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의 대EAEU 교역구조 변화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4-06-28
- 출처 : KOTRA
-
EAEU는 러시아·카자흐스탄·아르메니아·키르기스스탄·벨라루스 5개국으로 구성된 단일 관세·인증 연합
러시아의 우회수입 노력에 의해 EAEU국으로부터 수입은 증가세
석유·가스·금 등 주요국의 대러시아 수입금지 품목은 EAEU를 통해 우회수출되는 것으로 추정
EAEU(유라시아경제연합)이란, 러시아·카자흐스탄·아르메니아·키르기스스탄·벨라루스 5개국으로 이루어진 단일 관세·인증 연합체로 총 인구 1.9억명에 달하는 CIS 최대 시장이다. EAEU 역내에서는 물품의 이동이 거의 자유롭기 때문에 러시아는 러-우 사태 이후 제재에 대한 대응으로 EAEU를 활용한 공급망 재편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수출 및 수입 제재가 날이갈수록 강화되는 한편, 러시아의 대EAEU국 교역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1. 대(對)카자흐스탄 교역구조 변화
ㅇ 교역액
2023년 양 국의 교역액은 260억 달러로, 사태 이후 소폭 상승세에 있다. 러시아의 대카자흐스탄 수출은 감소한데 반해 수입은 비교적 크게 증가하여 2023년 러시아의 무역흑자는 2021년 대비 44% 감소한 6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로 인해 CIS의 새로운 생산기지로 떠오른 카자흐스탄으로의 수출이 감소하고 거꾸로 카자흐스탄을 통해 완성품들이 수입되며, 러시아 – 카자흐스탄 교역구조에는 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 2021∼2024.3 러시아-카자흐스탄 교역 >
(단위: 억 달러, %)
구분
2021
2022
2023
2024.1-3
수출
185
173
162
38
(증감율)
(31.6%)
(-6.5)
(-6.4)
(-2.6)
수입
71
88
98
18
(증감율)
(41,1%)
(23.9)
(11.4)
(-28.0)
교역액
256
261
260
56
무역수지
(러 기준)
114
85
64
20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 수입·수출은 러시아 기준]
ㅇ 대카자흐스탄 수출
사태 이전 러시아의 대카자흐스탄 주요 수출품이었던 자동차(HS 8703) 및 자동차 부품(HS 8708)은 러시아 내 자동차 벨류체인의 붕괴(생산공장 중단과 글로벌 제조사의 철수 등)로 인해 급감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태 이전에 CIS 내 최대 자동차 생산기지 역할을 담당했던 러시아는 이제는 러시아 자국 내 수요를 감당하기에도 빠듯한 실정에 이르렀으며, 2023년말 기준 중국 브랜드 자동차가 러시아 시장에서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국산 자동차 수입을 대폭 늘렸다.
한편, 경제발전 · 인구증가 · 역(逆)허브화 현상에 따라 카자흐스탄의 에너지류 수입 수요는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사태 이전 대비 석유·석유제품(HS 2710), 전기에너지(HS 2716) 등의 러→카 수출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4.1분기 카자흐스탄의 대러시아 전력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9.7억kWh으로, 동 기간 러시아의 전체 전력 수출량 중 절반을 카자흐탄에서 수입하기도 하였다. 카자흐스탄으로의 생산기지 이전 등 역(逆)허브화가 지속되며 카자흐스탄의 에너지류 수입 수요는 지속될 전망이다.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카자흐스탄 수출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3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8703
자동차
566
2710
석유·석유제품
597
2
2710
석유·석유제품
460
7305
철강제 관
458
3
2704
코크스
448
7207
철ㆍ비합금강 반제품
400
4
7108
금
366
1001
밀ㆍ메슬린
355
5
7207
철ㆍ비합금강 반제품
349
7214
철ㆍ비합금강 봉
268
6
7214
철ㆍ비합금강 봉
325
2716
전기에너지
235
7
8708
자동차부품
272
2844
우라늄
228
8
2616
귀금속광
272
2845
동위원소
216
9
4011
타이어
231
2846
희토류금속
215
10
7216
철ㆍ비합금강 형강
226
2847
과산화수소
210
총계
18,494
총계
16,192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 HS 4단위 기준]
ㅇ 대카자흐스탄 수입
사태 이전에는 미미했던 우라늄(HS 2844) 및 자동차(HS 8703)의 수입이 증가하며, 2023년 러시아의 대카자흐스탄 수입액은 사태 이전(2021년) 대비 38% 증가한 98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CIS 내 자동차 벨류체인의 변화로 인해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에 자동차를 수입하는 것이 아닌 수출하는 국가로 변화하였다. 다만, 모든 물량이 카자흐스탄 내에서 생산된 것은 아니며, 상당수 물량은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수출제제애 의해 러시아로 우회수입 되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의 대카자흐스탄 수입 품목 중에는 우라늄(HS 2844)의 증가도 눈에 띄는데, 이는 러시아 원자력 공사 Rosatom이 카자흐스탄 내 부데노프스코 우라늄 광산을 인수한 데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23.8)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카자흐스탄 수입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3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2601
철광
1,213
2844
우라늄
1,587
2
7208
철ㆍ비합금강
(열강압연)
626
7208
철ㆍ비합금강
(열강압연)
442
3
7210
철ㆍ비합금강
(클래드·도금)
452
2601
철광
375
4
2616
귀금속광
348
7210
철ㆍ비합금강
(클래드·도금)
320
5
7209
철ㆍ비합금강
(냉간압연)
303
2818
산화알루미늄
311
6
2701
석탄
302
7209
철ㆍ비합금강
(냉간압연)
228
7
7204
철 웨이스트ㆍ스크랩 등
283
8703
자동차
193
8
2818
산화알루미늄
194
2616
귀금속광
189
9
7202
합금철
153
2603
구리광
182
10
7901
아연 괴
146
7108
금
171
총계
7,132
총계
9,788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 HS 4단위 기준]
2. 대(對)아르메니아 교역구조 변화
ㅇ 교역액
2023년 양 국의 교역액은 사태이전(2021년) 대비 180% 증가한 73억 달러로(‘22년대비 +46%), 아르메니아는 유럽국의 대러시아 교역 교두보 역할을 하며 사태 이전(2021년) 대비 러시아의 대아르메니아 수출(+117%)과 수입(+325%)은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 2021∼2024.3 러시아-아르메니아 교역 >
(단위: 억 달러, %)
구분
2021
2022
2023
2024.1-3
수출
18
26
39
N/A
(증감율)
(20.8)
(46.9)
(48)
수입
8
24
34
(증감율)
(20.4)
(197.9)
(43.1)
교역액
26
50
73
무역수지
(러 기준)
10
2
5
[자료: ITC Trade Map, 주: 수입·수출은 러시아 기준]
ㅇ 대아르메니아 수출
2023년 러시아의 대아르메니아 수출은 금(HS 7108), 석유가스(HS 2711), 석유·석유제품(HS 2710), 다이아몬드(HS 7102)의 수출 증가로 사태 이전 대비 117% 증가한 39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카자흐스탄과 마찬가지로 EAEU 역내 교역을 활용한 러시아의 우회 수출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서방의 주요 대러시아 수입 제재 품목인 △금, △원유·석유, △다이아몬드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EU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의 단계적 중단 선언(’22.5) 이후 점진적으로 수입을 줄이고 있고, 한편으로는 유가상한제 위반 선박의 EU 항구 접안 금지 조치(’23.6) 등을 시행하며, 러시아산 유가상한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2024년 6월 25일에 발표한 EU의 14차 대러시아 제재 패키지에는 △EU 내 항구에서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환적 금지조치(수입 금지는 아님), △헬륨가스의 수입 금지, △러시아 원유를 비밀리에 운송하는 이른바 ‘그림자 선박’ 제재, △유럽 내 SPFS(SWIFT와 같은 러시아의 금융 메시지 전송 시스템) 연결 금지가 포함되며 EU - 러시아 교역은 앞으로 더 감소할 전망이다.
EU는 또한 2023년 12월 러시아산 다이아몬드 수입을 금지 조치하였으며, 2024년 3월부터는 제 3국에서 가공된 1캐럿 이상의 러시아산 다이아몬드 수입도 금지하였다.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아르메니아 수출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3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2711
석유가스
414
7108
금
1,338
2
2710
석유·석유제품
269
2711
석유가스
450
3
7601
알루미늄 괴
73
2710
석유·석유제품
317
4
7108
금
71
7102
다이아몬드
269
5
1001
밀ㆍ메슬린
62
7110
백금
183
6
1512
해바라기씨유 등
36
7601
알루미늄 괴
64
7
1806
초콜릿 조제품
27
1001
밀ㆍ메슬린
62
8
1517
마가린
23
7106
은
37
9
8703
자동차
20
1806
초콜릿 조제품
32
10
7102
다이아몬드
19
1512
해바라기씨유 등
29
총계
1,785
총계
3,881
[자료: ITC Trade Map, 주: HS 4단위 기준]
ㅇ 대아르메니아 수입
2023년 러시아의 대아르메니아 수입은 스마트폰·전화기(HS 8517), 자동차(HS 8703), 모니터(HS 8528), 컴퓨터(HS 8471) 등 이전에는 수입이 미미했던 품목들이 증가하 사태이전 대비 325% 급증한 2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 역시 EAEU 역내 교역을 활용한 러시아의 우회수입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며, 주요국의 대러시아 수출 제재 강화 추세에 따라 동 현상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아르메니아 수입이 증가한 스마트폰·전화기(HS 8517), 자동차(HS 8703), 모니터(HS 8528), 컴퓨터(HS 8471)에 포함되는 상당 품목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일본, EU 등에서 대러시아 수출제한 품목으로 설정하고 있는 품목들로, 아르메니아의 제조 산업이 단기간 발전했다기 보다는 러시아가 자국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우회 및 병행 수입을 지속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일반적인 상황이다.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아르메니아 수입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3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2208
증류주
181
8517
스마트폰·전화기
500
2
7102
다이아몬드
68
8703
자동차
379
3
0302
어류
56
2208
증류주
253
4
0702
토마토
44
8528
모니터
250
5
0809
살구·체리 등
18
7102
다이아몬드
234
6
0810
딸기·오디 등
17
8471
컴퓨터
86
7
2402
제조담배
14
7202
합금철
73
8
0406
치즈
14
2613
몰리브덴광
58
9
0802
아몬드
13
7113
신변장식용품
49
10
6116
장갑
12
8508
진공청소기
32
총계
794
총계
3,384
[자료: ITC Trade Map, 주: HS 4단위 기준]
3. 대(對)키르기스스탄 교역구조 변화
러시아는 키르기스스탄에 에너지·곡물을 수출하고 구리제품·의류·의류원자재를 수입하는 구조로, 2023년 공식 통계는 없지만 카자흐스탄·아르메니아과 비슷한 이유로 자동차 등의 러시아의 우회수입 통로로 활용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러시아의 대키르기스스탄 수출과 수입은 2021년 대비 각각 28%, 159% 증가한 24억 달러, 11억달러를 기록하였다.
특히, 자동차를 키르기스스탄(EAEU 회원국)으로 통관시켜 러시아로 반입할 시 부가세 등 통관조건이 유리하여 상당량의 자동차가 키르기스스탄을 통해 통관된 것으로 보이고(‘23년), 러시아는 추가과세를 통해 이를 차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24.4)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키르기스스탄 수출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2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2710
석유·석유제품
666
2710
석유·석유제품
811
2
7214
철ㆍ비합금강 봉
77
7214
철ㆍ비합금강 봉
114
3
2711
석유가스
68
8703
자동차
96
4
8703
자동차
64
1001
밀ㆍ메슬린
75
5
1512
해바라기씨유 등
34
2005
감자·녹두 등
68
6
1806
초콜릿 조제품
31
2711
석유가스
66
7
0713
건조 채두류
31
1512
해바라기씨유 등
52
8
1001
밀ㆍ메슬린
30
1905
빵·베이커리 제품
38
9
1905
빵·베이커리 제품
30
3004
의약품
37
10
4410
파티클보드 등
28
4410
파티클보드 등
36
총계
1,872
총계
2,405
[자료: ITC Trade Map, 주: HS 4단위 기준]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키르기스스탄 수입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2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7404
구리 웨이스트·스크랩
71
7404
구리 웨이스트·스크랩
86
2
0813
건조 과실
46
5205
면사
85
3
7005
플로트 유리
25
6004
뜨개질 편물
50
4
7204
철 웨이스트ㆍ스크랩 등
24
5209
면직물
50
5
8708
자동차부품
23
8302
장착구
46
6
6110
스웨터 등
21
5508
재봉사
33
7
0405
버터
13
0813
건조 과실
29
8
0303
냉동어류
13
8422
집시세척기
28
9
6108
슬립(편물제 등)
10
5407
나일론직물
27
10
6204
여성ㆍ소녀용 의류
10
8708
자동차부품
26
총계
413
총계
1,069
[자료: ITC Trade Map, 주: HS 4단위 기준]
4. 대(對)벨라루스 교역구조 변화
러시아-벨라루스 교역에 관한 공식 통계는 존재하지 않지만, △비교적 느슨한 수출통제, △지리적 인접성, △상당히 유사한 상거래 관행·인증제도 등의 이유로 러시아의 자동차·전자제품 우회수입 통로 및 에너지류의 우회수출 통로로 활용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벨라루스 수출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3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8703
자동차
450
N/A
2
7204
철 웨이스트ㆍ스크랩 등
440
3
7208
철ㆍ비합금강 평판압연제품
269
4
7210
철ㆍ비합금강(클래드·도금)
232
5
3902
프로필렌 중합체
177
6
7209
철ㆍ비합금강(냉간압연)
155
7
7306
철강제 관
151
8
8708
자동차 부품
149
9
7601
알루미늄 괴
140
10
8517
8517
138
총계
11,783
총계
N/A
[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 HS 4단위 기준 ]
[ 러우 사태 전후 러시아의 대(對)벨라루스 수입 ]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년
2023년
HS Code
품목명
금액
HS Code
품목명
금액
1
0406
치즈
1,114
N/A
2
0405
버터
406
3
8703
자동차
399
4
0402
분유
314
5
9403
가구
291
6
8708
자동차부품
268
7
3923
플라스틱제품
266
8
8528
모니터
259
9
3004
의약품
220
10
1604
어류 통조림
214
총계
13,591
총계
N/A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 HS 4단위 기준]
5. 시사점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는 수위를 더 해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러-북 군사협력 확대와 서방국 내 동결자산을 활용한 대우크라이나 재정지원 등과 관련하여 지정학적 리스크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러시아는 BRICS 중심의 경제블록화를 구축하는 한편 역내 교역이 자유로운 EAEU를 통해 공급망 고립에 대응하고 있다. EAEU는 국제사회의 주요 대러시아 수출제재 품목인 자동차·컴퓨터·스마트폰 등의 대러시아 우회수입 통로로 추정되며, 거꾸로 대러시아 수입제재 품목에 대한 우회수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종 목적지나 원산지가 러시아임을 앎에도 불구하고 수출·수입 제재 품목을 거래하는 것은 명백한 제재 위반사항으로, 국제사회의 2차 제재 강화 정도 및 금융제재 등의 향방에 따라 EAEU 내 교역 강화추세가 지속될지 그 방향이 주목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ITC Trade Map, 러 현지언론,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의 대EAEU 교역구조 변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최근 대러시아 에너지·금융 제재 현황과 한국 수출기업의 대금수취 애로
러시아연방 2024-06-26
-
2
최근 자주 발생하는 대러시아 비즈니스 이슈
러시아연방 2024-07-08
-
3
SWIFT 퇴출 이후 러시아의 국제 결제 현황
러시아연방 2024-01-16
-
4
중국 철강 업계 탄소중립 전환 동향
중국 2024-06-28
-
5
EU가입 20년, 폴란드 어떻게 변했나
폴란드 2024-06-28
-
6
글로벌 브랜드 철수 이후 러시아 소비재 유통망 무엇이 변했나
러시아연방 2024-05-27
-
1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2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
-
3
2021 러시아 광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2-01-11
-
4
러시아 화학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05
-
5
2021 러시아 의료기기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1-12-29
-
6
2021 러시아 의약품 산업
러시아연방 20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