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이스라엘 FTA 관련 유망품목
  • 통상·규제
  • 이스라엘
  • 텔아비브무역관 윤주혜
  • 2016-12-27
  • 출처 : KOTRA
Keyword #무역 #수출

1. 자동차(HS code 8703)

 

 □ 수입 현황

 

  ㅇ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은 자동차 생산국이 아닌 관계로 100% 수입 의존 품목

    - 자동차 수입규모는 연 30억~40억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일본(15.8%, 1), 한국(14.4%, 2) 등임(20168월 말 기준).

 

이스라엘의 자동차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명

2014(점유율)

2015(점유율)

20168월 말 기준(점유율)

1

일본

684(16.8)

499 (15.9)

467(15.8)

2

한국

645(16.8)

455(14.5)

427(14.4)

3

카자흐스탄

298(7.3)

225(7.2)

300(10.1)

4

슬로바키아

161(3.9)

219(7.0)

280(9.5)

5

터키

500(12.3)

354(11.3)

231(7.8)

6

스페인

218(5.3)

163(5.2)

165(5.6)

7

영국

287(7.0)

215(6.8)

159(5.4)

8

독일

253(6.2)

149(4.7)

151(5.1)

9

미국

218(5.0)

163(5.2)

146(4.9)

10

벨기에

73(1.8)

135(4.3)

115(3.9)


기타

725(17.8)

551(17.6)

510(17.2)


합계

4,062

3,128

2,951

주: 금액순, 3국 수출액 포함된 통계치, 즉 현대·기아차의 경우 터키, 중국 등

공장 증설 로 제3국 수출이 증가, 한국산 자동차임에도 타국 수입으로 집계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한국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대한 수입규모는 20168월 말 기준 4억2,000만 달러이며, 점유율 14.4%로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함.

 

 □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시장 현황

    - 2015년 기준 이스라엘의 자동차(신차 기준) 판매 규모는 23만9,771대를 기록했으며 전년대비 6.2% 증가

    - 최근 4~5년간 한국산 자동차가 현지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2015년 기준 기아차 3만3,703대, 현대차 3만1,250대를 판매해 신차 시장 판매율 1, 2위 차지

 

자동차 브랜드별 판매 현황

                                                                                                                                      (단위: )

순위

브랜드명

2014

2015

1

기아

26,365

33,703

2

현대

31,376

31,250

3

도요타

27,384

29,280

4

마즈다

17,090

17,057

5

미쓰비시

13,141

16,121

6

스코다

14,289

16,083

7

스즈키

13,799

12,277

8

닛산

9,872

11,960

9

르노

9,436

9,337

10

폴크스바겐

7,637

7,393


기타

84,359

55,310


합계

254,748

239,771

자료원: Israel Vehicle Importers Association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은 자동차 생산이 없어 100% 수입에 의존

 

  ㅇ 기업 현황

    - 대부분의 기업들은 현지법인 또는 지사 없이 대리점만 운영하는 형태로 진출

    - 한국 기업인 현대, 기아, 쌍용 등도 대리점만 운영하며, 일본자동차 주요 기업인 도요타, 마즈다, 미쓰비시도 대리점만 운영

 

  ㅇ 수입관세구조

    - 자동차 부품의 관세는 0~7%(품목에 따라 다름), 일부 자동차 대상으로는 구매세 30~50% 적용됨.

    * 구매세(purchase tax)는 일종의 특별소비세 성격의 세금으로 수입 시 관세 및 부가가치세와는 별도로 부과됨. 구매세의 규모는 품목에 따라 다르며 자동차, 가전제품, 화장품, 담배, 주류, 건설자재 등 일부 품목에 부과됨.

    

시사점

 

  ㅇ 자동차는 이스라엘 주요 수입 품목이자 100% 수입의존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 자동차는 한-이스라엘 교역에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주요수출 품목으로 간주됨.  


2.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수출입 현황

 

  ㅇ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입 규모는 연 2억9,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20168월 말 기준 독일이 점유율 17.8%1, 중국 11.7% 2, 일본 10.6% 3, 이탈리아 10.4% 4위를 차지함.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명

2014(점유율)

2015(점유율)

2016년 8기준(점유율)

1

독일

57(19.7)

53(18.3)

38(17.8)

2

중국

33(11.2)

35(12.2)

25(11.7)

3

일본

28(9.6)

28(9.8)

22(10.6)

4

이탈리아

33(11.4)

29(9.9)

22(10.4)

5

한국

20(6.9)

19(6.7)

13(6.4)

6

미국

13(4.6)

15(5.3)

11(5.2)

7

터키

13(4.5)

13(4.5)

9(4.4)

8

대만

12(4.2)

13(4.6)

9(4.2)

9

스페인

11(3.8)

12(4.2)

8(4.1)

10

프랑스

12(4.2)

11(4.0)

8(3.9)


기타

62(21.0)

65(22.1)

50(23.2)


합계

294

293

215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입 현황

    - 20168월말 기준 1,300만 달러, 점유율 6.4%로 수입대상국 5임.

 

  ㅇ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출 규모는 연 9,200만~9,4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20168월 말 기준 미국이 점유율 31.6%1, 독일 20.8% 2, 영국 16.1% 3, 러시아 4.8% 4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2014(증가율)

2015(증가율)

2016년 8기준(점유율)

1

미국

31(33.2)

30(32.6)

18(31.6)

2

독일

20(21.7)

17(18.6)

12(20.8)

3

영국

19(20.3)

17(18.4)

9(16.1)

4

러시아

3(3.7)

6(6.8)

2(4.8)

5

프랑스

3(4.0)

4(4.3)

2(3.7)

6

카자흐스탄

0.05(0.05)

2(2.2)

2(3.5)

7

멕시코

1(1.1)

1(1.7)

1(2.7)

8

헝가리

2(2.3)

1(1.9)

1(2.5)

9

슬로베니아

0.4(0.4)

0.5(0.5)

1(1.8)

10

벨기에

2(3)

0.9(1.06)

0.8(1.5)

33

한국

0.29(0.25)

0.08(0.09)

0.04(0.07)

기타

12(12.7)

12(13.0)

8(14.0)

합계

94

92

57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출 현황

    - 20168월 말 기준 4만 달러, 점유율 0.07%로 수출대상국 33위 차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에는 약 60개의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 존재

    - 생산업체의 다수가 이스라엘이 아닌 미국, 중국 등 제 3국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품목의 제3국 수출이 높음.

    - 현지 주요 자동차 부품 생산품목으로는 자동차 액세서리, HVAC 시스템, 차량관리시스템, 에어 브레이크, 엔진오일 온도조절 장치, 기어 및 기어 펌프, 연료분사 장치, 오일, 필터, 윤활제, 엔진 베어링 및 밸브, 전압 레귤레이터 및 정류기 등이 있음.

 

  ㅇ 기업 현황

    - 이스라엘에는 약 280개 기업이 자동차 부품 산업에 종사, 그 중 50개사가 OEM 부품 공급, 25개사가 자동차 시스템 공급 및 서비스 제공, 16개사가 버스 및 차량 설계 및 조립 관련 업체임.

    - 170개사가 해외로 수출하며, 연평균 수출 규모는 9,000만 달러 수준

    - 현지진출 해외 기업으로는 GM, Ford Motor, Toyota등이 R&D 센터를 설립해 진출해있으며, 한국 기업 진출은 없음.

 

이스라엘의 주요 자동차 부품 생산기업

업체명

홈페이지

주요 생신품목

주요 공장위치

Plasan Sasa

www.plasan.com

Carbon Fiber Parts

미국

MAG

www.mag-eh.co.il

Electronic Parking Brake

미국

Raviv

www.raviv.com

Fuel Venting Systems

미국, 중국

Raval

www.raval.co.il

Washing Systems, Valves

미국, 중국

Ditron Precision

www.deutschdagan.com

Precision Parts

이스라엘

Montorad

www.fishman-tt.com

Cooling Systems

멕시코

Tradir Gan

www.tadirgan-group.com

HPDC Products

독일, 미국

Omen Casting

www.omencg.com

Engine Parts

포르투갈

Foamotive

www.foamotive.com

PE Foam Gaskets

미국, 캐나다

Nordia Springs

www.nordia.co.il

Compression Springs

이스라엘

자료원: Israel Export Institute, DB Israel

 

  ㅇ 수입관세구조

    - 자동차 부품의 관세는 0~6%(품목에 따라 다름), 일부 품목 대상으로는 구매세 12% 적용됨.

    -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부품(정품수입 제외)ISO, ST 표준 필요

 

시사점

 

  ㅇ 자동차 부품은 한-이스라엘 교역의 상위 품목 중 하나로 주요수출 품목으로 분류됨.

  

3. 타이어(HS code 4011)

 

수출입 현황

 

  ㅇ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입 규모는 연 2억 1,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20168월말 기준 중국이 점유율 48.6%1, 독일 9.5% 2, 이탈리아 6.2% 3, 일본 6.0% 4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점유율)

2015(점유율)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1

중국

100(46.4)

99(45.6)

72(48.6)

2

독일

21(9.8)

25(11.8)

14(9.5)

3

이탈리아

12(5.5)

14(6.5)

9(6.2)

4

일본

17(8.0)

14(6.5)

9(6.0)

5

카자흐스탄

3(1.6)

1(0.4)

6(4.3)

6

터키

3(1.8)

5(2.3)

5(3.4)

7

미국

6(2.7)

5(2.6)

5(3.4)

8

스페인

1(0.8)

4(1.8)

4(2.9)

9

태국

9(4.3)

10(4.7)

3(2.6)

10

인도

6(3.1)

6(3.0)

3(2.1)

13

한국

6(2.7)

5(2.6)

2(1.4)

기타

33(15.2)

30(13.7)

17(11.4)

합계

217

218

149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입 현황

    - 20168월 말 기준 218만 달러, 점유율 1.4%로 수입대상국 13

 

  ㅇ 세계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출규모는 1억 2,000만~1억 6,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출대상국은 20168월 말 기준 미국이 점유율 25%1, 독일 16.6% 2, 프랑스 13.3% 3, 네덜란드 7.5% 4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점유율)

2015(점유율)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1

미국

27(16.2)

30(23.4)

21(25.0)

2

독일

32(19.7)

25(19.7)

14(16.6)

3

프랑스

26(15.6)

16(12.9)

11(13.3)

4

네덜란드

10(9.3)

10(7.2)

6(7.5)

5

벨기에

14(8.5)

10(8.0)

5(6.8)

6

덴마크

4(2.4)

3(2.6)

2(3.4)

7

스페인

4(2.5)

4(3.6)

2(3.1)

8

캐나다

4(2.6)

2(2.2)

2(3.0)

9

이탈리아

3(2.0)

2(1.3)

1(2.3)

10

스웨덴

2(1.5)

1(1.3)

1(1.9)

55

한국

0.001(0.00)

0.02(0.01)

0.005(0.01)

기타

42(24.8)

25(19.3)

18(21.4)

합계

169

129

84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출 현황

    - 20168월 말 기준 5,000달러, 점유율 0.01%로 수출대상국 55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에서 생산되는 타이어는 해외 수출용으로 연평균 해외 수출 규모가 1억 4,000만 달러 수준

    - 현지 생산 타이어는 농업용 트랙터 타이어로, 현지기업 Alliance가 주요 생산업체임.

    - 일반 차량 및 버스 타이어는 현지 생산이 없으며 해외 수입(특히 중국)에 의존

 

  ㅇ 기업 현황

    - 이스라엘에는 약 600개 타이어 판매처가 있으며, 62개의 타이어 수입업체가 존재함(80개의 타이어 브랜드를 대표하는 에이전트).

    

이스라엘의 주요 타이어 수입업체

                                                                                                                                                (단위: 백만 달러)

업체명

홈페이지

매출액

대표 브랜드

Alliance

www.alliance.co.il

407

Barum, Jinyu and Mickey Thompson

Weiss Group

www.raly.co.il

N/A

Dunlop, Nexen, Fulda , Yokohama,

Autoluxe

www.autoluxe.com

33

Goodyear, Debica, Sava.

BMB

www.bmbltd.co.il

17

Goodyear, Debica, Sava.

M.I.H Import

www.mih.co.il

6

Dunlop, Pirelli, Continental,

Sassel

www.sassel.co.il

5

Nokian, Michelin, Bridgestone

Shlomi Tyres

www.shlomitires.co.il

1

Kumho, Dunlop, Bridgestone

주: 매출액순

자료원: Israel Export Institute, DB Israel

 

  ㅇ 관세구조

    - 타이어의 수입관세는 0%, 일부 타이어의 경우 12% 적용

    -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타이어는 ECE 또는 FMVSS 표준 필요

 

시사점


  ㅇ 자동차 타이어는 100% 수입 의존 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4. 통신기기(HS code 8517)

 

수출입 현황

 

  ㅇ 세계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입 규모는 연 16억 달러 수준

    - 주요 수입대상국은 20168월 말 기준 일본이 점유율 31%1, 베트남 19.7% 2, 미국 12.6% 3, 홍콩 7.6% 4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점유율)

2015년(점유율)

2016년 8월 말 기준

1

중국

599 (36.5)

610(36.8)

321(31.0)

2

베트남

247(15.0)

255(15.3)

204(19.7)

3

미국

187(11.3)

153(9.2)

131(12.6)

4

홍콩

106(6.4)

104(6.2)

79(7.6)

5

한국

95(5.8)

126(7.6)

59(5.7)

6

말레이시아

39(2.3)

45(2.7)

34(3.2)

7

대만

50(3.0)

42(2.5)

26(2.5)

8

네덜란드

45(2.7)

58(3.5)

22(2.1)

9

태국

27(1.6)

17(1.0)

13(1.3)

10

아일랜드

12(0.7)

16(0.9)

13(1.3)

기타

235(14.3)

230(13.8)

136(13.1)

합계

1,642

1,656

1,038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입 현황

    - 20168월 말 기준 약 6,000달러, 수입점유율 5.7%로 수입대상국 5

 

  ㅇ 세계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출규모는 15억~17억 달러 수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20161~8월 기준 미국이 점유율 24.4%1, 인도 12.5% 2, 중국 4.9% 3, 네덜란드 4.2% 4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점유율)

2015(점유율)

20168월 말 기준(점유율)

1

미국

385(21.5)

378(23.8)

231(24.4)

2

인도

159(8.8)

181(11.4)

118(12.5)

3

중국

79(4.4)

67(4.2)

46(4.9)

4

네덜란드

77(4.3)

70(4.4)

39(4.2)

5

영국

58(3.2)

57(3.6)

36(3.8)

6

홍콩

35(2.0)

35(2.2)

34(3.6)

7

프랑스

58(3.2)

40(2.5)

29(3.0)

8

독일

67(3.7)

50(3.1)

27(2.8)

9

필리핀

35(1.9)

40(2.5)

26(2.8)

10

멕시코

40(2.2)

37(2.3)

24(2.5)

20

한국

24(1.3)

21(1.3)

11(1.1)

기타

773(43.1)

614(38.6)

327(34.4)

합계

1,790

1,590

948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출 현황

    - 20168월 말 기준 1,100만 달러, 점유율 1.1%로 수출대상국 20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에서 생산되는 통신기기로는 무전기, 경찰 및 군용 무선 데이터 단말기 등으로 수출 규모는 15억~17억 달러 수준

    - 휴대폰(HS code: 85171290)은 현지 생산 없이 수입에 의존, 이스라엘의 휴대폰 수입 규모는 7억~8억 달러 수준이며, 삼성전자 점유율 30% LG 23%로 현지 시장에서 판매율 상위권을 차지


휴대폰 브랜드별 판매 현황

                                                                                                                                                          (단위: , %)

주요 브랜드

판매규모

점유율

Apple

244,610

30.5

Samsung

240,600

30

LG

184,460

23

Huawei

32,080

4

Meizu

23,258

2.9

기타(Sony, HTC, Mio )

76,992

9.6

주: 판매규모순

자료원: Gadgety


  기업 현황

    - 현지 통신기기 생산 업체 Motorola Israel사는 워키토키, 무선 단말기, 전기, 관개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인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uisition Systems) 시스템 등을 생산했으나 지난 2011Flextronics사에 인수

    - 이스라엘의 군수 업체인 Elbit Arad(Elbit사가 Arad를 인수해 Elbit Arad라는 명칭으로 활동)는 군수용 통신장비 및 시스템 등 생산

    - 현지진출 해외 기업으로는 삼성, LG, 애플사가 이스라엘에 R&D 센터 설립해 진출

 

이스라엘의 주요 휴대폰 수입업체

기업명

홈페이지

수입 브랜드

iDigital

www.idigital.co.il

Apple

Sunny Cellular Communication

www.samsungmobile.co.il

Samsung

Ronlight

www.ronlight.co.il

LG, Mio

Electra Consumer

www.electra-consumer.co.il

Sony

Touch Group

www.touchgroup.co.il

HTC

Bug

www.bug.co.il

Meizu

Rampal

www.rcs.com

All brands

CCom(HYE)

www.wye.co.il

All brands

Orpark

www.orpark.co.il

l All brands

자료원: DB Israel


  ㅇ 관세구조

    - 무선통신기기 수입관세는 0%, 구매세 15% 적용

    -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무선통신기기는 이스라엘 표준원(SII)의 인(#6095, #60065) 필요

 

시사점

 

  ㅇ 무선통신기기 중 휴대폰의 경우, 100% 수입 의존 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5. 냉장·냉동기기(HS code 8418)

 

수출입 현황

 

  ㅇ 세계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입 규모는 연 2억 6,000만~2억 9,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20168월말 기준 터키가 점유율 19.6%1, 중국 15.7% 2, 이탈리아 15.1% 3, 태국 10.0% 4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점유율)

2015년(점유율)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1

터키

55(18.6)

51(19.4)

41(19.6)

2

중국

37(1.7)

40(15.2)

31(15.7)

3

이탈리아

54(18.1)

41(15.6)

31(15.1)

4

태국

27(9.2)

24(9.2)

21(10.0)

5

프랑스

19(6.5)

17(6.6)

15(7.4)

6

미국

12(4.1)

11(4.3)

10(4.8)

7

한국

17(5.9)

16(6.3)

10(4.8)

8

멕시코

13(4.6)

13(4.9)

8(4.0)

9

독일

8(2.9)

8(3.0)

8(3.9)

10

싱가포르

2(0.8)

3(1.4)

3(1.4)

기타

54(18.)

42(15.7)

31(14.8)

합계

298

266

209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입 현황

    - 20168월 말 기준 1,000만 달러, 수입점유율 4.8%로 수입대상국 7

 

  ㅇ 세계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출규모는 900만~1,5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20161~8월 기준 프랑스가 점유율 46%1, 독일 12.9% 2, 우크라이나 7.4% 3, 한국 4.9% 4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점유율)

2015(점유율)

20168월 말 기준(점유율)

1

프랑스

3(19.6)

4(45.3)

3(46.0)

2

독일

3(21.7)

2(23.2)

1(12.9)

3

우크라이나

0(0)

0(0)

0.6(7.4)

4

한국

0.6(3.8)

0.05(0.5)

0.4(4.9)

5

영국

0.3(2.0)

0.5(6.3)

0.3(4.5)

6

미국

4(25.7)

0.6(7.3)

0.3(4.3)

7

중국

0.5(3.6)

0.1(1.5)

0.3(4.2)

8

사이프러스

0.2(1.6)

0.2(2.5)

0.2(3.1)

9

인도

0.4(3.1)

0.09(1.0)

0.1(1.4)

10

루마니아

0.01(0.08)

0.1(1.1)

0.1(1.2)

기타

2.9(19.3)

1.3(14.4)

1.7(21.2)

합계

15

9

8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한국 수출 현황

    - 20168월 말 기준 40만 달러, 점유율 4.9%로 수출대상국 4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은 상업용 냉장·냉동기기를 생산하며 연 수출 규모가 900만~1,500만 달러 수준

    - 가정용 냉장고(HS code: 841821)는 현지 생산이 없어 수입에 의존, 연 수입 규모는 4,000만~5,000만 달러 수준

    - 한국의 LG, Samsung 가정용 냉장고가 판매율 1,2위를 차지하며 이스라엘에 진출해 있음.

 

가정용 냉장고 브랜드별 판매 현황

                                                                                                                                                        (단위: , %)

순위

브랜드명

판매규모

점유율

1

LG

61,283

35

2

Samsung

52,528

30

3

Sharp

22,765

13

4

Hair

14,007

8

5

Beko

7,003

4

기타

17,509

10

합계

175,095

100

주: 점유율 순

자료원: 이스라엘 경제지 Calcalist

 

  ㅇ 기업 현황

    - 이스라엘에는 7개의 냉장·냉동기기 생산 업체가 존재하며 특히 상업용 냉각 장비(Freezing Equipment, Hs code 841869) 생산에 집중돼 있음.

    - 20168월 말 기준 이스라엘의 냉각장비 수출규모는 199만 달러 수준


 이스라엘의 냉장 및 냉동기기 생산 업체

기업명

홈페이지

생산품목

Kirur-Benny Ltd

www.kirur-benny.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Kirur Feldman Ltd

www.kirurfeldman.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Iceman Ltd

www.refrigeration.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Afkor Ltd

www.afkor.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Damians Ltd

www.damians.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Agrikor Ltd

www.agrikor.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New center Ltd

www.new-enter.co.il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자료원: DB Israel

 

  ㅇ 관세구조

    - 품목에 따라 수입관세는 9.5~12% 수준

    - 이스라엘로 수입 냉장 및 냉동기기는 이스라엘 표준원(SII)T.Y.900-2.24, T.Y.62552 표준 필요

 

□ 시사점


  ㅇ 냉장 및 냉동기기 중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100% 수입 의존 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 한국기업인 Samsung, LG가 시장에서 판매율 1, 2위를 차지하는 품목으로 한-이 교역에 민감한 품목으로 간주됨 .

 

 


자료원: GTA, DBIsrael, 이스라엘 경제지 The Marker, Calcalist,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이스라엘 FTA 관련 유망품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