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동향
- 상품DB
- 독일
- 뮌헨무역관 권석진
- 2023-03-13
- 출처 : KOTRA
-
Keyword #독일 가정용 냉장고 수입 시장규모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은 성장 중
상품명 및 HS코드
ㅇ 상품명: 가정용 냉장고
ㅇ HS코드: 8418.10 [냉장고-냉동고(분리된 외부 문을 갖춘 것으로 한정)]
- 냉장고·냉동고와 그 밖의 냉장기구나 냉동기구(전기식 무관), 열펌프(제8415호의 공기조절기는 제외)시장동향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17억7000만 유로로 2021년도 대비 8.7% 정도 줄어들었으며 이는 환율 변동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Statista에 따르면, 2023년은 16.8% 이상의 급격한 성장세가 예상돼 전체 시장 규모는 20억 유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4~2027년 연평균 1.8%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규모(2016~2027년)>
(단위: € 억, %)
연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시장규모
16.4
16.3
16.7
17.5
17.6
19.4
17.7
20.7
21.1
21.5
21.9
22.2
증감률
-
△0.7
2.5
4.7
0.9
10
△8.7
16.8
2.2
1.7
1.7
1.6
[자료: Statista]
가정용 냉장고 시장의 독일 소비자들의 평균 지출 금액은 2022년 기준 21.1유로이며 2023~2027년 24.67유로에서 26.63유로까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 가정용 냉장고 1인당 평균 지출액(2016~2027년)>
(단위: €)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금액
21.04
23.11
21.10
24.67
25.25
25.72
26.19
26.63
[자료: Statista]
수입동향
2022년 기준 독일 냉장고 품목(HS Code 8418.10)의 전체 수입액은 7억2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15% 감소했다. 독일의 냉장고 제품 최대 수입국은 폴란드, 중국, 튀르키예 순으로 수입국 상위 3개국의 수입액은 2022년 기준 전체 수입액의 7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 상위 10개국 중 중국을 제외한 9개국 모두 유럽 국가이다. 냉장고 제품의 경우, 제품 운송 비용 부담에 따라 유럽 역내 국가 수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중국의 경우 2022년 코로나 봉쇄 조치의 영향에 따라 중국산 냉장고 제품의 수입량이 전년도 대비 40% 줄어들면서 제조사별 냉장고 생산 공장이 위치한 튀르키예(Beko), 불가리아(Liebherr), 세르비아(Gorenje) 등의 국가로부터의 수입량이 증가한 걸로 분석된다.
<독일 국가별 냉장고(HS코드 8418.10) 수입규모 변화추이(2020-2022)>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2020
2021
2022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증감률
총계
639
100
860
100
726
100
△15.5
1
폴란드
218
34.1
302
35.2
277
38.2
△8.1
2
중국
157
24.6
252
29.4
149
20.6
△40.7
3
튀르키예
88
13.8
103
12.1
113
15.6
9.2
4
이탈리아
51
8
65
7.6
57
7.9
△12.4
5
불가리아
26
4.2
31
3.7
39
5.5
25.8
6
네덜란드
36
5.7
29
3.4
22
3.1
△24.6
7
루마니아
6
1.1
19
2.3
18
2.6
∆6
8
벨기에
8
1.4
17
2
12
1.7
△27.6
9
세르비아
9
1.5
6
0.7
9
1.3
58.7
10
오스트리아
7
1.1
7
0.9
8
1.1
5.5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의 경우 약 60개의 브랜드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Bosch(독일), Siemens(독일), Liebherr(독일) 등 자국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한국의 삼성, LG 제품 선호도도 증가하고 있으며 Gorenje(슬로베니아), Hisense(중국), Haier(중국) 등의 외국 브랜드 제품의 시장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독일 가정용 냉장고 제품 주요 유통 품목>
(단위: €)
브랜드명
제품명
제품사진
특징
가격
Bosch
KGE39AICA
- 용량: 343ℓ
- 에너지효율 등급: C
- 연간 에너지소비량: 149㎾h
- 특징: 전자 온도 제어 장치
650~720
Siemens
KG33VVLEA iQ300
- 용량: 308ℓ
- 에너지효율 등급: E
- 연간 에너지소비량: 233㎾h
- 특징: 수직통합손잡이
500~550
Liebherr
CBNsfc 522i
- 용량 : 321ℓ
- 에너지효율 등급: C
- 연간 에너지소비량 : 170㎾h
- 특징: 스마트 앱 구동 가능, 과일 및 야재 보관 기술
500~550
Samsung
RS6GA8842B1
- 용량: 634ℓ
- 에너지효율 등급: D
- 연간 에너지소비량: 281㎾h
- 특징: 양문형, 물탱크 및 얼음 디스펜서 기능
1,850~1,900
LG
GSXV91MCAF
- 용량: 635ℓ
- 에너지효율 등급: F
- 연간 에너지소비량: 437㎾h
- 특징: Door-in-Door 시스템, UV Nano 세균 억제 기능
1,900~2,000
Gorenje
R6192FW
- 용량: 368ℓ
- 에너지효율 등급: E
- 연간 에너지소비량 114㎾h
- 특징 : 지문 방지 코팅 표면처리
539~550
Hisense
RS694N4TIE
- 용량: 562ℓ
- 에너지효율: E
- 연간 에너지소비량: 323㎾h
- 특징: 양문형, 물탱크 및 얼음 디스펜서 기능
1,250~1,350
[자료: 각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뮌헨 무역관 자체조사]
유통구조
독일 가정용 냉장고는 크게 전자가전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오프라인 제품 구매비율이 55.5%로 온라인 구매비율인 44.5%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Statista에서는 2025년을 기점으로 온라인 구매 비율이 오프라인 구매비율을 대비 5% 가량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독일 냉장고 판매 유통구조>
제조사, 수입유통사
↓
ㅇ 온라인 유통사
- Amazon, Otto 등
ㅇ 각 제조사별 on-line 쇼핑몰(홈페이지)
ㅇ 오프라인 유통사
- Mediamarkt, Saturn, Conrad 등
ㅇ 가전제품 일반 소매상
↓
고객사
[자료: KOTRA 뮌헨 무역관 자체조사]
관세율 및 인증
한국산 냉장고의 독일 수입 관세율은 0%, 부가가치세율은 19%이며 해당국 내 유통을 위해서는 CE 인증이 필수이다.
시사점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은 약 60개의 브랜드가 판매되고 있는 경쟁이 치열한 품목군이나 2027년까지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이다. 독일 소비자들의 경우 디자인보다는 제품의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성과 같은 제품 기능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특히 최근에는 양문형 형태의 스마트홈 기능을 탑재한 다기능 냉장고의 구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경쟁사 대비 신기술을 적용해 기술적 비교우위를 확보해야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Statista, 각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뮌헨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가정용 냉장고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프랑스 냉장고 시장 동향
프랑스 2023-03-16
-
2
그리스 중앙난방용 보일러 시장동향
그리스 2023-03-13
-
3
열배터리, 미국에서 차세대 기후 기술 주자로 주목
미국 2023-05-18
-
4
영국 히트펌프 시장동향
영국 2023-03-07
-
5
독일 히트펌프 시장동향
독일 2023-03-16
-
6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인도 2023-08-04
-
1
2021 독일 수소산업 정보
독일 2021-12-31
-
2
2021 독일 항공산업 정보
독일 2021-12-31
-
3
2021년 독일 해운산업 시장 동향 및 현황 정보
독일 2021-12-27
-
4
독일 사이버 보안 산업
독일 2021-07-09
-
5
독일 생활소비재_화장품 산업 정보
독일 2021-05-10
-
6
독일 자동차 산업 정보
독일 2021-05-06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