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 베트남 철강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박혜연
  • 2021-11-08
  • 출처 : KOTRA

- 4분기 철강 생산, 실제 전염병 상황에 크게 좌우될 것 -

-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는 무역구제조치로 베트남 철강산업에도 부정적 영향 가중 -

- 철강 생산 능력, 국내 수요 초과하지만 일부 품목에 생산이 집중돼 공급 불균형 해소 필요 -




가. 산업 특성


정책 및 규정


2013년 초,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는 2025년을 비전으로 2020년까지 철강 제조 및 유통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Decision 694/QD-BCT)을 승인했다. 철강 제조 및 유통 시스템은 베트남의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발전 마스터플랜, 산업 및 무역 부문, 국가의 국제 경제 통합 로드맵에 따라 발전하도록 설정됐다. 특히 내수시장과 수출의 안정을 확보해 베트남 국민 경제의 철강제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철강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산업체의 2020년 생산능력은 빌릿 제조 원료 1700만 톤, 빌릿 2500만 톤, 철강 완제품 2300만 톤이다. 2025년까지 해당 산업의 생산량은 선철 및 해면철 2800만 톤, 빌릿 4000만 톤, 철강 완제품 39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이며 국내 조강 수요는 2020년 2400만 톤, 2025년 37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업계는 수입을 줄이고 수출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16년 산업부는 2013년 승인된 마스터플랜을 철강산업의 실제 속도에 맞춰 조정할 계획이었다. 2016년 12월에 공개된 초안에 따르면 철강 생산량과 수요 예측 수치를 모두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최종 결정서는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며 2018년 말, 2013년 마스터 플랜이 최종적으로 무효화됐다. (Decision 4977/QD-BCT)


베트남 철강제품 소비 수요 전망

(단위: KG, 백만 톤)

지표

2020

2025

2035

‘13 계획

’16 초안

‘13 계획

’16 초안

‘13 계획

’16 초안

조강 수요

24.0

27.0

37.0

37.2

-

56.7

1인당 철강제품 소비량

252.0

285.0

373.0

380.0

-

543.0

선철 및 해면철 생산량

17.0

21.0

28.0

46.0

-

55.0

강철 빌릿 생산량

25.0

32.3

40.0

57.3

-

66.3

완제품 생산량

23.0

-

39.0

-

-

-

자료: 산업무역부(MOIT), 결정서 제694/QD-BCT호, 2016 조정 초안


현재 베트남은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반덤핑(AD), 반보조금/상계관세(AS), 세이프가드(SG) 및 우회덤핑방지(AC)를 포함한 4가지 무역구제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2009년부터 베트남 정부, 특히 산업무역부 산하 베트남 무역구제청(TRAV)은 반덤핑, 반보조금/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및 우회덤핑방지를 포함한 다양한 무역 방어조치 20여 건을 착수했다. 그중 절반은 철강 제품 및 기타 종류의 금속 제품과 관련됐다. 2021년 6월 30일 기준 베트남의 대한 수입규제는 전체 6건으로 반덤핑 2건, 세이프가드2건, 우회덤핑방지 1건 등이 있다.


품목

HS 코드

조사 국가

신청인

무역 구제 조사 개시일 및 진행 현황

1. 반덤핑(AD)

냉간 압연 강판

7219.32.00; 7219.33.00; 7219.34.00; 7219.35.00; 7219.90.00; 7220.20.10; 7220.20.90; 7220.90.10;

7220.90.90;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POSCO VST,

Inox Hoa Binh Int’l

- 2013년 2월 7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2014년 1월 25일부터 120일간의 잠정 관세 부과

- 최종 조치: 2014년 10월 5일부터 5년 동안 반덤핑 관세 부과 --> 2019년 10월 26일부터 2024년 10월 26일까지 연장

- 반덤핑 관세: 10.91~37.29%

도금 강판, 아연 도금 강판

7210.41.11; 7210.41.12; 7210.41.19; 7210.49.11; 7210.49.12; 7210.49.13; 7210.49.19; 7210.50.00; 7210.61.11; 7210.61.12; 7210.61.19; 7210.69.11; 7210.69.12; 7210.69.19; 7210.90.10; 7210.90.90; 7212.30.10; 7212.30.20; 7212.30.91; 7212.30.99; 7212.50.11; 7212.50.12; 7212.50.19; 7212.50.21; 7212.50.22; 7212.50.29; 7212.50.91; 7212.50.92; 7212.50.99; 7212.60.10; 7212.60.20; 7212.60.90; 7225.92.90; 7226.99.11; 7226.99.91;

중국, 한국

China Steel Sumikin Vietnam, Southern Steel Sheet, Nam Kim Steel, Ton Dong A

-  2016년 3월 3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2016년 9월 16일부터 120일간의 잠정 관세 부과

- 최종 조치: 2017년 4월 15일부터 5년 동안 반덤핑 관세 부과

- 반덤핑 관세:

중국: 3.17%~38.34%

한국: 7.02%~19.00%

H형강

7216.33.00; 7228.70.10; 7228.70.90;

중국

POSCO SS Vina

- 2016년 5월 10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2017년 4월 5일부터 120일간의 잠정 관세 부과

- 최종 조치: 2017년 9월 5일부터 5년 동안 반덤핑 관세 부과

- 반덤핑 관세: 20.48~29.17%

평판압연 합금강 또는 비합금강 제품

7210.70.11; 7210.70.19; 7210.70.91; 7210.70.99; 7212.40.11; 7212.40.12; 7212.40.19; 7212.40.91; 7212.40.92; 7212.40.99; 7225.99.90; 7226.99.19;  7226.99.99;

중국, 한국

Dai Thien Loc,

Southern Steel Sheet, Nam Kim,

TVP Steel

- 2018년 10월 15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2019년 6월 24일 ~ 2019년 10월 23일 잠정 관세 부과

- 최종 조치: 2019년 10월 24일부터 5년 동안 반덤핑 관세 부과

- 반덤핑 관세: 중국: 2.56%~34.27%

한국: 4.71%~19.25%

일부 냉연 강판 언더 플레이트 및 코일 형태

7209.16.10; 7209.16.90; 7209.17.10; 7209.17.90; 7209.18.91; 7209.18.99; 7209.26.10; 7209.26.90; 7209.27.10; 7209.27.90; 7209.28.10; 7209.28.90;  7209.90.90; 7211.23.20; 7211.23.30; 7211,23.90; 7211.29.20; 7211.29.30;  7211.29.90; 7225.50.90;

중국

POSCO Vietnam, China Steel Sumikin, VNSteel

- 2019년 9월 3일 조사 개시

- 최종 조치: 2020년 12월 29일부터 5년간 반덤핑 관세 부과

- 반덤핑 관세: 4.43%~25.22%

H형강

7216.33.11; 7216.33.19;  7216.33.90; 7228.70.10;  7228.70.90;

말레이시아

POSCO Yamato Vina Steel

- 2020년 8월 24일 조사 개시

- 조사 진행 중

용접 재료(용접용 강선 및 강봉)

7217.10.10; 7217.30.19;  7217.90.10; 7229.20.00;  7229.90.20; 7229.90.99;  8311.10.10; 8311.10.90;  8311.30.91; 8311.30.99;  8311.90.00;

중국, 태국, 말레이시아

Kim Tin

- 2021년 3월 18일 조사 개시

- 조사 진행 중

2. 세이프가드(SG)

빌릿 & 봉형강류
 


7207.11.00; 7207.19.00; 7207.20.29; 7207.20.99; 7224.90.00; 7213.10.00; 7213.10.90; 7213.91.20; 7214.20.31; 7214.20.41; 7227.90.00; 7228.30.10; 9811.00.00;

한국 포함 모든 국가(개발도상국 제외)

Hoa Phat Steel, Southern Steel, Thai Nguyen Iron & Steel, Viet Y Steel

- 2015년 12월 25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2016.3.22~2016.8.22 세이프가드 적용

- 최종: 2016.8.2.~2020.3.21. 세이프가드 적용

  · 2020.3.22.~2023.3.21.(3년) 연장

- 세이프가드:

· 빌릿: 15.3%에서 11.3%로 점진적 인하

· 봉형강류: 9.4%에서 6.4%로 점진적 인하

 도색 아연 도금 강판

  · 2018년 1월 1일 이전:

7210.70.10; 7210.70.90;  7212.40.10; 7212.40.20;  7212.40.90; 7225.99.90; 7226.99.19; 7226.99.99;  

  · 2018년 1월 1일 이후:

7210.70.11; 7210.70.19; 7210.70.91; 7210.70.99; 7212.40.11; 7212.40.12; 7212.40.19; 7212.40.91; 7212.40.92; 7212.40.99; 7225.99.90; 7226.99.19; 7226.99.99;

중국, 한국, 대만 포함 여러 국가

Hoa Phat Steel Hai Duong, Thai Nguyen Iron & Steel

- 2016년 7월 6일 조사 개시

- 최종조치: 2017.6.15.~2020.6.14.(3년) 할당관세부과; 쿼터 초과 물량에 19% 관세 부과

 · 한국: 1년차(34,451톤), 2년차(37,897톤), 3년차(41,686톤)

 · 중국: 1년차(323,120톤), 2년차(355,432톤), 3년차(390,976톤)

  · 대만: 1년차(14,428톤), 2년차(15,871톤), 3년차(17,458톤)

- 세이프가드 종료

3. 우회 덤핑 방지(AC)



강선, 스틸코일

7213.91.90; 7217.10.10; 7217.10.29; 7229.90.99; 9839.10.00;

한국 포함 모든 국가

Hoa Phat Steel Hai Duong,

Thai Nguyen Iron & Steel

- 2018년 7월 26일 조사 개시

- 최종 조치: 2019년 5월 28일~2020년 3월 21일 우회방지 관세 10.9% 적용

- 우회 덤핑 규제: 2020년 3월 22일에서 2023년 3월 21일까지 연장(3년)

- 우회덤핑 관세: 9.4%(2020.3.22.)~ 6.4%(2022.3.22.) 점진적 인하

베트남의 외국 철강 제품에 대한 무역구제 사례

주: 베트남 HS CODE 기준

자료: 베트남 무역구제청(TRAV)


한편, 베트남산 철강 제품도 외국 정부에서 채택한 무역 구제책의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20년까지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태국, 필리핀, 캐나다, 미국, EU, 터키로부터 무역구제조치를 받고 있다.


베트남산 철강 제품에 대한 무역구제 사례

품목

HS코드

조사 국가

조사 대상국

조사 개시일 및 진행 현황

 1. 반덤핑(AD)

비합금강 냉연코일

7209.15.00; 7209.16.90;
7209.17.90; 7209.18.99;
7225.50.90;

말레이시아

베트남, 한국, 중국, 일본

 -  2019년 3월 29일 조사 개시
 - 최종 조치: 2019년 12월 25일부터 5년간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7.7%~20.13%의 반덤핑 관세 부과

알루미늄 및 아연 도금 또는 코팅된 평강

7210.61.00; 7212.50.90; 7225.99.00; 7226.99.90; 7210.12.90; 7210.30.90; 7210.49.00; 7210.69.00; 7210.70.00; 7210.90.90; 7212.10.90; 7212.20.90; 7212.30.90; 7212.40.00; 7216.99.10; 7225.50.10; 7225.91.00; 7225.92.00; 7226.99.30;

인도

베트남, 한국, 중국

- 2019년 4월 2일 조사 개시

- 최종 조치: 베트남산 제품에 0~40%의 반덤핑 관세 부과

평판압연 스테인리스강 코일

7219 & 7220

인도

베트남, 한국, 중국, 일본, 대만

- 2019년 7월 3일 조사 개시

- 잠정조치: 베트남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 종료

아연 도금 강판

7210.61.11; 7212.50.23;
7217.50.24; 7212.50.29;
7225.99.90; 7226.99.19;  7226.99.99;

인도네시아

베트남, 중국

- 2019년 8월 26일 조사 개시

- 최종 조치: 2021년 2월 11일부터 반덤핑 관세 부과

ž  베트남: 3.01~49.2%

ž  중국: 3.07~55.43%

- 2021년 7월 6일 이후 반덤핑 종료

OCTG파이프

7304.29.00.11; 7304.39.00.60;
7304.59.00.50; 7306.29.00.11;
7306.30.00; 7306.50.00.00;
7306.90.00;

캐나다

베트남, 한국 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 2019년 9월 27일 조사 개시
 - 원래 2014년 상계관세+반덤핑 케이스 조사로 시작됨.

알루미늄 및 아연 도금 또는 코팅된 비합금 평판압연강

ž  · 2021년 4월 1일 이전:
7210.61.31; 7210.61.39; 7210.61.90; 7210.61.11; 7210.61.12; 7210.61.19; 7210.61.91; 7210.61.92; 7210.61.99; 7212.50.21; 7212.50.22;

ž 2021년 4월 1일 이후:
7210.61.11; 7210.61.12; 

7210.61.19; 7210.61.91; 7210.61.92; 7210.61.99; 7212.50.23; 7212.50.24; 7212.50.29;

말레이시아

베트남, 한국, 중국

- 2020년3월 13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ž 베트남: 3.94%~37.14%

ž 한국: 9.98%~34.94%;
ž 중국: 0.05%~18.88%

- 최종 조치: 반덤핑 관세 부과

베트남: 3.06~37.14%, SSSC 제외(0%)

ž한국: 9.98~34.94%
ž중국: 2.18~18.88%

도색된 스틸 스트래핑

7212.40.00

호주

베트남, 중국

- 2020년 5월 27일 조사 개시

- 2021년 4월 23일 잠정 결론: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임시 반덤핑 예치금 징수 조치 미적용

용접 스테인리스 강관

7306.40.20.90; 7306.40.80.90; 7306.61.10.00;

터키

베트남

- 2020년 6월 24일 조사 개시

스테인리스강 냉연 코일 및 강판 &기타 형태

7219.31.00; 7219.32.00;
7219.33.00; 7219.34.00;
7219.35.00; 7220.20.10;
7220.90.00;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 2020년 7월 28일 조사 개시

- 잠정 조치: 2020년 12월 26일부터 120일 간 반덤핑 관세 부과

 ž베트남: 3.06%~37.14%

ž 한국: 9.98%~34.94%

ž 중국: 2.18%~18.88%

- 최종 조치: 2021년 4월 24일부터 2026년 4월 23일까지 반덤핑관세 부과

ž 베트남: 7.81%~ 23.84%

콘크리트 철근

7213.10; 7214.20;

7215.90; 7727.90;

캐나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2020년 9월 22일 조사 개시
- 2021년 2월 4일 부터 베트남에 대한 잠정 조치: Hoa Phat Dung Quat Steel 3.7%, 기타 15.4%

 - 2021년 6월 5일 이후 베트남에 대한 최종 조치: 10.5% ~ 23.1%

열연 강판 코일/시트 

두께: 0.9~100㎜

폭: 100~3200㎜

7208.39.90; 7211.14.19;
7225.30.90; 7226.91.10;

태국

베트남, 이집트

- 2020년 11월 16일 조사 개시

냉연 강판 코일/강판

7209.15.10; 7209.15.90;
7209.16.10; 7209.16.90;
7209.17.10; 7209.17.90;
7209.18.10; 7209.18.91; 7209.18.99; 7209.25.10; 7209.25.90; 7209.26.10; 7209.26.90; 7209.27.10; 7209.27.90; 7209.28.10; 7209.28.90;

파키스탄

베트남, 한국, 대만, EU

- 2021년 2월 25일 조사 개시

2. 상계관세+ 반덤핑(AS+AD)

부식 방지 강판

7210.30.00.00; 7210.49.00.10/20/30; 7210.61.00.00;  7210.69.00.10/20; 7212.20.00.00; 7212.30.00.00;
7212.50.00.0; 7225.91.00.00;
7225.92.00.00; 7226.99.00.10;

캐나다

베트남, 터키, UAE

- 2019년 11월 8일 조사 개시

- 베트남에 대한 잠정 조치:

ž 반덤핑 관세: 36.6~91.8%

ž 상계관세: 0~0.12%

- 베트남에 대한 최종 조치:

ž 반덤핑 관세: 2.3~16.2%

ž 상계관세: 없음.

강관 및 튜브

7306.30.00; 7306.50.00;
7306.61.00;

호주

베트남, 한국, 중국, 대만

- 2020년 3월 31일 조사 개시

- 2021년 6월 1일 잠정 결론: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상계관세 없음.

알루미늄 아연 도금 강판

W<600㎜

7212.50.00; 7226.99.00;

호주

베트남, 중국

 - 2020년 6월 30일 조사 개시

㎜알루미늄 아연도금 강판 W≥600㎜

7210.61.00; 7225.99.00;

호주

베트남, 한국, 대만

 - 2020년 6월 30일 조사 개시

 3. 우회 덤핑 방지 (AC)

부식 방지 탄소강 및 냉간 압연 강

 

미국

베트남, 중국

 - 2020년 5월 13일 조사 개시

 4. 세이프가드(SG)

평판 압연 합금강 W≥600㎜

7225.91.00; 7225.92.00;
7225.99.00;

과테말라

베트남 & 다른 국가

 - 2019년 8월 27일 조사 개시  
 - 2020년 1월 9일 조사 종료

아연 도금 철판, 코일, 강대

7210.41.11; 7210.41.19; 7210.41.99; 7210.49.91; 7210.49.99; 7212.30.12; 7212.30.13; 7212.30.19; 7212.30.99;

필리핀

베트남

- 2020년 6월 17일 조사 개시

알루미늄 아연 강판, 코일, 강대

7210.61.11/19/91/92/99;
7210.69.11/19/91/99;
7212.50.19/23/24/29/93;
/94/99;

필리핀

베트남

- 2020년 6월 17일 조사 개시

도색 아연도금 철 및 도색 알루미늄 아연

7210.70.11/19/90/91/99;
7210.90.10/90;
7212.40.11/12/19/91/92/99

필리핀

베트남

- 2020년 6월 17일 조사 개시

주: 베트남 HS CODE 기준

자료: 베트남 무역구제청(TRAV), VCCI WTO Center, VietnamBiz


기술동향


철강업체들은 신규 투자사업, 증설사업, 리노베이션 사업에서 친환경·에너지 효율이 높은 기술과 설비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베트남 정부의 강제적인 규제와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 철강사들의 자의식에서 비롯됐다. 2014년 6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신규 설립, 확장 및 개조를 포함한 철강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투자는 규정된 에너지 효율 및 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03/2014/TT-BCT0)을 준수하는 기술 및 장비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특히, 코크스 제조, 소결, 제철, 전로에 의한 제강(LD 전로, 산소 전로, BOF라고도 함), 전기로(EAF)를 포함한 주철 및 제강 설비, 압연강재는 특정 기술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철강제조업에 요구되는 기술조건

(2014년 6월 1일~2020년 7월 31일)

기술 조건

고로 제강

 - 용광로 크기 ≥ 1,000㎥ (해안지역);  ≥ 700㎥(기타 지역) ;

 - 에너지 소비 ≤ 주철 톤당 14,000MJ, 코크스 소비량 ≤ 주철1톤당450kg 코크스;

 - 고로 분사 공기 온도 ≥1,100˚C 증기 생산, 전기 생산 또는 기타 목적 위해 폐열을 공급원료로 회수하는 시스템

BOF 제강

 - 용광로 크기 ≥ 70톤/배치 (해안지역); ≥ 50톤/배치(연속주조라인이 있는 기타 지역)

 - 증기를 생성하거나 전기 또는 기타 목적을 생성하기 위해 공급 원료로 폐열을 회수하는 시스템

EAF 제강

 - 용광로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이용한 재료 건조 시스템;

 - 산소 버너 및 기타 연료로 강화된 슬래그 포밍 기술 및 제련 공정의 적용;

 - 용광로 지붕 및 본체 및 물로 냉각되는 전극 홀더;  분무 냉각 시스템에 의해 냉각되는 전극;

 - 용광로 용량 ≥ 70톤/배치;

 - 변압기 용량 ≥800kVA /톤;

 - 직물 집진기 전면에 배치된 활성탄 살포 시스템용 시스템;
 - 국자로(LF) 및 연속 주조기;

 - 에너지 소비량 ≤ 2,600MJ / 철강 빌릿 1톤, EAF 전력 소비량 ≤420kWh

IF 제강

 - 용광로 용량 ≥ 50톤/배치;

 - 배기가스 회수 및 처리 시스템;

 - 화로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이용한 원료건조 시스템;

 - 유도로 용량에 적합한 LF 및 연속주조기;

 - 에너지 소비 ≤ 철강 빌릿의 톤당 3,000 MJ, IF 전력 소비 ≤ 580kWh

열간 압연 평강

 압연 라인 용량 ≥ 1,000,000톤/년

냉간 압연 평강

 - 철강제품 너비 ≥ 1,000㎜: 압연 라인 용량 ≥500,000톤/년

 - 철강제품 너비 < 1,000㎜: 압연 라인 용량 ≥200,000톤/년

압연 장강

 압연 라인 용량 ≥500,000톤/년

자료: Circular 03/2014/TT-BCT


철강 생산업체는 2017년 12월 29일 자 시행규칙 78/2017/TT-BTNMT 및 2009년 11월 16일 자 천연자원환경부 시행규칙 25/2009/TT-BTNMT에 규정된 국가 기술 규정의 적용을 받는다.

  

QCVN 51:2017/BTNMT – 철강산업의 배출에 대한 국가 기술 규정

QCVN 52:2017/BTNMT – 철강산업의 폐수에 대한 국가 기술 규정

QCVN 07:2009/BTNMT – 유해 폐기물 임계값에 대한 국가 기술 규정

 

중고 기계 및 기술 생산 라인의 수입은 2019년 4월 19일 자 총리 결정 18/2019/QD-TTg에 따라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다. 주요 규칙에 따르면 중고 기계 및 기술 생산라인의 수입은 안전, 에너지 효율성 및 환경 보호에 관한 규정을 완전히 충족할 수 있는 경우 베트남 기업의 제조에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허가된다. 특히 수출국이 발표한 노후화, 저품질,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폐기되는 기계 및 기술 라인은 전면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2017년 중국 정부는 제강에서 유도로(IF)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 대한 IF 수출이 급증했다.


VSA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IF를 사용하는 철강사는 총 240만 톤/년으로 총 철강사의 28%, 총 생산능력 13%를 차지하는데 베트남의 모든 IF는 중국 제품이라고 한다. 버려진 중국산 IF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관세 장벽으로 베트남에서 수입이 불가하다.


수입 중고 기술 생산 라인 및 기계에 대한 요구 사항

수입 중고 기술 생산라인

 수입 중고 기계

- 베트남 국가 기술 규정, 베트남 표준 또는 안전, 에너지 효율성 및 환경 보호에 관한 G7/한국 표준 준수

- 기존 설계된 용량/성능 효율성의 생산 능력 또는 성능 효율성 ≥85%

- 원재료 및 에너지 소비량은 기존 설계의 15% 이하

- 현재 OECD 국가 3개 이상의 생산시설에서 사용되는 기술

 - 생산연도: 10년 이하

 - 특히, BOF, 레이들, 잉곳 몰드, 야금 또는 금속 주조에 사용되는 주조기(HS 8454), 금속 압연기 및 롤(8455)의 경우 20년 미만

 - 베트남 국가 기술 규정, 베트남 표준 또는 안전, 에너지 효율성 및 환경 보호에 관한 G7/한국 표준 준수

자료: 결정문 18/2019/QD-TTg

 

2016년 4월, 대만이 투자한 중북부 해안에 위치한 Formosa Ha Tinh Steel Complex(FHS)의 ‘포모사 사태’ 이후로 친환경 기술은 철강 프로젝트 평가 및 허가에 있어 중앙 및 지방 당국의 최우선 관심사가 됐다. ‘포모사 사태’는 철강산업의 주요 업체인 FHS가 유독성 산업 폐기물을 배수관을 통해 바다로 배출해 중부 해안선의 200km 이상을 오염시키고 어업 및 관광에 의존하는 해양 생물과 지역 경제를 파괴한 사건이다. FHS는 몇 달 동안 책임을 부인한 후 마침내 환경 위반을 자백하고 5억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FHS는 환경 위반 사항을 수정한 후 1년 후 생산을 재개했다. FHS 외에 몇몇 철강업체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시행된 철강 프로젝트에 첨단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2007~2016년에 3단계로 개발된 Hai Duong성(북베트남)의 Hoa Phat 제철소와 2017~2021년에 2단계로 개발된 Dung Quat-Quang Ngai성(베트남 중부)에 친환경 폐쇄형 제강 공정이 적용됐다. 철광석에서 철강제품까지의 제조과정에서 폐가스, 폐수, 잉여열, 고형폐기물까지 순환사이클로 처리해 환경으로 배출하지 않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환경을 보호하고 생산 효율성을 최적화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Hai Duong 및 Dung Quat Complex의 석탄 코크스 공정에서는 첨단 에너지 효율 및 초청정 기술인 코크스 건식 냉각(CDQ) 시스템을 사용해 냉각 가스의 열 에너지를 회수해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흄 및 유독성 화학물질을 제거하고 이러한 복합 단지의 연간 전력 수요를 부분적으로 충족해 매년 수백만 달러의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그리고 제철 및 제강 공정에서 고로 및 BOF에서 발생하는 가스도 포집 및 회수해 다른 공정의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2017년부터 제철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폐기물인 고로슬래그를 수거해 시멘트 및 콘크리트 제조용 광물첨가제로 처리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제철소의 열 및 가스 회수 솔루션은 Hoa Phat Group이 연간 약 1억7700만 달러를 절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Formosa Ha Tinh Steel은 독성 유출 이후 환경 친화적인 방향으로 기술을 혁신하기 위해 2019년 높은 이산화물 배출과 열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는 기존의 습식 소화 기술을 대체하기 위한 일본의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에서 공급하는 CDQ 시스템을 설치했다. Hoa Phat Group의 Dung Quat Iron & Steel Complex는 2017~2021년에 투자됐으며 연간 총 압연생산 용량은 560만 톤의 장강 제품 및 열간 압연 코일로 2007-2016년에 개발된 Hai Duong Complex보다 생산 용량이 약 2.5배 더 크다.


FHS는 연간 총 750만 톤의 조강 설계 용량으로 1고로 1호기는 2017년 중반에 가동을 시작해 1년 후 2고로를 가동했으며 총 압연능력은 선재 120만 톤/년과 열연강판 520만 톤/년이다. 그리고 지난 10년간 신규 투자된 BOF 철광석 철강 생산 폐쇄형 일관제철소는 철스크랩으로 철강을 생산하는 EAF보다 우수한 제품 품질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것으로 입증됐다.


베트남 철강협회(VSA)에 따르면 2018년 기준 BOF를 활용한 철강사는 총 910만 톤/년으로 전체 철강사의 17%를 차지하지만 전체 설계 생산능력의 절반에 육박하며, EAF를 사용하는 철강사는 연간 700만 톤 규모로 철강사의 52%, 생산능력의 38%로 총 15개 철강사들이 사용하고 있다.


주요 이슈


베트남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는 무역구제조치는 베트남 철강 수출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베트남 철강산업은 철강 제조에 필요한 대부분의 주요 투입 원료를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 원자재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베트남 철강협회(VSA)에 따르면 해당 산업은 연간 철광석의 약 90%, 철·고철의 70%, 점결탄 100%, 흑연 전극의 100%를 수입하고 있다. 2021년 투입원료 수입 수요는 철광석 약 1800만 톤, 철·고철 600만~650만 톤, 유연탄 650만 톤, 흑연전극 1만 톤 정도로 추산된다. 결과적으로 베트남 철강산업은 세계시장 변동에 취약하다. 2020년 말부터 투입되는 원자재 국제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지속되면서 모든 베트남산 철강제품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 베트남 철강 대기업 Hoa Phat 그룹은 생산 활동의 핵심 투입 원료인 철광석을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약 3억2000만 톤 규모의 호주 Roper Valley 철광석 광산을 인수했다. 2021년 5월 말 화팟(Hoa phat)그룹 발표에 따르면 연간 400만 톤의 채굴 능력을 갖춘 매장량이 있으며 향후 몇 년 동안 광산에 추가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례적인 철강 가격 인상 속에서 국내 철강 수급 및 철강 가격 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조치를 베트남 정부 및 관계 당국에 공포할 것을 제안했다. 산업부가 제안한 몇 가지 조치에는 철강 생산 비용을 절감을 통한 판매가격 인하, 철강 생산능력 향상을 통한 국내 수요 충족, 세금 및 투자 인센티브를 통한 철강 생산 투자 장려, 철강 제품 투기에 대한 신속한 처리, 철강 가격 조작 방지, 수요가 많은 철강 제품 수출 제한, 베트남 통계청(GSO)이 제공하는 최신 철강 수급 상황 및 2021년 건설부 철강 수요 예측에 대한 최신 정보 및 통계 분석을 통한 자체 생산 및 판매 계획 능동적 수립, 지역 제조업체 보호를 위한 무역 구제책 강화 등을 포함한다.


특히, 재무부는 가격 안정을 위해 가격 변동폭이 큰 여러 철강 업종의 수출입 관세율 조정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빌릿(HS 코드 7206, 7207)의 경우, 수출관세율을 0%에서 5%로 인상해 수출을 제한하고 각종 건설용 철강재의 수입관세율을 10~15%로 인하한다. 재무부가 제출한 조정안에 따르면 철근의 하위 HS 코드 7213.91.20, 7213.99.20, 7214.20.31, 7214.20.41, 7214.20.51, 7214.20.61, 7215.50.91, 7215.90.10는 현재 20%에서 15%로 인하되고 H형 비합금강, 열간압연제품의 하위 HS 코드 7216.33.11, 7216.33.19, 7216.33.90는 현재 15%에서 10%로 인하된다.  


2021년 4월 말 이후 시작된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특히 호찌민시와 남부지역을 강타하면서 공장 폐쇄, 공급망 중단 및 많은 건설 프로젝트 중단을 초래했다. 결과적으로 2021년 3분기 철강 생산 및 내수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하락했고 철강 생산의 핵심 원료인 철광석의 세계 가격 하락에 이어 4분기 철강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다.


2021년 4분기 철강 생산 및 소비 회복은 실제 전염병 상황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호찌민시는 2021년 10월 초부터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완화하기 시작했으며 일부 남부 지방은 9월 중순부터 점차적으로 사회경제적 활동을 재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방 당국이 전염병의 효과적인 억제와 사회·경제적 발전의 회복이라는 이중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에는 아직 이른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기업 현황


베트남의 철강 시장은 건축용 철강(봉강,철골), 아연 도금 강판(냉연강판, 열연강판, 도금 강판), 강관 및 튜브 3가지로 분류된다.


(건축용 철강) 건축용 철강재의 경우 Hoa Phat 그룹이 2019년 전체 26.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고 2020년 32.5% 시장점유율을 달성하며 시장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그 외 2020년 기준 건축 철강재 시장점유율은 VNSteel(16.1%), 일본 투자기업 Vina Kyoei(8%), Pomina(6.8%), 한국 투자기업 POSCO(4.1%) 순이다.

(아연 도금 강판) 2019년Hoa Sen그룹은 시장점유율 29.5%를 기록했고 2020년에도 가장 큰 시장점유율(33.4%)을 차지했다. 이외에 2020년 기준 Dong A(16%), Nam Kim(14.4%) and TVP(9.6%)가 뒤를 이었다.

(강관) Hoa Phat 그룹은 2019년 전체 시장 점유율의 31.5%, 2020년 31.7%를 기록하고 계속해서 1위를 차지했으며 2020년 기준 Hoa Sen Group(16.8%), Minh Ngoc(9.6%), TVP(8.5%), Viet Duc(6.7%)가 그 뒤를 이었다.


베트남 철강산업 – 제품 부문별 주요 업체의 시장점유율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주: 내부 원(2019년 수치), 외부 원 (2020년 수치)

자료: VietnamBiz


나. 산업의 수급 현황


생산 및 소비 동향


베트남의 철강 생산 능력은 현재 국내 총 수요를 초과하지만 일부 철강 품목에 생산이 집중돼 있어 공급의 불균형을 이룬다. 주로 건설에 사용되는 철강 봉형(봉강), 아연 도금 강판(냉연, 열연, 도금/코팅 강판) 및 강관과 같은 품목은 재고가 많아 일반 건축용 철강 제품에 대한 수요는 충족하지만 제조업 및 지원 산업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고급 철강 제품에 대한 수요는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VSA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베트남 철강산업의 총 설계 생산 능력은 연간 3000만 톤 이상이고, 철강 공장의 실제 연간 생산량은 2500만 톤 이상으로 최대 생산 능력의 약 80%에 불과하다. 한편, 수출 및 국내 시장 소비는 매년 2300만 톤에 불과했다.


2020년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베트남의 철강 산업 실적은 상당히 고무적이었다. 각종 철강제품 생산량은 259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소폭 증가했으며 철강 제품의 총 소비량은 2340만 톤으로 1.4%의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조강* 국내 생산량은 1720만 톤으로 14% 증가했고 총 소비량은 약 1700만 톤으로 12% 증가했다.

  주*: 조강은 액체강이 응고된 최초의 고체강 제품으로 강괴, 빌릿, 슬래브가 포함됨.


철강 완제품은 봉형강, 강관, 도금·코팅강, 냉연강판, 열연강판 등을 주요 품목으로 하고 있다. 그중 건축용 봉재 제품은 생산량과 소비량 모두에서 전체 시장의 각각 40%, 45%의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했다.


철강 업계는 2021년 상반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유지했다. 총 생산량은 1590만 톤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37%의 견실한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총 판매량은 1410만 톤을 달성해 35%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조강의 경우 생산량 1030만 톤, 판매량 1020만 톤을 기록했다.


베트남 철강산업 생산·판매량 비교

(단위: 천 톤)

품목

2019

2020

2021.1~6.

생산량

판매량

생산량

판매량

생산량

판매량

건축용 철강

10,559.7

10,594.1

10,114.7

10,469.6

5,625.8

5,316.2

열연 코일

4,129.9

4,095.5

4,452.3

4,287.5

3,491.8

3,667.5

냉간 압연 강판

3,946.2

2,290.4

4,438.2

2,170.7

2,747.4

1,290.8

코팅, 도금 강철

4,253.9

3,763.2

4,437.8

3,929.3

2,901.2

2,579.9

강관

2,373.4

2,383.3

2,501.1

2,591.9

1,199.8

1,243.7

합계

25,263.1

23,126.5

25,944.0

23,449.0

15,966.1

14,098.6

자료: 베트남 철강협회(VSA), VietnamBiz


수출입 동향


철강은 베트남의 10대 수입품목 중 하나로 연간 약 100억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세관총국 수치에 따르면 2016~2020년 베트남 철강 수입량은 연간 약 1400만~1500만 톤으로 연간 약 80억~90억 달러 규모에 이른다. 이 기간 철강산업의 평균 성장률은 양적 측면에서 -2%, 가치 측면에서 2%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베트남은 2019년에 95억 달러에 달하는 1460만 톤의 철강을 수입했다. 2020년 수입량과 수입액은 전년대비 각각 9%, 15% 감소한 1330만 톤과 81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철강 수입의 주된 감소 요인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여파로 많은 철강 생산 국가의 생산량 감소로 인한 해외 철강 공급원 공급 감소, 중국 내수 시장의 철강 소비 증가 등이 있다. 한편, 해당 기간 베트남의 고철 수입은 양적, 가치 측면에서 두 자리 수 성장을 기록했다. 연간 평균 수입량은 500만 톤 이상이며 수입액은 15억 달러로 각각 15%, 19%씩 증가했다. 2019년, 2020년 각각 560만 톤, 630만 톤의 고철을 수입했다.


전체적으로 2016~2020년에 베트남은 다양한 종류의 철강 및 고철 약 2000만 톤을 구매하는 데 연간 100억 달러 이상을 지출했다.

2021년 상반기(1~6월) 동안 철강 수입은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철강제품 수입은 710만 톤, 58억 달러를 기록하며 각각 6%, 44% 증가했다. 고철 수입도 320만 톤, 14억 달러로 각각 32%, 116% 증가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철강 및 고철 수입은 각각 13%, 54% 증가했고, 이는 1050만 톤, 72억 달러에 해당한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세계 시장 가격 인상 장기화와 함께 다수의 제조업과 건설업의 회복세가 이러한 상승세를 설명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2021년 3분기 철강 수입은 철강 생산 및 판매 상황과 마찬가지로 2021년 2분기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전년 동기 대비 2021년 3분기 철강 수입량은 크게 감소했지만 수입액은 여전히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각종 철강(고철 제외)의 공급처로는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대만 등이 있다. 2020년 5개국으로부터 철강 수입은 베트남 전체 철강 수입의 90%를 차지했다. 중국은 대베트남 철강 공급 1위 국가로, 베트남에 24억 달러 상당의 380만 톤의 철강을 수출했다. 그 외에 인도(250만 톤, 11억 달러), 일본(240만 톤, 14억 달러), 한국(180만 톤, 13억 달러), 대만(160만 톤, 9억 달러)이 뒤를 잇는다.


2021년 상반기에는 중국이 베트남의 철강 전체 수입량의 51%에 해당하는 360만 톤, 28억 달러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 일본(90만 톤, 7억5000만 달러), 한국(80만 톤, 7억 달러), 대만(60만 톤, 5억 달러), 인도(60만 톤, 4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베트남 철강 수입 현황 

(단위: 천 톤, 백만 달러, %)

품목

2019

2020

2021.1~6.

수입량

수입액

수입량

수입액

수입량

수입액

철강제품

14,558.1

9,513.0

13,258.9

8,066.9

7,097.9

5,786.5

  - 성장률

7.6

-3.9

-8.9

-15.2

5.9

43.9

철 스크랩

5,630.3

1,661.2

6,269.7

1,672.1

3,446.1

1,431.0

  - 성장률

-0.3

-14.2

11.4

0.7

32.1

115.8

합계

20,188.4

11,174.2

19,528.6

9,739.0

10,544.0

7,217.4

 - 성장률

5.3

-5.6

-3.3

-12.8

13.2

54.0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베트남 통계청(GSO),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베트남 철강 수출은 2016년부터 눈부신 성장을 이뤘다. 2016-2020년 기간 베트남은 연간 평균 약 600만 톤의 다양한 종류의 철강을 수출해 약 40억 달러의 수입을 올렸으며 평균 성장률은 수출량, 수출액 각각 32%, 28%를 기록했다. 특히 2020년에는 많은 산업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지만 철강산업은 비교적 양호한 수출실적을 이어갔다. 특히 지난해 1000만 톤에 육박하는 50억 달러 이상을 수출해 수출량 48%, 수출액 25%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수출량과 수출액이 각각 50%, 116% 증가한 590만 톤과 45억 달러에 달하는 성장 모멘텀이 지속됐다. 2021년 3분기에는 철강 생산, 내수 및 수입의 침체 상황과 달리 베트남 철강 수출은 2021년 2분기에 대비 여전히 양호한 성장을 보였고 전년 동기 대비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 이러한 성과의 배경에는 중국의 이례적인 수입 수요 급증, 세계 여러 대형 철강업체의 생산량 감소, 공급 및 재고가 낮은 상황에서 글로벌 철강 수요 회복, 철강 가격 상승 등의 요인들이 있었다.


베트남산 철강제품의 주요 소비 시장은 중국, ASEAN(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대만, 한국 등 주로 아시아 국가들이다. 2020년 중국은 베트남 철강의 1위 수출시장으로, 2019년보다 약 7배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350만 톤(35.9%), 15억 달러(28.2%)에 해당한다. 수출량 기준 2019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의 견조한 성장률을 보인 해외 시장으로는 필리핀(95%), 태국(82%), 대만(43%)이 있다.


2021년 상반기 동안 시장점유율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120만 톤(6억8300만 달러)에 달하는 베트남의 전체 철강 수출량의 20%를 차지하며 계속해서 1위 자리를 지켰다.


베트남 철강산업 수출 현황

(단위: 천 톤, 백만 달러, %)

 

2019

2020

2021.1.~6.

수출량

수출액

수출량

수출액

수출량

수출액

수출

6,663.5

4,304.9

9,857.8

5,258.4

5,855.3

4,507.4

성장률

6.4

-7.5

47.9

25.1

49.8

116.2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베트남 통계청(GSO),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다. 진출 전략(SWOT)


강점(S)

약점(W)

- 풍부한 철광석 매장량

- 건설 및 산업 제조 부문의 안정적인 국내 철강 소비 시장

- 비교적 낮은 인건비 및 유통 비용

-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외국인 투자유치

- 전 세계 30개 이상의 해외 시장에 수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베트남산 철강 제품

- 기존 광산 회사의 열악한 재무 성과

- 낮은 수익성 및 막대한 투자 자본으로 인한 최대 규모의 철광석 광산 개발 프로젝트 종료

- 철강 생산 투입 원료에 대한 높은 수입 의존도

- 많은 철강 공장의 장비 및 기술의 낙후로 생산성과 품질이 떨어짐.

- 일부 철강 품목에 집중된 불균형 공급으로 인한 초과 공급 및 재고 처리 문제

- 다수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무역  방어 조치

-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에 대한 사회경제적 취약성

기회(O)

위협(T)

- 인프라에 대한 공공 투자 및 베트남 FDI 를 포함한 민간투자 확대

- 고품질 합금강 등 아직 국산화되지 않은 철강제품 및 열연 강판 코일의 낮은 생산량으로 수입 의존도가 높음

- 중국의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철강 생산 억제 정책

- 중국 및 글로벌 시장의 공급 부족

- 베트남 정부의 국내 철강 제조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무역 구제 조치 활용 확대

- 미중 무역전쟁 수혜 영향

- 국내외 투자자들의 철강 제조 신규 투자 프로젝트로 국내 시장 경쟁 심화

- 중국의 노후 기술 유입

- 세계 철강 시장의 과잉 생산과 전 세계 무역보호주의 확대로 인한 일부 철강 공장 설비 가동 중단 및 대량 재고 위험

- 철강 원료 가격 및 공급의 변동성

-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변동성

자료: KORA 호치민 무역관


유망분야


베트남 철강산업은 건축용 봉강, 냉연코일, 아연도금강판, 용접 강관 등 여러 제품 부문에서 생산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아직 국내 생산이 불가능한 제품 부문에 투자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레드오션을 피하기 위해 기업들은 기계 공학 산업, 조선 산업,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는 열연코일 및 고품질 합금강과 같이 국내 생산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거나 높은 잠재적 이익을 가진 제품 부문에 투자를 집중해야 할 것이다.


특히 열연코일(HRC)의 국내 수요는 기계 공학 및 지원 산업의 수요 증가로 인해 향후 몇 년 동안 계속 국내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현지 생산 능력은 Formosa Ha Tinh와 Hoa Phat Group의 두 회사에서 연간 500만~600만 톤이며, 베트남은 2020년에 1000만 톤의 열연코일을 수입했다.


총 시장점유율의 1/3을 차지하고 강관 시장 부문을 주도하고 있는 현지 주요 철강 업체인 Hoa Phat Group은 작년에 열연코일 생산을 시작해 몇 년 전에 이 시장 부문에 진출한 대만 투자 기업인 Formosa Ha Tinh의 유일한 경쟁사가 됐다. 현재 Hoa Phat Dung Quat 공장은 연간 300만 톤의 열연코일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룹의 사업 개발 전략에 따라 현재 열연코일 라인에 460만 톤을 추가하기 위한 투자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이미 베트남 중부 꽝응아이(Quang Ngai) 지방 당국의 승인을 받았으며 2024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트남 철강협회(VSA)는 기존 제철소의 제품 경쟁력 및 품질 향상, 폐기물 감소,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 완화에 대한 투자를 권고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향성에 맞춰 Formosa Ha Tinh Steel(FHS)은 열연코일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슬러지의 산화철, 탄소, 아연을 자원으로 회수 및 재활용해 폐기물을 줄이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먼지 재활용 기술인 회전로(RHF)에 8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었다. 해당 공사는 2021년 말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봉쇄 규제로 지연됐다.

 

2016년 이후 베트남의 주요 철강 프로젝트(공장)


프로젝트 명

내용

Hoa Phat Group (HPG)

Hoa Phat Hai Duong Iron & Steel Complex – Phase 3

 - 위치: 베트남 북부 Hai Duong성

 - 투자기간: 2014~2016

 - 투자금액: 1억7700만 달러

 - 주요 제품: 빌릿

 - 연간 생산능력: 75만 톤/년

Hoa Phat Steel Sheet

 - 위치: 베트남 북부 Hung Yen성

 - 투자연도: 2016~2018

 - 투자금액: 1억8200만 달러

 - 주요 제품: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도색도금강판

 - 연간 생산능력: 40만 톤/년

Hoa Phat Dung Quat Iron & Steel Complex – Phase 1 & 2

 - 위치: 베트남 중부 Quang Ngai 성

 - 투자연도: 2017~2021

 - 투자 금액: 26만800만 달러

 - 주요 제품: 강봉, 열연코일

 - 연간 생산능력: 각각 260, 300만 톤/년

Hoa Phat Dung Quat Iron & Steel Complex 2

 - 위치: 베트남 중부 Quang Ngai 성

 - 투자연도: 2021년~2024년(잠정)

 - 투자 금액: 37억1200만 달러(추정)

 - 주요 제품: 열연코일, 고품질 봉강 및 선재

 - 연간 생산능력: 560만 톤/년(그중, 열연 코일 460만톤/년)

Hoa Sen Group (HSG)

Hoa Sen Steel

Dong Hoi-Nghe An (2 phases)

 - 위치: 베트남 중부 Nghe An 성

 - 투자연도: 2015~2017

 - 투자 금액: 3억2300만 달러

 - 주요 제품: Phase1: 아연 도금 및 알루미늄+아연 도금 강판; 도색 도금 강판

Phase2: 아연 도금 및 알루미늄+아연 도금 강; 도색 도금 강판, 냉연강판

 - 연간 생산 능력: Phase1: 40만 톤/년; 각각 12만 톤/년

Phase2: 40만 톤/년+; 120,000톤/년; 40만 톤/년+

Hoa Sen Steel

Nam Cam-Nghe An (Phase 2)

 - 위치: 베트남 중부 Nghe An성

 - 투자연도: 2016~2017

 - 투자금액: N/A

 - 주요 제품: 강관

 - 연간 생산능력: 3만 4500톤/년

Hoa Sen Steel

Nhon Hoi, Binh Dinh (2 phases)

 - 위치: 베트남 중부 Binh Dinh성

 - 투자연도: 2016~2018

 - 투자 금액: 9100만 달러

 - 주요 제품: Phase1: 아연 도금 및 알루미늄+아연 도금 강판; 도색 도금 강판

Phase2: 아연 도금 및 알루미늄+아연 도금 강판; 도색 도금 강판; 냉연강판

 - 연간 생산 능력: Phase1: 각각 18만, 4만 5,000톤/년

Phase2: 각각 35, 25, 15만 톤/년

Hoa Sen Steel

Ha Nam (2 phases)

 - 위치: 베트남 북부 Ha Nam성

 - 투자연도: 2016~2018

 - 투자금액: 1억3400만 달러

 - 주요 제품: 아연 도금 강관; 플라스틱 파이프(uPVC, HDPE, PPR)

 - 연간 생산능력: 20만 톤/년 (강관)

Hoa Sen Steel Pipe

Yen Bai (3 phases)

 - 위치: 베트남 북부 Yen Bai 성

 - 투자연도: 2017~2021년

 - 투자 금액: 4600만 달러

 - 주요 제품: 강관, 절연강판

- 연간 생산 능력:  Phase1: 각각 6만 톤, 4000톤/년

 Phase2: 각각 6만 톤, 4000톤/년

 Phase3: 각각 10만 톤, 4000톤/년

Formosa Ha Tinh Steel (FHS)

Formosa Ha Tinh Steel
Blast Furnace Iron Production – Phase 1 & 2

 - 위치: 베트남 중부 Ha Tinh성

 - 투자연도: 2015~2018년

 - 주요 제품: 평강, 철근 및 기타 압연강재 생산용 조강

 - 연간 생산능력: 750만 톤/년

Formosa Ha Tinh Steel
Blast Furnace Iron Production – Phase 3

 - 위치: 베트남 중부 Ha Tinh성

 - 투자연도: 2021년~

 - 주요 생산품: 조강

 - 연간 생산능력: 750만 톤/년

Formosa Ha Tinh Steel

Rotary Hearth Furnace (RHF)

 - 위치: 베트남 중부 Ha Tinh성

 - 투자연도: 2021년~

 - 투자금액: 8000만 달러

 - 주요 제품/활동: 제강 공정(용광로, 소결 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슬러지로부터 자원(아연, 산화철) 회수

자료: 주요 철강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 베트남 무역구제청(TRAV), 2020 철강시장 보고서 (VietnamBiz), 베트남 철강협회(VSA), 베트남 세관 총국, 주요 철강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 베트남 철강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