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탈달러화 추진 배경 및 2021년 통상정책
  • 통상·규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1-03-30
  • 출처 : KOTRA

- 대체 통화로는 유로, 교역 결제는 자국 통화로 전환 중이나 시간 소요될 것 -

- 경제제재 강화로, 달러 부채 줄이고 ‘탈달러화’ 확대 중 -




최근 한국에도 러시아의 ‘탈달러화’에 대한 기사가 보도된 바 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지시로 중앙은행(CBR)은 지난 몇 년간 탈달러화 정책을 수행 중이고 러시아 외환보유고에서 달러화 비중을 줄이고 미국 채권에 대한 투자를 크게 줄이고 있다고 시사됐다.

 

러시아의 ‘탈달러화’ 추진 과정

 

러시아의 ‘탈달러화(De-dollarization)’ 추진은 이미 6~7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2013년부터 세계적으로 새로운 지정학적 움직임이 있었고 러시아는 이러한 큰 움직임 속에서 달러화 경제의존도를 낮추기 시작했던 것이다. 특히 2014년 대러시아 서방 경제제재가 시작되면서 러시아는 정책적으로 ‘탈달러화’에 박차를 가했다.

 

러시아의 탈달러화 대상은 국제 교역, 연방정부 및 지방 외채, 외환보유고, 외환 거래소(FX) 등 전반적인 통상 활동들에 속한다. ING(네덜란드계 금융기관)은 이러한 러시아의 탈달러화가 최근 중국과 연합해 추진 중이고 2014~2019년 러시아의 국제교역 및 금융 결제 통화중 달러 비중이 15~20%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러시아 연방 재정부와 중앙은행은 2020년간 외환보유고 중 달러 비중을 낮추기를 경주했다는 것이 ING 보고서 내용 중 하나이다. 다만, 러시아가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통화로 유로(EURO)를 선호하고 있으나 대달러 대비 환율 등락 현상이 2013~2019년 지속되서 완벽한 대체 통화 역할은 당분간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한 해 동안 국제교역을 통해 러시아로 유입된 달러는 1900억 달러이고 민간 자산(국제 자산 포함)은 아직도 달러가 선호되고 있어서 ‘탈달러화’ 추진 과정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민간 중심으로 달러 자산을 선호하는 주 요인은 유로 대비 달러화에 대한 이자소득이 높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발생이 러시아의 탈달러화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NG 조사 결과, 각 통상부문에서 달러화 비중은 2019년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소폭으로 올랐다. 일단위 외환거래소, 시중은행 예금, 중앙은행 외환보유고 등이 2019년 대비 달러 비중이 소폭 올랐으며 수출 부문과 금융권 외환보유, 비금융권 외환 등의 달러 비중은 45% 이상을 유지했다. 한편,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 중 달러 비중은 2020년 기준 22%로 50% 이상이었던 2013년 대비 크게 하락했고 글로벌 외환보유 평균 비중(60%)보다 크게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3년 대비 달러 비중이 높아진 부문은 비금융권 외환과 시중은행 예금이다.   

 

러시아의 달러 비중 변화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ING

 

2020년 주요 부문 ‘탈달러화’

 

국제교역 부문


2020년 동안 러시아의 교역 부문에서 ‘탈달러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대상국(지역)은 중국, 터키, 이란, EU, 유라시아경제연합국(EAEU)이다. 중국과의 교역에서 달러 비중이 낮아지는 현상은 2019년부터 확연했으며 터키와 이란, EU는 점진적으로 유로화 비중을 늘리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1분기 기준 러-중 교역의 달러 비중은 46%로, 2015년의 비중이 90%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급격히 낮아진 결과이다.


Izvestia(신문) 기사에 따르면, 중국 민족은행 총장 Yi Gang과 러시아 제1부총리 Anton Siluanov는 2020년 6월 5일, ‘자국 통화 상호 결제’ 협정을 체결했고 해당 협상을 ‘SWIFT(국제은행 간 통신협정: 1973년 유럽과 북미의 주요 은행이 가맹된 비영리 조직)로부터의 러중 협력 게이트웨이(Gateway between the Russian and Chinese analogues of SWIFT)’로 지칭했다. 이란은 EAEU-이란 FTA 가계약(2019년 10월 체결)에 양국 교역의 자국 통화 결제 비중을 40%에서 50%으로 높이는 조항을 포함시켰다. 터키는 2019년 10월에 양국 재정부 주관으로 ‘자국 통화 교역 결제’ 상호 협정(러시아 제1부총리 Anton Siluanov와 터키 Berat Albayrak 부총리 서명)을 체결했다. EU 또한 2019년(6월)에 러측(제1부총리 Anton Siluanov)과 에너지연료 및 원부자재 결제를 유로화하는 협상이 추진됐고 러시아 자원개발 대기업들(노바텍, 로즈네프트)은 2019년 10월부터 유로화 결제 기반 수출계약을 체결하겠다고 발표했다.


2020년 러시아 전체 수출의 달러 결제 비중은 약 60%로 전년대비 2% 감소했고, 금액으로는 800억 달러가 감소했다. 대유럽 수출의 달러 결제 비중은 43%로 전년대비 8% 감소했는데 이는 에너지연료 수출 규모(금액) 하락의 영향으로 보인다. 대중국 수출의 달러 결제 비중은 2019년부터 급격히 하락했으나 2020년 기준으로는 44.8%로 전년대비 3.8% 올랐다. 한편, 대인도 수출의 달러 비중은 2018년부터 낮아지기 시작했다.

 

external_image

자료: ING

 

2020년 러시아 전체 수입의 달러 결제 비중은 전년대비 약 1% 감소했다. 해당 기간 대유럽 수입의 달러 결제 비중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나 대중국 수입의 달러 비중은 2020년 기준 59%로 전년보다 3% 감소했다. 러시아 전체 수입의 유럽과 중국 비중은 약 57%으로 전체 수입의 달러 비중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대EAEU(유라시아연합국: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러시아 수입은 거의 루블화 결제로 이뤄지고 있고 2020년 기준 약 75%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external_image

자료: ING

 

외채 부문

 

러시아의 ‘탈달러화’ 부문 중 외채가 가장 빠른 속도로 달러 비중이 낮아지면서 유로가 대체 중이다. 러시아 재정부는 달러 거래 유로채권(Bond)를 발행하지 않고 있으며, 100% 유로로 거래되고 있다. 민간 외채도 대러시아 미국 경제제재가 강화되면서 달러 거래 비중은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 중이다. 2020년 상반기 기준 러시아 명목 총 외채(2013년 환율 기준) 규모는 6000억 달러이며 달러 비중은 35.7%(2250억 달러)이고 실질 총 외채(4820억 달러) 대비 46.6%이다. 2013년 기준 총 외채의 달러 비중은 약 60%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하락한 결과이다. 한편, 달러 대비 유로 가치는 소폭 하락했으나 2020년 상반기 기준 822억 유로 외채 규모로 2013년 대비 46.4% 증가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ING

 

외환보유고

 

2020년 하반기 기준, 러시아 재정부는 국가자산(NWF: 국가복지기금) 외환 중 달러 비중을 전년 동기 대비 6% 낮춘 32%로 유지했다. 환율을 적용한 실질 비중은 9%가 낮아진 22% 비중에 불과하다. 해당 결과는 러시아 최대 은행 Sberbank가 자기 자본의 50%를 루블로 환전(중앙은행)했기 때문이다. 다만, 변동 유동자금으로서의 달러 비중은 45%로, 현재까지 높은 편이다. 러시아 재정부는 최근 국가복지기금의 외환을 달러, 유로, 영국 파운드로 비중을 조정 중이라고 발표하면서 러시아 중앙은행의 환율변동 유동성에 좌우되고 있음을 암시한 바 있다.

 

러시아 국가복지기금의 외환 중 달러 비중은 Sberbank의 루블화 대규모 환전으로 낮아졌으나 환율변동 유동성 확보 때문으로 2013년 대비 크게 낮아지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유로화 비중이 2018년 대비 크게 높아졌고 달러 비중과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러시아 중앙은행의 외환 자산 또한 2018년부터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18년 기준 중앙은행 외환 자산 중 달러비중을 20% 이내(1080억 달러)로 감소했고 대신 유로화 비중을 크게 높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Gold) 비중도 2018년부터 높아지면서 2020년 1분기 기준 20%(1160억 달러 가치)에 근접했다. 위안화(RMB) 비중도 2018년부터 높아지면서 2020년 1분기 기준 약 12%(680억 달러 가치) 비중을 차지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ING

 

민간 자산

 

정부기관의 외환 자산 구조를 탈달러화하는 것보다 민간 자산 탈달러화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 자산으로서 달러 유입은 국제 교역을 통한 거래이고 국제 기축통화로서의 달러 거래가 가장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기업 및 가계(비 금융권 부문)의 외환 자산 구조로, 달러 비중은 2020년 상반기 기준 65% 이상이며 이 비중은 2014년부터 큰 변화가 없다. 시중 은행의 외환 자산 구조로 달러 비중은 2020년 상반기 기준 60% 이하로, 2015년부터 소폭 하락하고 있다. 비금융권과 시중 은행의 달러 비중의 공통 특징은 2015에 가장 높았다는 점과 유로화 비중이 2015년부터 소폭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러시아 기업 및 가계의 예금과 대출 모두 아직도 달러화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ING

 

달러/루블 외환거래(FX)

 

러시아 외환거래(FX)의 달러 거래 비중은 여전히 높은 편이며 2020년 상반기 기준해서 전년 동기 대비 5%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상반기 기준 외환 거래의 달러 비중은 87%이다. 지난 3년간 비중이 낮아졌다가 다시 소폭 오른 이유로 국제 원유가 하락으로 안전자산으로서 달러로 선회하고 있다는 ING의 분석이다.

 

external_image

자료: ING

 

2021년 러시아 통상 정책과 ‘탈달러화’ 상관관계


러시아의 탈달러화는 2021년 통상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첫째로,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역내 협력 강화로 벨라루스, 키르키스스탄, 아르메니아와의 교역에 있어서 루블화 결제 비중을 높일 것이다. 두 번째로, 러시아 주도로 그동안 EAEU FTA 협상이 이루어진 이집트, 이스라엘, 인도, 이란, 싱가포르, 한국과의 대화가 활발해지면서 교역 결제 통화의 탈달러화 이슈도 포함될 것이다. 세 번째로, OPEC+ 원유생산 감산 협상 테이블에서 러시아의 입지를 강화시킬 예정으로 이와 관련 러시아의 탈달러화는 가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네 번째로, 미국의 대러시아 제재 대상인 노드스트림2 건설 프로젝트가 2021년 상반기에 거의 완성 단계에 진입할 것이고 이로 인해 러시아의 가스 수출이 확대되면서 유럽 결제 비중이 높아질 전망이다. 다섯 번째로, 코로나 백신(스푸트닉V) 외교로 북미권 경제 영향력을 축소한다는 러시아 정부의 의지가 더욱 확고해졌고 이로 인한 탈달러화 효과도 동시에 노릴 전망이다.

 

시사점 및 전문가 코멘트

 

2020년 팬데믹 충격에 의한 세계 달러 거래(Transaction) 규모는 4500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2020년 10월 기준 SWIFT 거래 중 유로화 결제가 달러 결제를 소폭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팬데믹에 따른 세계 시장의 달러 의존도는 지난 몇 년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ING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 결제 외환 중 달러 비중은 40~42% 선으로 유지 중이고 2020년 하반기의 유로화 결제 비중이 높아졌을 때 달러 약세로 이어졌으나 외환 거래 비중을 낮추지는 못했다고 한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중국과 유럽과의 연합을 통해 탈달러화를 진행 중에 있다. 중국과 유럽은 자국 통화 거래를 확대하기 위해 신속 결제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러시아는 석유가스 수출과 대중국 교역 통화를 유로와 자국 통화(루블, 위환)로 유도 중에 있다. 다만, 러시아는 민간 국제거래에서 달러 선호도와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고 자원개발 등의 대기업 중심으로 국제 거래 외환을 유로와 자국통화 결제(거래국과의 통화 스왑 등)로 전환하고 있어 ‘탈달러화’는 가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한편, 러시아 입장에서 ‘탈달러화’는 대러시아 미국 경제제재 강화와 국제유가 급변(달러 거래)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는 필연성이 부여되고 있다.

 

러시아 국가신용평가원의 Yury Noguin 평가이사는, 2020년 초부터 비거주자에 대한 러시아 은행 부채는 거의 5년 만에 1180억 달러에서 590억 달러로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대러시아 서방 경제제재 강화의 결과이며, 외환 부채 감소는 러시아의 대외 리스크 완화와 함께 국가 금융 시스템 정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Tele Trade(무역 및 시장분석 기업)의 Mark Simonyovich 선임 연구원은 달러가 최근 국제 주요 통화(유로, 파운드, 엔, 프랑 등)에 대해 약세이고 현 단계에서는 주요 통화 국가들의 달러 약세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러한 배경으로 유로가 러시아의 ‘탈달러화’ 일환의 대체 통화가 되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러중 교역에서 전략적인 경제 파트너십을 증명하는 ‘탈달러화’가 제한적으로 시행 중이라고 언급했다.

 


자료: ㅇ 현지언론 및 보고서

ㅇ 러시아 관세청(https://customs.gov.ru/statistic/vneshn-torg/vneshn-torg-countries), 러시아 경제개발부(https://www.economy.gov.ru/material/directions/vneshneekonomicheskaya_deyatelnost/dostup_na_vneshnie_rynki_i_

zashchitnye_mery/reestr_ogranich_mer/),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전문가 인터뷰 및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탈달러화 추진 배경 및 2021년 통상정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