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상반기 베트남 수출입 동향 및 한베 교역 동향
  • 경제·무역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정호
  • 2024-05-20
  • 출처 : KOTRA

무역의존도 높은 베트남, 교역 회복이 경기 회복 이끌 것

수출 품목 다변화 통해 베트남 시장 점유율 감소 막아야

베트남의 무역 의존도 분석

 

우리나라와 베트남 모두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이기 때문에 교역 실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베트남의 교역 동향을 살펴보기에 앞서, 베트남 경제에 있어 교역이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무역의존도(trade dependency ratio)란 일국의 수출입 규모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즉 한 나라의 경제가 수출입에 얼마나 기대고 있는지(depndent on) 보여준다. 그러나 분자에 해당하는 수출입 규모 산정 방식과 분모로 어떤 경제지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기관별 결과값이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유의가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여 베트남의 무역 의존도를 우리나라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세계은행 통계 기준 한국과 베트남의 무역의존도 비교>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7pixel, 세로 347pixel

[자료: 세계은행(World Bank)]

 

<최근 5개년(2018~2022) 한국과 베트남의 무역의존도 상세 비교>

(단위: %)

 

출처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통계청

66.1

63.3

59.6

69.3

84.6

한국은행

82.5

79.4

72.3

84.3

100.6

세계은행

79.0

75.8

69.0

80.2

96.5

베트남

베트남 통계총국

155.1

154.9

157.3

182.7

178.7

수출의존도

78.6

79

81.5

91.8

90.9

수입의존도

76.5

75.9

75.8

90.9

87.8

세계은행

164.7

164.7

163.3

186.4

185.7

: 베트남 통계총국은 무역의존도를 공표하지 않아, 통계총국에서 발간한 ‘2022년 통계연감의 수출의존도 및 수입의존도를 합산하여 직접 계산함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세계은행, 베트남 통계총국,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세계은행 통계를 기준으로 분석한 상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10년간 한국과 베트남의 무역의존도는 OECD 평균을 상회한다. 특히 2016년 이후부터는 베트남의 무역의존도가 매년 한국보다 약 두 배에 달하고 있다. 두 번째 표를 통해 양국 통계 기관이 직접 집계한 결과를 비교하더라도 베트남은 한국보다도 경제가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올들어 베트남의 교역 실적은 부진했던 전년에 비해 양호한 실적을 매월 보여주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 거시 경제 지표도 전년 대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참고: 20241분기 베트남 경제동향(호치민무역관) [바로가기]

 

<20241~4월 베트남의 주요 경제 지표 월별 추이>

(단위, US$ , %)

 

경제 지표

1

2

3

4

생산

산업생산(IIP)

증가율

19.5

-5.9

4.8

6.3

구매관리자지수(PMI)

50.3

50.4

49.9

50.3

소비

소매판매

증가율

8.1

8.5

9.2

9.0

소비자물가

3.37

3.98

3.97

4.42

투자

투자유치(FDI)

(단위: US$ )

23.6

19.3

18.8

31.0

무역

수출액

(단위: US$ )

345.3

246.8

336.6

310.5

수입액

(단위: US$ )

309.0

233.1

308.8

299.9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구매관리자지수(PMI)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가 아닌 전월대비 지수로 50p보다 클 경우 전월 대비 개선을 의미함

[자료: 베트남 통계총국, S&P Global, 베트남 기획투자부, 베트남 관세총국,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베트남의 2024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연도별 베트남 수출입 동향>

(단위: US$ 백만,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1~4

수출

214,019

(21.8)

243,483

(13.3)

264,267

(8.4)

282,629

(6.9)

336,311

(19.0)

371,304

(10.5)

354,671

(4.5)

123,985

(15.1)

수입

211,104

(21.9)

236,688

(11.3)

253,393

(7.0)

262,691

(3.7)

332,235

(26.5)

358,902

(7.8)

326,374

(9.1)

114,964

(15.1)

교역규모

425,123

480,171

517,660

545,319

668,546

730,206

794,213

238,949

무역수지

2,915

6,795

11,118

19,938

4,076

12,403

28,297

9,021

: 괄호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2023~2024년 베트남의 월별 수출입 추이(1)>

(단위: US$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8404a6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1pixel, 세로 288pixel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2023~2024년 베트남의 월별 수출·입 추이(2)>

(단위: US$ )

연도

2023

202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수출

236.11

260.24

296.67

278.56

280.62

294.61

307.40

327.45

308.04

324.89

311.49

320.63

345.31

246.84

336.59

310.53

수입

229.55

232.43

282.92

251.13

259.66

262.69

270.99

293.34

290.56

295.42

298.81

296.24

308.98

233.14

308.81

299.87

교역규모

465.66

492.68

579.59

529.68

540.28

557.30

578.40

620.79

598.60

620.31

610.30

616.86

654.29

479.98

645.40

610.39

무역수지

6.56

27.81

13.75

27.43

20.96

31.91

36.41

34.10

17.48

29.47

12.68

24.39

36.32

13.70

27.78

10.66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구체적으로 월별로 살펴보더라도 20231월부터 20244월까지 대체적으로 수출과 수입이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2월의 경우 베트남의 최대 명절인 뗏(Tet, 음력 설) 연휴 기간과 홍해 물류난 사태가 겹치면서 교역 실적이 부진했으나, 이를 제외하고는 20238월 이후 베트남의 교역 규모는 대체적으로 매월 600억 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국가별 수출입 동향

 

<2019~2024년 베트남의 5대 교역국 순위 및 국가별 교역규모>

(단위: US$ ,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1~4

1

중국

1,169

(22.6)

1,331

(24.4)

1,658

(24.8)

1,756

(24.0)

1,719

(25.2)

597

(24.9)

2

미국

758

(14.6)

908

(16.6)

805

(16.6)

1,239

(17.0)

1,108

(16.3)

392

(16.4)

3

한국

668

(12.9)

660

(12.1)

564

(11.7)

864

(11.8)

760

(11.2)

251

(10.5)

4

일본

399

(7.7)

396

(7.3)

309

(6.4)

476

(6.5)

450

(6.6)

148

(6.2)

5

대만

195

(3.8)

210

(3.9)

186

(3.9)

277

(3.8)

232

(3.4)

83

(3.5)

: 괄호 안은 해당 국가와 베트남 간 교역액이 베트남의 전체 교역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며, 2019~2024년 국가별 교역규모 순위는 매년 동일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20244월 기준 베트남의 5대 교역국 순위는 예년과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각국이 베트남의 전체 교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비슷한 양상이다. 2024년 수치는 4개월만 반영되기는 했으나, 중국과 미국의 비중은 추세적으로 조금씩 커지고 있는 반면, 한국을 비롯해 일본, 대만 등 다른 주요국들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베트남의 주요 수출국 및 수입국 현황>

(단위: US$ , %)

 

수출

수입

순위

국가

2023

20241~4

국가

2023

20241~4

1

미국

969.9

(27.3)

347.3

(28.0)

중국

1,106.3

(33.9)

420.0

(36.5)

2

중국

607.1

(17.1)

177.1

(14.3)

한국

524.7

(16.1)

168.7

(14.7)

3

한국

234.5

(6.6)

82.4

(6.7)

일본

216.3

(6.6)

72.4

(6.2)

4

일본

232.9

(6.6)

75.7

(6.1)

대만

184.2

(5.6)

65.9

(5.7)

5

네덜란드

102.3

(2.9)

39.7

(3.2)

미국

138.2

(4.2)

45.0

(3.9)

: 괄호 안은 수출()액이 베트남 전체 수출()액서 차지하는 비중이며, 수출과 수입 모두 2023년 및 2024년 국가별 순위 동일

 

수출과 수입을 구분해 살펴보더라도 주요국별 수출입 동향은 전년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베트남은 올해 전년과 동일하게 미국, 중국, 한국, 일본순으로 수출을 많이 하고 있으며, 베트남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한국, 일본, 대만순이다. 일본의 경우 대()베트남 수출액과 수입액 모두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 대비 감소해 올 4월 누계 기준으로는 베트남의 일본에 대한 교역 의존도가 다소 줄어들고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품목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의 주요 수출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목

2022

2023

20241~4

수출액

비중

수출액

증감률

비중

수출액

증감률

비중

1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분품

55,536

15.6

57,336

3.2

16.2

21,479

33.9

17.3

2

전화기, 무선통신기기 및 부분품

57,994

15.0

52,379

-9.7

14.8

18,139

5.0

14.6

3

기계, 장비, 도구 및 기타 부속품

45,751

12.3

43,128

-5.7

12.2

14,641

10.8

11.8

4

섬유·의류제품

37,567

10.1

33,329

-11.4

9.4

10,416

6.7

8.4

5

신발류

23,896

6.4

20,238

-15.3

5.7

6,639

7.2

5.4

6

목재 및 목제품

16,011

3.2

13,468

-15.9

3.8

4,894

25.0

3.9

7

수송수단 및 부속품

11,988

4.3

14,157

18.1

4.0

4,778

5.7

3.9

8

철강

7,993

2.2

8,350

4.5

2.4

3,221

28.1

2.6

9

카메라 및 부분품

6,374

1.7

7,619

19.5

2.1

2,928

63.9

2.4

10

수산물

10,923

2.9

8,971

-17.8

2.5

2,719

5.8

2.2

총 수출액

371,304

100

354,671

-4.5

100

123,985

15.1

100

: 20241~4월 누계 수출액 기준 상위 10개 품목,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베트남은 HS 코드를 기준으로 한 품목별 교역 통계는 발표하지 않고 있으며, 주요 품목의 경우 자체적으로 관련성 있는 품목끼리 그룹화하여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이를 정리한 상기 도표에 따르면, ‘컴퓨터·전자제품 및 부분품’, ‘전화기·무선통신기기 및 부분품’, ‘카메라 및 부분품등 전기·전자산업 관련 품목은 2022년 이후 매년 베트남의 전체 수출 비중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44월 누계 기준 10대 수출 품목 중에서는 카메라 및 부분품의 수출이 급증(63.9%)했으며 그 뒤를 이어 컴퓨터·전자제품 및 부분품(33.9%)’, ‘철강(28.1%)’, ‘목재 및 목제품(25.0%)’ 등이 전체 수출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상회하며 수출 증대를 주도했다.

 

<베트남의 주요 수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목

2022

2023

20241~4

수입액

비중

수입액

증감률

비중

수입액

증감률

비중

1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분품

81,884

22.8

87,966

7.4

27.0

31,650

24.3

27.5

2

기계, 장비, 도구 및 기타 부속품

45,193

12.6

41,580

-7.9

12.7

14,134

13.4

12.3

3

직물

14,707

5.9

24,048

-14.0

7.4

4,493

8.6

3.9

4

철강

11,920

4.1

10,425

-12.5

3.2

3,886

23.0

3.4

5

플라스틱 원료

12,387

3.5

9,755

-21.2

3.0

3,426

13.5

3.0

6

전화기, 무선통신기기

21,126

2.6

8,749

-58.6

2.7

3,080

22.4

2.7

7

석유제품

8,969

2.5

8,365

-6.7

2.6

3,066

10.8

2.7

8

기타 비금속류

9,254

2.4

7,627

-17.6

2.3

2,731

7.1

2.4

9

원유

7,810

2.2

7,106

-8.6

2.2

2,724

19.2

2.4

10

석탄

7,164

2.0

7,171

0.7

2.2

2,702

34.2

2.4

총 수입액

358,902

100

326,374

-9.1

100

114,964

15.1

100

: 20241~4월 누계 수입액 기준 상위 10개 품목,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20244월 현재 기준 베트남의 주요 수입 품목은 컴퓨터·전자제품 및 부분품’, ‘기계·장비·도구 및 기타 부속품’, ‘직물등이다. 다만, 직물의 경우 섬유·의류 산업 침체로 인해 비록 수입이 증가하기는 했으나, 전체 수입액의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으며,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대비 줄어들었다. 20244월 누계 기준 10대 수입 품목 중에서는 석탄의 수입이 급증(34.2%)했으며 그 뒤를 이어 컴퓨터·전자제품 및 부분품(24.3%)’, ‘철강(23%)’, ‘전화기·무선통신기기 및 부분품(22.4%)’, ‘원유(19.2%)’ 등이 전체 수입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상회하며 수입 증대를 주도했다.

 

-베 교역 동향

 

<한국의 대()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US$ 백만,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1~4

수출

[]

47,754

(46.4)

48,622

(1.8)

48,178

(0.9)

48,511

(0.7)

56,729

(16.9)

60,964

(7.5)

53,480

(12.3)

17,843

(9.9)

수입

[]

16,177

(29.5)

19,643

(21.4)

21,072

(7.3)

20,579

(2.3)

23,966

(16.5)

26,725

(11.5)

25,942

(2.9)

9,334

(7.6)

교역규모

63,931

(41.7)

68,265

(6.8)

69,250

(1.4)

69,090

(0.2)

80,695

(16.8)

87,689

(8.7)

79,421

(9.4)

27,177

(9.1)

무역수지

31,577

28,979

27,106

27,932

32,763

34,239

27,538

8,509

[자료: 무역협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241~4월 기준 전년에 이어 한국은 베트남의 3위 교역대상국이다. 또한 한국은 베트남에 수출을 세 번째로 많이 하는 국가이며, 베트남의 수입 시장에서는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양국 간 교역이 부진했던 2023년과 달리 올해는 대()베트남 수출 및 수입이 각각 9.9%, 7.6% 증가했다.

 

<한국의 대()베트남 주요 수출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목명

2023

20241~4

수출액

증감률

비중

수출액

증감률

비중

1

반도체

12,730

-21.6

23.8

5,186

30.8

29.1

2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

12,350

-1.4

23.1

3,034

-3.5

17.0

3

석유제품

3,320

-11.0

6.2

1,035

-3.2

5.8

4

무선통신기기

2,166

-8.1

4.1

819

16.1

4.6

5

합성수지

1,998

-22.6

3.7

769

24.5

4.3

6

기구부품

1,862

-15.1

3.5

569

3.3

3.2

7

플라스틱 제품

1,021

-4.2

1.9

342

17.7

1.9

8

철강판

888

-17.0

1.7

276

-0.6

1.5

9

계측제어분석기

801

1.0

1.5

256

-11.4

1.4

10

건전지및축전지

282

-38.7

0.5

231

123.4

1.3

기 타

15,584

-

29.1

5,326

-

29.8

합 계

53,480

-12.3

100

17,843

9.9

100

: MTI 3단위 기준 20241~4월 수출 상위 10개 품목,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무역협회]

 

2023년에 이어 올해도 베트남에 가장 많이 수출되고 있는 10대 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약 70%를 차지하며, 그 중 특히 반도체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품목의 비중은 전체의 절반에 가깝다. 다만, ‘반도체는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이 30.8% 증가하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3%포인트 늘어난 반면, ‘평판 디스플레이 및 센서품목은 전년에 이어 올해도 수출이 3.5% 감소하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1%포인트 감소했다. 이외에도 주요 품목 중 석유제품’, ‘철강판’, ‘계측제어분석기등은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에 건전지및축전지는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이 두 배 이상 증가하며 10위권에 진입했다.

 

<한국의 대()베트남 주요 수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목명

2023

20241~4

수입액

증감률

비중

수입액

증감률

비중

1

무선통신기기

4,544

-24.1

17.5

1,629

8.7

17.5

2

의류

3,545

-7.7

13.7

1,214

-0.6

13.0

3

컴퓨터

2,076

6.6

8.0

961

10.7

10.3

4

반도체

2,053

160.9

7.9

884

75.0

9.5

5

산업용 전기기기

1,396

44.0

5.4

523

22.9

5.6

6

신변잡화

1,252

0.2

4.8

385

-11.3

4.1

7

목재류

723

-23.3

2.8

222

-18.4

2.4

8

기구 부품

571

-12.7

2.2

179

7.8

1.9

9

계측제어분석기

404

11.9

1.6

152

20.4

1.6

10

영상기기

385

-16.8

1.5

149

1.1

1.6

기 타

8,714

-

33.6

3.036

-

32.5

합 계

25,942

-2.9

100

9,334

7.6

100

: MTI 3단위 기준 20241~4월 수입 상위 10개 품목,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무역협회]

 

20244월 누계 기준 수입 상위 10대 품목 중 의류(-0.6%)’, ‘신변잡화(-11.3%)’, ‘목재류(-18.4%)’ 등이 전체 수입이 증가했음에도 수입 규모가 줄어들었다. 반면에 반도체(75.0%)’, ‘산업용 전기기기(22.9%)’, ‘계측제어분석기(20.4%)’ 등은 수입 규모가 증대했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수출과 수입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액 및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등 전년 대비 반도체 산업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망 및 시사점

 

베트남은 원자재를 수입해 완제품을 수출하는 형태의 교역이 많다. 이에 교역 규모가 전체 GDP의 약 1.5~2배에 달하면서도 수입액보다 수출액이 더 커 무역수지 흑자가 계속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출입 실적은 대체적으로 베트남 경제에 긍정적이다. 다만, 180%에 달하는 베트남의 무역 의존도는 지정학적 갈등 및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적 요인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베트남의 대외 취약성은 서로에게 있어 교역 대상국 3위인 양국의 교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해가 거듭될수록 베트남의 전체 교역액에서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12.9% 12.1% 11.7% 11.8% 11.2% 10.5%) 한국의 경우 수출 품목 다변화 등을 통해 현재 상황을 극복함과 동시에 잠재적 대외 위험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2024년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 증감률 상위 15대 품목>

(단위: US$ , %)

순위

품목명

2023

20241~4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1

공업용귀금속제품

391,2

478.3

311.7

1,127.9

2

목재광물및유리가공기계

30,296.5

-21.7

66,122.3

521.6

3

식탁용구

105.9

20.7

127.8

310.4

4

모류

5,917.7

6.2

4,596.4

214.9

5

식품가공포장기계

29,647.2

10.4

17,636.5

205.5

6

사무기기

114.1

87.1

55.0

171.0

7

축산부산물

7,261.1

-1.4

3,761.0

152.7

8

갑각류

28,533.8

21.7

15,593.7

140.3

9

항공기및부품

48,454.3

70.1

32,678.2

136.0

10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89,558.7

-14.3

34,957.2

130.9

11

건전지및축전지

281,847.1

-38.7

231,594.2

123.4

12

석면제품

2.5

-48.7

5.3

109.4

13

해조류

11,772.2

87.6

5,356.2

92.6

14

마찰제품

747.8

-10.2

276.2

76.6

15

전자응용기기

161,559.6

10.5

78,828.1

74.8

합 계

53,480

-12.3

17,843

9.9

: MTI 3단위 기준 20241~4월 수출증감률 상위 15개 품목,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무역협회]

 

이러한 관점에서 올해 4월 누계 기준 대()베트남 수출증감률이 높았던 15대 품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업용귀금속제품’, ‘사무기기’, ‘항공기및부품등이 2023년에 이어 올해도 급증하고 있어 주목이 필요하다. 또한, 김이 포함된 해조류품목 역시 수년간 수출이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다소 부진했던 건전지및축전지품목도 이차전지 수출 호조세로 올해 선전하고 있다.

 

자료: 세계은행, 통계청, 한국은행, 베트남 통계총국, S&P Global, 베트남 기획투자부, 베트남 관세총국,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상반기 베트남 수출입 동향 및 한베 교역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