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재무부, PVC 제품 5종에 반덤핑 관세 부과 고시
- 통상·규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한종원
- 2025-04-14
- 출처 : KOTRA
-
저가로 유입되는 중국산 수입품 5종 대상, 한국산도 1종 포함
2024년 기준 대한민국은 대인도 PVC 4위 수출국
폴리염화비닐이라고 칭하는 PVC는 널리 사용되는 합성 플라스틱 폴리머다. 다용도성, 내구성 및 비용 효율성이 뛰어나 건설, 자동차, 포장 등 전산업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인도 정부가 인프라 및 건설 산업에 주력하면서 배관, 전기 케이블 단열재, 창틀, 지붕 시트 등 다양한 건설 분야의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인도 PVC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413만 톤에 달했으며, 향후 매년 평균 3.84% 성장해 2030년까지 512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도 PVC 시장 호조 요인이다. Invest India에 따르면, 인도의 회계연도 2024년 자동차 생산량은 2800만 대를 상회하는데, PVC가 대시보드, 도어 패널, 시트 커버 등 자동차 차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만큼 원자재 수요도 나란히 증가하고 있다.
2024년 7월, 인도 최대 그룹인 아다니(Adani) 그룹은 2026년 12월까지 40억 달러 규모의 PVC 프로젝트 착수를 발표한 바 있다. 인도 남부 구자라트주(州)에 석유화학 클러스터를 개발해, 연간 200만 톤 규모의 PVC 공장을 단계적으로 설립할 계획이다. 2024년 4월, 종합 화학 업체인 에피그랄(Epigral) 또한 구자라트주 공장 확장 및 증설을 통해 연간 75,000톤(TPA)의 PVC 수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내수 시장에서의 PVC 수요가 다대함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수요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해 충족하고 있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가장 큰 규모의 PVC를 수입하고 있다. 주로 중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로부터 수입하고, 한국산 수입 규모도 2024년 기준 4위에 달한다. 인도 정부는 지난 2024년 2월, PVC 호모폴리머(Homopolymers) 품목을 BIS(인도 표준국) 인증 필수 대상으로 발표했다. 당초 2024년 8월 26일자 발효 예정이었으나, 2024년 12월로 1차 연기 후, 2025년 6월 24일자 시행으로 재차 연기된 바 있다.
<인도의 PVC(HS 코드: 3904) 수입 규모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
세계
3,362
3,356
3,258
100.00
100.00
100.00
-2.92
1
중국
991
1,064
1,137
29.47
31.72
34.91
6.85
2
일본
631
544
480
18.77
16.22
14.73
-11.84
3
대만
448
404
356
13.33
12.03
10.91
-11.93
4
대한민국
322
317
320
9.58
9.45
9.82
0.97
5
미국
154
271
284
4.59
8.07
8.71
4.68
6
태국
333
257
215
9.91
7.65
6.61
-16.09
7
인도네시아
78
106
77
2.32
3.15
2.35
-27.56
8
프랑스
49
61
56
1.45
1.82
1.71
-8.56
9
벨기에
51
46
54
1.52
1.38
1.65
15.65
10
싱가폴
8
15
38
0.24
0.45
1.18
154.58
[자료: 인도 상공부(Ministry of Commerce)]
지난 3월 21일, 인도 재무부는 PVC 페이스트 수지(Poly Vinly Chloride Paste Resin) 5종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최종 발표했다. 대상 국가는 중국,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대만, 태국을 비롯해 대한민국도 포함된다. 조사 대상은 인도 회계연도 2023년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12개월간 수입된 물품으로, 보냉병, 소프트 페라이트 코어, 알루미늄 포일, 트리클로로 이소시아누릭 산, PVC 페이스트 레진 등 5종이다. PVC 수지를 비롯한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현지 기업의 제소로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은 2023년 9월 30일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고, 이후 2024년 12월 24일 조사 결과(Final Finding) 발표 및 반덤핑 관세 부과를 권고했다. 동 권고에 따라 최종 부과 결정권을 보유하고 있는 인도 재무부에서 사안을 검토 후, 2025년 3월 21일 부과를 발표했다.
<PVC 페이스트 수지에 대한 반덤핑 조사 현황>
일자
내용
2023.09.30.
반덤핑 조사개시
2023.11.29.
PUC* 및 PCN**에 대한 설문지 답변 제출
2024.02.14.
이해관계자 목록 및 제출물 공유
2024.04.26.
예비 결과 발표 및 예비 반덤핑 관세 부과 권고(DGTR)
2024.06.19.
최초 구두 청문회 공지
2024.09.18.
조사 연장 공지
2024.12.24.
조사결과(Final Finding) 발표 및 반덤핑 관세 부과 권고
2025.03.21.
인도 재무부 최종 부과 조치
* PUC : Product Under Consideration (대상 제품 범위)
** PCN : Product Control Number (제품 통제 번호)
[자료: KOTRA 뉴델리무역관 직접 작성]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은 제소 기업이 인도 내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수입 물품과 유사하며, 국내 산업을 구성해 덤핑 조사에 대한 신청 자격을 보유한 것으로 판단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1년 이상이 소요된 조사 결과, 무역구제총국은 조사 대상 국가의 생산업체들이 인도 시장에 제품을 덤핑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조사 기간 대상 국가로부터 덤핑 수입량이 증가했고, 수입 가격이 국내 판매 가격보다 낮아 인하 영향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산업은 재정적 손실, 현금 손실 및 고용 자본 수익률의 역성장을 겪고 있다고 판정했다.
우리 기업도 이해관계자로 조사에 참여했으며, 일부는 덤핑 마진이 미미한 것으로 인정받아 부과 권고 대상에서 면제됐다. 조사 결과에 따라 무역구제총국은 인도 재무부에 관세 부과를 권고했고, 최소 부과 원칙(Lesser Duty Rule)에 따라 덤핑 마진(Dumping Margin)과 피해 마진(Injury Margin) 중 작은 것으로 부과하되, 아래 기준를 준수토록 권고했다.
<국가·대상별 반덤핑 관세>
(단위: MT 당 달러)
국가
대상
관세
대한민국
Hanwha Solutions Corporation
Nil
상기 기업 제외 Any producer
89
중국
Formosa Industries(Ningbo) Co., Ltd.
595
Shenyang Chemical Co., Ltd.
248
상기 기업 제외 Any producer
707
말레이시아
Any producer
516
대만
Formosa Plastics Corporation
247
상기 기업 제외 Any producer
373
태국
TPC Paste Resin Co., Ltd
343
상기 기업 제외 Any producer
421
노르웨이
Any producer
495
[자료 : 인도무역구제총국(DGTR)]
통상 무역구제총국(DGTR)의 권고 이후, 인도 재무부는 해당 사항을 검토해 3개월 이내 부과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부과 기간은 잠정조치 부과 일자인 2024년 6월 13일로부터 5년이다.
자료: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 인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인도 상공부(Ministry of Commerce), TechSci Research, The Hindu, Live mint, Business Standard, Hindustan times, Economic Times, Times of India 등 현지 언론보도 및 KOTRA 뉴델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재무부, PVC 제품 5종에 반덤핑 관세 부과 고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우즈베키스탄 경제 및 무역의 새로운 변화
우즈베키스탄 2025-04-14
-
2
미국의 대멕시코 관세 부과 경과 및 시사점
멕시코 2025-04-14
-
3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미국 2025-04-16
-
4
중국 최대 식품 전시회를 통해서 본 2025년 식품 산업 트렌드
중국 2025-04-11
-
5
말레이시아 화장품 수출의 첫걸음, NPRA 규제 파헤치기
말레이시아 2025-04-10
-
6
싱가포르 노동 시장과 최신 노무 제도 변화: 한국 기업들을 위한 필수 정보
싱가포르 2025-04-11
-
1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2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3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4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5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6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