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증정보

품목명,최종업데이트,mticode,hscode,국가,무역관,제도명,인증구분,인증유형,인증마크,도입시기,근거규정,제도내용,품목정의,적용대상품목,확대적용품목,인증절차,시험기관,인증기관,유의사항 항목 순으로 인증정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표

품목 명 자동차 부품 최종 업데이트 2025-06-24
MTI CODE HS CODE 870850
국가 벨기에 무역관 브뤼셀무역관
제도 명 E-Mark(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Mark)
인증 구분 강제 인증 유형 현행
인증마크
도입시기 UNECE Regulation No. 13: 1958년 최초 도입 이후, 지속 업데이트(현재는 Revision 11 이상)
UNECE Regulation No. 13-H: 승용차 기준, 2003년 이후 점진적으로 도입
EU Regulation (EU) 2018/858: 전체 차량 형식 승인(WVTA)을 위한 총괄 규정, 2020년 9월 1일부터 신규 차량에 본격 시행(구 Regulation (EC) No 2007/46 대체) 부품(부속품 포함)이 차량 전체 안전 및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 부속 형식 승인이 필요함.
근거 규정 UNECE Regulation No. 13 / 13-H(브레이크 시스템 관련 규정, 드라이브 액슬에 브레이크가 통합된 경우 해당)
EU Regulation (EU) 2018/858(EU 차량 형식 승인 프레임워크)
제도 내용 E-Mark는 자동차 산업분야에 관련된 EU 적합성 준수 마크로 유럽 및 유럽 경제 지역(EEA) 국가에서 판매되는 모든 자동차 및 관련 부품이 도로에서 합법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반드시 받아야 되는 형식승인 마크로, 이는 UN 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제정한 자동차 기술 규정인 ECE 규정을 기반으로 함.
품목정의 (HS 코드 870850) 차동장치를 갖춘 구동 차축(변속장치를 갖추었는지에 상관없다)과 그 부분품, 비구동 차축과 그 부분품
적용대상품목 드라이브 액슬이 제동장치, ABS, ESP 등의 구성요소와 통합되어 있는 경우, 구동축의 구조가 차량 안전성, 제어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예: 드라이브 액슬(구동축), 디퍼렌셜 기어, 액슬 하우징 및 베어링, 차량용 후륜/전륜 액슬 유닛)
확대적용품목
인증절차 1. 적용 규정(UN Regulation) 확인
2. 공인 시험 기관(TSN, Technical Service) 선정
3. 시험 및 기술문서 작성 및 제출
4. 형식 승인 기관에 신청
5. E Mark 승인서 발급 및 마킹 부여
6. 생산 일관성(CoP, Conformity of Production) 유지 및 사후관리
시험기관 EU 각 국가의 교통부가 인증한 시험기관
인증기관 EU 각 국가의 교통부
유의사항 - E-Mark는 제조자의 자율선언으로 마킹부착이 가능한 CE와는 달리, 제품 유통전 EU 회원국 중 하나의 회원국의 교통부로부터 형식승인을 받아야 하는 강제검사 제도
- 제조기업은 회원국 국가를 임의 선정한 후 형식승인을 진행, E-마크와 인증번호를 부여받게 됨. 마크 옆에는 EU 개별국별 고유의 Code 번호가 매겨짐
(예시) 1=독일, 2=프랑스, 3=이탈리아, 4=네덜란드, 5=스웨덴, 6=벨기에, 9=스페인, 12=오스트리아, 13=룩셈부르크, 17=핀란드, 18=덴마크, 21=포르투갈, 23=그리스
<기타 요구사항>
-REACH 규정(재료 및 화학물질 포함 시): 재질에 유해 화학물질 포함 시 등록/제한 대상 여부 검토
-RoHS 규정(전기·전자 부품 포함 시): 자동차 부품에는 적용 예외가 많지만, 일부 전동 액슬에 적용될 수 있음(전기차 포함 시)
-전기차용 드라이브 액슬(전동 유닛 포함)일 경우 추가적인 전자기 적합성 평가(EMC)나 고전압 안전 기준도 간접 적용될 수 있음
인증획득 절차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인증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인증기관 #1
기관 명 BELAC (Belgian Accreditation Body)
홈페이지 https://economie.fgov.be/en/belac
담당부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기타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시험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기관 #1
기관 명 MOBI Electromobility Research Centre (Vrije Universiteit Brussel)
홈페이지 https://mobi.research.vub.be/
담당부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기타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시험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기관 #2
기관 명 Sirris
홈페이지 https://www.sirris.be/en
담당부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기타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시험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기관 #3
기관 명 Flanders Make
홈페이지 https://www.flandersmake.be/en
담당부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기타

인증절차도 첨부파일을 알 수 있는 표

인증절차도
비용·소요기간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시험비용, 소요기간 항목 순으로 비용 및 소요기간을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서류검사, 공장검사, 제품 샘플링 검사 등
시험 비용 시험 항목에 따라 다소 상이
소요 기간

초기공장심사비용,인증비용,소요기간,인증유효기간,사후관리비용,자료원 항목 순으로 비용 및 소요기간을 알 수 있는 표

구분 인증
초기공장심사 비용
인증 비용 각 EU 회원국별로 상이
소요 기간 약 6~12주
인증 유효기간 유효기간은 원칙적으로 무기한이지만, 제품 사양에 변경이 있는 경우 인증기관에 변경 승인 또는 신규 승인 재신청을 해야 함, 또한 CoP 불이행 시 인증이 철회될 수 있으며 신규 차량이나 부품에 강화된 버전의 규정이 적용될 경우, 기존 인증으로는 신규 제품을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사후관리 비용
자료원 EU 집행위원회, Mobi Vub, Economie.Fgov, Sirris 등
유의사항

필요서류,유의사항,기타,첨부파일 항목 순으로 유의사항을 알 수 있는 표

필요 서류 1. 신청서(형식 승인 기관이 요구하는 공식 신청서 양식, 신청자 정보, 제조자 정보, 제품 정보, 적용 규정 등을 포함)
2. 기술 설명서(제품의 주요 사양, 기능, 용도 등 상세 기술 정보, 제품 이름 및 모델명, 작동 원리 및 구성, 사용 재료 및 규격, 기술 도면 번호 및 버전 등)
3. 도면 및 구조도(전체 조립도, 주요 부품 도면 및 치수, 전기·기계 시스템 구성도,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등(해당 시))
4. 사진자료(제품 외관, 마킹 위치 및 형태, 구성 부품 등 선명한 컬러 사진)
5. 마킹 시안(제품에 표시될 E-Mark 번호의 위치와 형태, 내구성 있는 방식으로 제품 본체에 각인 혹은 라벨링해야 함)
6. 시험 성적서(공인 시험기관에서 수행한 시험 보고서, 적용된 UN Regulation의 모든 시험 항목 결과 포함, 시험 조건, 측정값, 판정 결과 등이 포함되어야 함)
7. 제조사 품질관리 관련 문서(CoP 확보를 위한 QMS 관련 자료, ISO 9001, IATF 16949 등의 인증서 사본 또는 자체 품질관리 절차 문서)
8. 부품 목록 및 구성품 사양서(제품 구성에 필요한 주요 부품 리스트, 부품별 제조사, 규격, 인증 상태 등 기재)
유의 사항
기타
첨부 파일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동차 부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