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희토류 산업동향
  • 경제·무역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2-05-10
  • 출처 : KOTRA

중국은 희토류 전세계 최대 보유 및 생산 국가

전략자원화를 통해 정부가 개발·생산 등 통제

희토류 정의


희토류는 학술적으로 란탄계열 원소 15(원소기호 57~71)와 스칸듐(21), 이트륨(39) 등 비란탄계 2개 등 총 17개의 원소를 지칭하며, 원소번호에 따라 ··重(경··중)으로 구분된다. 첨단산업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어 첨단산업의 비타민으로 불리기도 하며, 일부 첨단장비는 희토류 없이는 제조가 불가능하기까지 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기도 하다. 전기차 엔진과 배터리, 스마트폰, 전투기 및 원자력잠수함, 태양광 셀, 풍력터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희토류별 상품용도 >

구분

원소번호

원소명

기호

용도

()

희토류

57

란타늄

La

니켈수소 전지, 석유화학 촉매

58

세륨

Ce

강화유리, 촉매, 세라믹, 자석

59

프라세오디뮴

Pr

영구자석, 레이저, 페인트

60

네오디뮴

Nd

영구자석, 강화유리, 광학섬유

() 희토류

61

프로메튬

Pm

원자력 전지, 페인트

62

사마륨

Sm

영구자석, 중성자 흡수제

63

유로퓸

Eu

형광체, 형광유리

64

가돌리늄

Gd

합금첨가제, 형광체

() 희토류

65

터븀

Tb

영구자석, 레이저

66

디스프로슘

Dy

영구자석, 레이저

67

홀뮴

Ho

영구자석, 레이저

68

어븀

Er

합금 첨가제, 레이저

69

톨륨

Tm

X선 방출원, 형광체

70

이터븀

Yb

합금첨가제, 레이저

71

루테튬

Lu

석유화학 촉매, 강화유리

비란탄계

21

스칸듐

Sc

알루미늄 합금, 레이저

39

이트륨

Y

형광체, 초전도체

[자료원 : KOTRA 글로벌 이슈모니터링 보고서]


희토류 부존량


매년 측정되는 국별 희토류 부존량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발표에 따르면 글로벌 부존량은 약 1.25억 톤에 달한다. 그 중 중국이 4천4백만 톤으로 가장 많이 보유했고, 베트남 2천2백만 톤, 브라질 및 러시아 각 21백만 톤을 보유하여 4개 국가가 약 86%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별 희토류 부존량 >

순위

국가

부존량(천톤)

비중(%)

1

중국

44,000

35.2

2

베트남

22,000

17.6

3

브라질

21,000

16.8

4

러시아

21,000

16.8

5

인도

6,900

5.5

6

호주

4,000

3.2

7

미국

1,800

1.4

총 계

125,000

100

[자료원 : 미국 지질조사국(USGS)]

위 총계는 USGS 보고서 내 국별 부존량을 모두 더한 숫자이며, 실제 표기 시에는 절사하여 약 1.2억 톤으로 발표


중국 내 분포를 살펴보면, 22개 성에 걸쳐 매장되어 있다. 83%가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에 집중되어 있고, 그 외에는 산둥성(山東) 8%, 쓰촨성(四川) 3%, 장시(江西푸젠(福建광둥(廣東후난(湖南광시(廣西윈난(雲南) 등 지역에 약 3%, 기타 성에 약 3% 매장되어있다. 지역별로는 북쪽 지역은 경 희토류, 남쪽 지역은 주로 중·중 희토류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 희토류 매장 주요지역 및 광산 분포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f0404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7pixel, 세로 463pixel

[자료원 : 시나재경(新浪财经)]


생산 및 소비 동향


중국은 희토류 생산을 1950년대부터 시작했고, 전세계 희토류 부존량 1위 국가인 만큼 연간 생산량도 전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18년부터 매년 생산량을 증가시켜 2020년에는 14만 톤, 2021년에는 16.8만 톤에 이를 것으로 USGS는 발표했다.


중국의 생산비중은 2000년대 이후 꾸준히 80% 이상을 차지했는데, 이는 환경파괴 문제 대두에 따른 국가별 생산 감축과, 중국의 생산 확대 및 저가공세로 인해 수입을 선택하는 국가들이 많아진데 기인했다. 그러나 첨단산업 분야에서 희토류의 필요성이 확대되며, 보유한 매장자원을 개발하고 생산을 확대하는 국가들이 증가했다. 특히 미국은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고 희토류를 포함한 전략광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원을 다변화하기 위한 다양한 입법활동을 추진했고, 매년 생산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중국의 생산비중은 60%대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가별 생산량 (단위 : ) >

구분

2018

2019

2020

2021e

중국

120,000

132,000

140,000

168,000

미국

18,000

28,000

39,000

43,000

미얀마

19,000

25,000

31,000

26,000

호주

21,000

20,000

21,000

22,000

태국

1,000

1,900

3,600

8,000

마다가스카

2,000

4,000

2,800

3,200

인도

2,900

2,900

2,900

2,900

러시아

2,700

2,700

2,700

2,700

기타

2,710

2,276

1,700

1,300

총계(round)

190,000

220,000

240,000

280,000

[자료원 : 미국 지질조사국(USGS)

위 총계는 지질조사국에서 절사/절상하여 발표한 숫자


중국 내에서 희토류는 영구자석을 위한 수요가 가장 크다. 소비용도 중 영구자석용 비중은 42%에 달했는데, 특히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이 증가하며 영구자석의 수요가 증가한데 기인한다. 그 외에는 합금·기계용이 12%, 석유화공 9%, 유리·세라믹스가 8%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용도별 비중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b00a3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1pixel, 세로 407pixel

[자료원 : chinabaogao.com]


수출 동향


희토류의 수출입은 크게 희토류 금속과 화합물로 구분이 가능하다. 중국의 희토류 금속과 화합물 수출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반도체 및 전기차 배터리 등 중국 자체수요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출량이 감소했으나, 2021년에는 다시금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이는 전세계의 친환경과 첨단산업의 발전에 따른 실질수요의 증가와 공급망 우려에 따른 핵심소재의 비축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중국 희토류 금속(HS코드 280530) 수출현황 (단위 : , %) >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1~3

물량

증감률

일본

4,449

4,029

3,472

4,683

1,447

37.4

네덜란드

756

812

868

1,329

64

64.1

이탈리아

564

291

151

737

92

36.9

인도

291

331

465

733

108

45.2

미국

281

257

379

727

84

5.5

캐나다

219

184

113

272

20

66.6

브라질

13

18

127

156

24

36.0

한국

68

137

89

128

12

83.7

스페인

472

555

161

100

52

-

아르헨티나

2

1

-

95

4

-

총계

7,385

6,850

6,193

9,443

1,996

5.8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GTA)]


< 중국 희토류 화합물(HS코드 2846) 수출현황 (단위 : , %) >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1~3

물량

증감률

일본

13,045

12,443

8,161

12,531

2,367

31.1

미국

14,342

15,034

8,340

9,621

3,415

54.0

네덜란드

7,635

3,605

4,713

5,779

1,937

49.1

한국

2,654

2,315

1,922

2,799

488

23.0

대만

329

318

432

1,409

257

4.7

베트남

280

614

843

1,134

325

13.6

프랑스

289

259

677

877

184

65.3

인도

550

522

456

841

82

64.5

이탈리아

1,412

1,409

748

793

422

160.8

독일

876

416

260

518

169

32.0

총계

45,798

39,480

29,254

39,471

10,685

6.7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GTA)]


정책 동향


중국 정부는 희토류를 전략자원으로 확인하고 개발·생산·수출을 통제하는 정책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특히 희토류 기업의 난립과 불법개발·생산 등 행위를 막기 위해 20166대 대형 희토기업으로 통폐합하고 생산량을 할당했다. 더 나아가 202112월 국무원은 우쾅그룹(五矿集团), 중국 알루미늄(中国铝业), 간저우희토그룹(贛州稀土集团) 3개 자원기업 및 2개의 국유 연구기관의 통폐합을 비준하고, 중국희토그룹(中国稀土集团)이라는 초대형 기업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로써 중국의 희토산업은 북방희토(北方稀土)와 중국희토그룹 등 2개사를 중심으로 재편됐고, 해당 2개사의 중국 시장점유율은 9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희토산업 주요기업 >

로고

기업명

생산지역

설명

external_image


China Northern Rare Earth (Group) High-Tech

中国北方稀土(集团)高科技股份有限公司

네이멍구

산둥성

- 희토자원연구 및 종합이용 중점실험실, 희토야금 및 재료 공정 R&D센터, 테스트센터 등 보유

- 연생산 Capa : 제련분리 12만톤, 희토금속 1만톤, 자성재료합금 4.1만톤, 광택재료 2.35만톤 등

- 중국 500대 기업 중 489위 랭크

- 보유자원 : 경희토 4,600만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7b00002.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9pixel, 세로 265pixel

Xiamen Tungsten

厦门钨业股份有限公司

푸젠성

- 중국 최대 텅스텐·몰리브덴 제품 생산·수출기업

- 보유자원 : 中重희토 20만톤

external_image

Guangdong Rare Earths Industry Group

广东省稀土产业集团有限公司

광둥성

장쑤성

- 광산채굴·제련분리·자원이용·신소재·제품생산 등 주기 가치사슬 운영 및 투자

- 보유자원 : 中重희토 50만톤

China Rare Earth Group

中国稀土集团有限公司

- ’2112월 국무원 비준으로 3개 국유기업 및 2개 연구원을 통폐합하여 설립한 초대형 기업

 

external_image

China Southern Rare Earth Group

中国南方稀土集团有限公司

장시성

- 연생산 Capa : 광석 4.36만톤, 제련분리 5.97만톤 등

- 보유자원 : 경희토 66만톤, 中重희토 57만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b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3pixel, 세로 293pixel

Aluminum Corp. of China

中国铝业集团有限公司

광시성

쓰촨성

- 2019 포춘 선정 500대 기업 중 251위 랭크

- 보유자원 : 경희토 690만톤, 中重희토 3만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7b00007.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1pixel, 세로 67pixel

China Minmetals Corp.

中国五矿集团有限公司

후난성

장시성

- 2021 포춘 선정 500대 기업 중 65위 랭크

- 보유자원 : 경희토 14만톤, 中重희토 1만톤

[자료원 : 기업별 홈페이지, 이수이재경(易水财经)]


2021년 중국 정부는 희토관리조례(稀土管理条例)” 초안을 발표하고 관련의견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해당 조례는 희토류 산업분야 정부관리를 기존의 채광제련생산에서 제품유통까지 확대하여 공급체인 통제를 강화하고자 하며, 또한 희토의 개발과 제련, 생산 등 모두 총량지표를 통해 엄격하게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해당 조례는 20224월 현재 아직 정식으로 시행되고 있진 않지만, 공업 및 정보화부(공신부, 工业和信息化部)는 빠른 시일 내에 해당 조례를 정식 발표하고자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중국 희토류 관리 조례(초안)” 주요 내용 >

구분

주요 내용

프로젝트 심사

- 희토광 개발·제련 프로젝트 투자 이전, 정부 허가 취득 의무화

총량 지표 관리

1) 희토산업 발전규획·광산자원규획 및 산업정책에 의거

2) 환경보호와 자원절약 기조를 충분히 반영

3) 시장수요와 기술수준에 따라 개발·제련·생산지표 책정

- , 제련기업의 수입산 희토상품 제련은 지표 제약 받지 않음

유통 관리

- 기업, 개인, 단체의 희토류 제품 불법 개발·제련·생산·구입 금지

- 제품정보 추적시스템 구축, 유통 전과정에 대한 관리 강화

- 희토류 제품의 수출입 기업은 반드시 대외무역, 수출통제 등 법률법규를 준수해야 한다고 명시

비축 관리

- 국가차원에서 희토자원 및 관련 제품 전략적 비축제도 구축

- 비축물량도 총량지표에 반영하며 사용을 엄격 통제

법적 처벌

- 불법 개발·생산자에 불법소득 1~5배 수준, 또는 10~100만 위안 벌금 부과, 영업집조 등록말소 처분 등 엄벌 조치

[자료원 : 공신부, KOTRA 글로벌 이슈모니터링 보고서]


자료원 : 미국 지질조사국(USGS), 시나재경(新浪财经), Global Trade Atlas(GTA), chinabaogao.com, 중국 희토 기업별 홈페이지, 이수이재경(易水财经), 공업 및 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KOTRA 글로벌 이슈모니터링 보고서, 광저우무역관 정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희토류 산업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