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수기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워싱톤무역관 Samuel Lee
- 2019-08-27
-
- 미국, 자연재해로 인한 수질오염도 상승 -
- 美 정부의 정수기 설치 권고에 따라 시장 규모 확대될 것 –
- 휴대용 정수기 같은 재난 대비 제품 수요 또한 상승 -
□ 상품명 및 HS Codeㅇ 상품명 : 정수기(water purifier)
ㅇ HS Code : 8421.21
□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IBIS World에 의하면 2017년 기준, 미국 자연재해 및 긴급대처 서비스(Natural Disaster and Emergency Relief Service) 시장규모는 106억 달러로 연간 0.2%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함.
- 또한, 미국의 경제 전망기관인 IHS 글로벌 인사이트는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으로 각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함.
ㅇ 미국 내 자연재난과 그에 따른 수질 오염도의 증가로 정수기 수요 또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C Davis)가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지역 내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곳곳의 안전한 식수 공급에 차질이 있었다고 주장
- 이처럼 수질 오염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면서, 미국 내 정수기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임.
ㅇ 2018년 미국의 국제 수질협회(Water Quality Association, 이하 WQ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가정의 약 30%는 수돗물 섭취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집계됨.
- 2011년 외부 기관이 실시한 미국 내 공공장소 수돗물 음수대 수질 오염도 조사에서 20% 이상의 음수대가 美 환경 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이하 EPA)이 지정한 안전 오염도 기준치에 미달한다고 발표
- 2017년 동 기관에서 집계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1,300만 가구는 개인이 설비한 정수 시스템으로 식수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EPA는 미국 국민들에게 가정용 발전기, 정수기 및 공기청정기를 구비해 놓으라고 권고함.
- 자연재해에 따른 수질 오염도 상승으로 인해 2017년 미국 내 생수(bottled water) 구매액은 약 160억 달러로 향후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수기 시장 또한 2025년까지 총 58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 Flexport에 따르면 미국 50개 주(州) 중 일리노이주의 정수기 구매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의 공기 및 정수 필터 제조업체인 Electro Corp.는 미국의 정수 시장은 연평균 5.2%씩 성장할 것으로 분석
□ 최근 3년간 정수기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ㅇ 매년 증가하는 미국 정수기 시장
- 해당 제품의 HS 코드는 8421.21이며, 미국의 2017년 대비 2018년 정수기 수입 증가율은 8.25%로 높은 증가율을 보임.
- 2018년 중국, 캐나다, 멕시코의 대미 수출시장 점유율의 총합은 약 58%로 과반 이상을 기록
ㅇ 프랑스에 이어 가장 높은 증가율은 보인 한국
- 2017년 대비 2018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국가로는 프랑스(75.18%)
- 프랑스 다음으로 증가율 2위를 기록한 한국(68.3%)
ㅇ 가장 낮은 증가율과 수출을 기록한 국가는 영국
- 영국의 대미 정수기 수출 증가율은 -15.31%로 상위 10개국 중 가장 낮은 성장률과 수출을 기록함.
미국 정수기 수입 현황
(단위: USD, %)
순위
국가
수입액
비중
증가율 18/17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0
총계
1,082,394,421
1,130,665,605
1,223,991,541
100
100
100
8.25
1
중국
292,888,142
335,238,359
313,506,015
27.06
29.65
25.61
-6.48
2
캐나다
224,250,200
209,488,131
241,930,275
20.72
18.53
19.77
15.49
3
멕시코
146,608,894
159,997,786
163,537,756
13.54
14.15
13.36
2.21
4
한국
55,025,152
56,858,213
95,692,816
5.08
5.03
7.82
68.3
5
독일
54,351,427
51,524,883
61,113,150
5.02
4.56
4.99
18.61
6
일본
59,079,861
55,525,914
54,800,841
5.46
4.91
4.48
-1.31
7
프랑스
29,863,500
27,748,666
48,610,326
2.76
2.45
3.97
75.18
8
대만
31,088,215
32,900,470
40,511,148
2.87
2.91
3.31
23.13
9
헝가리
22,011,601
30,501,624
37,857,201
2.03
2.7
3.09
24.12
10
영국
22,950,045
30,349,818
25,704,533
2.12
2.68
2.1
-15.31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미국 내 정수기 수출 관세율 및 물품세
ㅇ 기본세율과 한미 FTA 관세율
HS 코드
기본세율
한미 FTA 관세율
8421.21.00
무관세
무관세
자료원: 美 국제무역위원회
ㅇ 미국 주요 주( 州)의 정수기 물품세(sales tax)
- 미국 내 정수기 물품세는 일반적으로 약 6%~10% 수준
- Montana, Oregon 등 일부 주는 0%
- 캘리포니아와 뉴욕은 각각 8~10%, 7~9%
□ 미국 정수기 특징과 이해
ㅇ 미국 가정집 정수기는 두 가지 종류로 구분 가능
1) POU(point-of-use): 한 곳에만 정수 시스템을 설치해 설치한 곳에서만 정수된 물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주로 싱크대 하단, 수도꼭지, 주방 조리대 등에 부착하는 형식2) Whole-House POE(point-of-entry): 가정 전체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濾過) 하는 시스템으로, 집안 어디에서 물을 사용해도 여과된 물이 나오며, 수질 중화제 및 진입점 정수 제품 등이 있음.
ㅇ POU 및 Whole-House POE 구분 사진
□ 2019년 미국 내 인기 가정용 POU, Whole-House PEO 순위 및 제품 소개
ㅇ Point-of-use 제품 소개
자료원: Water Filter Magazine 및 각 제조사
ㅇ Whole-House point of entry 제품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