 동향
H&I Global Research에 따르면, 일본 웨어러블 기술 시장의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36억6000만 달러였으며, 약 26.8%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2035년에는 499억9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에서는 고령화 사회 진행과 건강 관리 관심 증가로 생체 신호 모니터링과 운동 추적 기능을 갖춘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젊은 층에서도 스마트워치와 피트니스 트래커가 확산되며 시장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일본 웨어러블 기술 시장 규모>
(단위: US$ 10억)

[자료: H&I Global Research]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 확산과 디지털화에 따라, 일본 기업들은 웨어러블 기술 고도화와 패션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현지 기업 투자와 자금 조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웰니스 프로그램에서 웨어러블을 활용해 직원 건강을 관리하는 움직임도 성장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IoT 기술 발전으로 다른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상호 연결형 웨어러블이 등장하며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의 환경 의식 증가로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웨어러블 제품과 패션성을 결합한 전문 제품 출시도 확대되고 있다.
2024년 일본의 웨어러블 기기(HS 851762) 수입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약 67억7700만 달러였다. 2020년 이후 총수입 금액은 70억 달러 대 내외 수준에서 정체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상위권 수입국 동향을 살펴보면 중국이 꾸준히 50% 내외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일본의 웨어러블 기기 수입국 중 9위(2024년 기준)였으며 일본에서 약 1억4486만 달러 규모의 웨어러블 기기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4.9% 감소하면서 2.1%의 수입 점유율을 기록했다.
<일본의 최근 3개년 웨어러블 기기(HS 851762)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비율
증감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24기준)
-
전체
7,373,757
6,852,192
6,777,401
100
100
100
-1.1
1
중국
3,939,083
3,471,081
3,002,245
53.4
50.7
44.3
-13.5
2
태국
581,233
599,422
676,773
7.9
8.8
10.0
12.9
3
베트남
345,287
364,306
672,537
4.7
5.3
9.9
84.6
4
대만
677,128
592,814
595,597
9.2
8.7
8.8
0.5
5
미국
316,355
344,854
435,167
4.3
5.0
6.4
26.2
6
멕시코
229,529
257,608
322,275
3.1
3.8
4.8
25.1
7
말레이시아
601,221
407,174
304,967
8.2
5.9
4.5
-25.1
8
체코
88,900
160,394
232,933
1.2
2.3
3.4
45.2
9
대한민국
115,244
152,398
144,867
1.6
2.2
2.1
-4.9
10
인도
30,754
34,831
46,474
0.4
0.5
0.7
33.4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29.)]
경쟁 동향
2024년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상위 5개 제조사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출하량은 1241만 대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으며 Apple이 31.8%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Xiaomi는 33.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지만 Sony와 Samsung은 각각 -31.8%, -44.7% 수준으로 출하량이 감소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 내 상위 5개 기업별 출하량 및 점유율 변화>
(단위: 천 대, %)
기업
출하량
비율
증감률
2023
2024
2023
2024
(’24기준)
전체
12,040
12,410
100.0
100.0
3.1
Apple
3,280
3,950
27.2
8.9
20.4
Sony
1,610
1,100
13.4
4.7
-31.8
Samsung
1,050
580
8.7
4.2
-44.7
Xiaomi
390
520
3.2
3.9
33.1
Bose
410
490
3.4
46.5
19.2
기타
5,300
5,770
44.0
4.8
9.0
[자료: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해당 품목의 일본 시장 내 주요 브랜드는 아래와 같다.
<최근 출시된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
대표 제품명
특징
Apple
Apple Watch Series 9

watchOS 10 기반으로 iPhone과 연동해 알림, 결제, 앱 제어 가능. 심박수, 혈중 산소, 수면 추적 등 종합 헬스케어 기능 제공.
Sony
Wena 3

전통 아날로그 시계 디자인에 스마트 기능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 건강 추적, 음악 제어, 알림 수신, NFC 결제 등 지원. 일본 내 서비스 최적화로 일부 기능 지역 제한 가능.
Samsung
Galaxy Watch 8

수면 분석, 심박수, 혈중 산소, 피부 온도 등 다양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가능. 얇은 디자인과 편안한 착용감 제공, Galaxy AI와 One UI Watch 7으로 스마트 기능 지원.
Xiaomi
Smart Band 10

1.72인치 AMOLED 디스플레이로 선명한 화면 제공. 최대 21일 배터리 수명으로 장기간 사용 가능. 150개 이상의 운동 모드와 수면 추적 등 헬스케어 기능 강화.
Bose
Bose Frames Tempo

선글라스형 웨어러블 기기로 음악 청취와 스포츠 활동 동시 지원. 내장 오디오와 블루투스 연결로 알림·전화 수신 가능. 운동 중 활동량 추적 등 헬스케어 기능 제공.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유통 구조
일본 웨어러블 기기 산업의 유통은 ‘소비자 직접 판매형(D2C)’과 ‘멀티채널형' 두 가지 유통 구조로 구분된다.
① 소비자 직접 판매형(D2C) 유통 구조
소비자 직접 판매형 모델은 제조사가 기획, 생산, 판매를 통합 운영하며 자사 온라인 스토어나 전용 앱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 구조는 고객 데이터를 직접 확보할 수 있어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며, 구독형 서비스나 헬스케어 앱 연동 등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소비자 피드백을 즉시 제품 개선에 반영할 수 있어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② 멀티채널형 유통 구조
멀티채널형 모델은 가전 양판점, 통신사 매장, 전자상거래 플랫폼, 의료·기업용 B2B 경로 등 다양한 판매망을 병행하는 구조이다. 가전 양판점(예: 요도바시카메라, 빅카메라)은 체험형 매장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기기를 착용하고 구매 전 비교·상담을 할 수 있게 한다. 전자상거래 플랫폼(Amazon, Rakuten 등)은 가격 경쟁력과 접근성이 좋아 신규 기업의 진입 경로로 활용된다. 통신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워치 제품은 NTT도코모, KDDI(au), 소프트뱅크 등 통신사 매장을 통해 요금제와 연계된 형태로 판매되며, 통신사 매장은 요금제와 연계된 제품 판매와 포인트 프로그램을 통한 구매 촉진이 활발하며, 의료·기업용 B2B 채널에서는 건강 데이터 관리용 웨어러블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관세율
<HS코드, 상품명 및 관세율>
HS코드
상품명
관세율
851762
- HS 851762(6자리): 음성ㆍ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수신용ㆍ변환용ㆍ송신용ㆍ재생용 기기[교환기와 라우팅(routing)기기를 포함한다]
- HS 851762-010: 스위칭 및 라우팅 장치
- HS 851762-090: 기타
기본, WTO 협정, RCEP 모두 무관세
[자료: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수입통계품목표 (2025.4.1.)]
인증
일본에 웨어러블 기기를 수출할 경우, 이에 적용되는 필수 인증과 임의 인증에 유의해야 한다.
<일본 웨어러블 기기 관련 인증 정보>
구분
인증명
특징
필수 인증
기술 적합 (GITEKI) 인증
기술 적합 인증은 일본 총무성 지정 인증 기관을 통해 무선 통신 장비가 기술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는 강제 인증이다. 인증을 받으면 제품에 기술 적합 마크를 부착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의 블루투스·Wi-Fi 등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경우 적용 가능하다.
임의 인증
SAR 시험
SAR시험은 전자기기를 인체에 가까운 위치에 둔 상태에서 주파수가 다른 전자파를 조사하고, 이때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측정하는 인증이다. SAR 시험의 적용 요건 중에는 '최종 제품의 정상 사용 상태에서 안테나와 인체 사이의 거리가 20cm 이내'라는 항목이 존재한다.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몸에 착용해 사용하므로 이 적용 요건에 해당하지만, 평균 전력이 20mW 이하인 무선 장비의 경우 SAR 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S-QJA 인증
S-QJA 마크(S 마크)는 제조 사업자나 수입 사업자가 제3자의 인증을 받은 전기 제품에 표시할 수 있는 안전 마크이다. 저전압으로 사용되는 전기·전자 제품, 내장형 전원 장치 등의 반제품, 부품 등이 인증 대상이다.
VCCI 인증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IT 및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자발적으로 획득하는 인증이다. 등록 시험소에서 EMI 시험을 한 다음, 시험 보고서를 제출한 후 자가 등록을 통해 VCCI 마크를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저전력 무선 장비라 하더라도 주변 전자기기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적용할 수 있다.
[자료: KOTRA 도쿄무역관 정리]
시사점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건강 관리와 피트니스, 디지털 생활 확산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고령화와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원격 근무와 디지털화 영향으로 스마트워치, 피트니스 트래커 등 다양한 기기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IoT 기술 발전과 패션성을 결합한 제품이 등장하면서 소비자 경험이 풍부해졌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멀티채널 유통이 일반화돼 구매 접근성이 좋아졌다.
우리 기업은 일본 시장 진출 시 제품 기능성과 착용 편의성을 동시에 강화해 현지 소비자 니즈에 맞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D2C, 전자상거래, 통신사 판매망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적극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의료기관이나 기업 웰니스 프로그램과 연계한 B2B 모델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안전성과 품질을 입증할 수 있는 임의 인증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면 경쟁이 심화한 시장에서도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
자료: 일본 세관, 일본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 일본품질보장기구, 총무성,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Global Trade Atlas, GCA Korea, H&I Global Research, KOTRA 도쿄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웨어러블 기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국토 100% 커버리지 시대, 일본 위성통신의 현재는?
일본 2025-10-27
-
2
미국 반응성 염료 시장 동향
미국 2025-10-27
-
3
2025년 베트남 MZ세대가 선택한 카페 음료
베트남 2025-10-27
-
4
인도 화훼시장, 도시화와 웨딩 수요로 급성장
인도 2025-10-27
-
5
소셜미디어가 견인하는 태국 이커머스의 진화
태국 2025-10-27
-
6
폴란드 메모리 반도체 시장 동향
폴란드 2025-10-28
-
1
2025년 일본 조선업 정보
일본 2025-10-16
-
2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3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4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5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