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슬로바키아 원전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이재승
- 2025-02-25
- 출처 : KOTRA
-
현재 5기 원전을 통해 현지 전력의 절반 이상 생산
2024년 5월, 야슬로프스케 보후니체에 최대 1200MW 규모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 승인
슬로바키아 원전산업 특성
산업 현황
현재 슬로바키아에는 5개의 원자력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총발전 용량은 2308MW이다. 보후니체(Bohunice) 2기, 모호프체(Mochovce) 3기를 가동하고 있으며, 총 5기의 원전을 통해 슬로바키아 국내 전력의 절반 이상을 생산한다. 2018년 기준, 슬로바키아는 국가 전체 전력의 약 55%를 원자력을 통해 생산했으며, V4(비세그라드 그룹) 내에서 원자력 발전에 찬성하는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이다.
<슬로바키아 원전 전력 생산량 추이>
(단위: MWe)
[자료: 세계 원자력협회]
<슬로바키아 원전 현황>
발전소
모델
유형
순용량 (MWe)
시공시기
최초 그리드
연결시기
Bohunice 3
VVER V-213
PWR
466
1976년 12월
1984년 8월
Bohunice 4
VVER V-213
PWR
466
1976년 12월
1985년 8월
Mochovce 1
VVER V-213
PWR
408
1983년 10월
1998년 7월
Mochovce 2
VVER V-213
PWR
408
1983년 10월
1999년 12월
Mochovce 3
VVER V-213
PWR
440
1987년 1월
2023년 1월
[자료: 세계 원자력협회]
주요 이슈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 필요
2022년 기준 슬로바키아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는 69.6%로서 EU 평균 62.5%보다 높았으며,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의 러시아 의존도는 80%를 상회할 만큼 절대적이다. 러-우 사태 이후 에너지 가격의 폭발적 상승과 러시아산 자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 따른 에너지 안보 위기 확대로 인해 현재 슬로바키아 에너지 자원의 다각화 및 공급의 다각화, 수송 루트의 다원화를 통한 에너지 안보 확립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원자력 발전을 위한 핵연료 역시 러시아로부터 독점 공급을 받아왔으며, 핵연료 공급의 다면화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EU 녹색 전환 목표 달성을 위해 슬로바키아는 총에너지 비중 중 화석연료 비율을 낮추고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여야 하지만,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진척 속도가 느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슬로바키아 정부는 원전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슬로바키아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 추진
슬로바키아 정부는 향후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자 현재 추가 원전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35년 가동을 목표로 2025년에 신규 원전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며, 소형모듈원전(SRM) 사업자를 선정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슬로바키아 정부는 2024년 5월, 야슬로프스케 보후니체(Jaslovske Bohunice)에 최대 1200MW 규모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슬로바키아 사코바 경제부 장관은 주재국 언론 인터뷰에서 러시아 Rosatom사의 신규 원전 입찰 참여는 불허할 것이며, 한국, 프랑스(Framatome), 미국(Westinghouse)의 원전 공급업체가 입찰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을 언급했다. 이에 우리 정부 및 한수원에도 입찰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슬로바키아 로베르트 피초 총리는 2024년 9월 30일에 방한해 양국 정부 간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체결했으며, 원전 등 주요 프로젝트가 이슈가 있는 산업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산업 수급현황
슬로바키아 원전기자재 수출입 동향
원전기자재로는 대표적으로 철강 탱크, 냉매용 펌프, 진공펌프, 열교환기 등이 있다. 슬로바키아 원전기자재 대부분은 인근국인 독일, 폴란드 등 유럽 국가를 통한 수입 및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주요 원전기자재 중 하나인 철강 탱크의 경우, 슬로바키아의 주요 수출국은 2024년 기준 독일, 세르비아, 오스트리아 순이다. 특히 네덜란드의 경우, 전년 대비 1417.1%의 큰 상승폭을 보여줬다. 최근 3년 기준, 한국으로의 수출은 아직 전무하다.
<슬로바키아 원전기자재(철강 탱크) 주요 수출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출액
비중
2024년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1
독일
5,408
14,176
13,372
35.9
41.2
37.8
-5.7
2
세르비아
35
5,067
6,390
0.2
14.7
18.1
26.1
3
오스트리아
1,389
4,448
3,580
9.2
12.9
10.1
-19.5
4
네덜란드
92
204
3,099
0.6
0.6
8.8
1,417.1
5
루마니아
230
1,409
2,546
1.5
4.1
7.2
80.7
6
이탈리아
563
838
953
3.7
2.4
2.7
13.8
7
헝가리
1,339
355
896
8.9
1.0
2.5
152.1
8
프랑스
2,082
1,813
893
13.8
5.3
2.5
-50.7
9
리히텐슈타인
838
824
880
5.6
2.4
2.5
6.8
10
벨기에
373
1,158
592
2.5
3.4
1.7
-48.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2.18.]
주요 수입국의 경우 역시 폴란드, 체코, 이탈리아 순으로, 상위 10개국 중 중국을 제외한 모든 수입국이 유럽 국가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인근국인 독일, 오스트리아, 세르비아로부터의 수입이 모두 전년 대비 세 자릿수 대 증가율을 보인 것이 두드러진다. 최근 3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아직 전무하다.
<슬로바키아 원전기자재(철강 탱크) 주요 수입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출액
비중
2024년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1
폴란드
551
5,635
6,276
6.1
30.1
45.5
11.4
2
체코
3,737
6,433
3,938
41.3
34.3
28.6
-38.8
3
이탈리아
1,422
1,187
1,299
15.7
6.3
9.4
9.5
4
독일
167
192
811
1.8
1.0
5.9
323.2
5
오스트리아
124
71
383
1.4
0.4
2.8
442.4
6
세르비아
155
93
328
1.7
0.5
2.4
252.6
7
중국
128
245
262
1.4
1.3
1.9
7.0
8
헝가리
1,094
851
144
12.1
4.5
1.0
-83.1
9
노르웨이
3
-
56
0.0
-
0.4
-
10
스페인
60
556
44
0.7
3.0
0.3
-92.1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2.18.]
진출 전략
슬로바키아 원전 산업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 원전 산업 R&D에 집중된 생산능력
- 원전 전력 생산의 효율적인 프로세스 구축
- 안정적인 외국인 자본투자
- 노후화된 장비
- 노후 원전 장비 폐기 및 청산을 위한 비용 발생
Opportunities
Threats
- 슬로바키아 정부 주도 신규 원전 건설프로젝트 추진
- 신규 원전 건설 지연 가능성
- EU 규정 및 정책
강점
슬로바키아 원전 산업의 강점으로는 R&D에 집중돼있는 생산능력과 총 전력 생산의 약 55%를 원전이 차지하는 만큼, 원전 생산의 효율적인 프로세스가 구축돼있다는 것이다. 또한, 안정적인 외국인 자본투자 수급이 있다.
약점
슬로바키아 내에서 가동되고 있는 5기의 원전은 모두 1970~80년에 착공됐으며, 상당히 노후화된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관련 원전 기자재 또한 상당히 노후화돼 이를 교체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기회
슬로바키아 정부는 원전 생산력을 강화하기 위해 야슬로프스케 보후니체(Jaslovske Bohunice)에 최대 1200MW 규모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따라서, 원전과 그 기자재 관련 수요가 향후 클 것으로 전망되며, 신규 원전 사업뿐만 아니라 소형모듈원전(SRM) 사업자를 선정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위협
신규 원전 건설 수주 관련해 슬로바키아 정부 내 검토 지연으로 인해 원전 프로젝트가 다소 지연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한수원의 경쟁자로서 프랑스의 Framatome, 미국의 Westinghouse 등 쟁쟁한 경쟁자들이 있다. 또한, 원전 관련 EU 정책에 예속되기에, 정책적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한다.
시사점
유럽의 저탄소 정책과 에너지 공급망 안정화 노력에 따라 슬로바키아 원전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슬로바키아 신규 원전 프로젝트와 소형모듈원전(SRM) 도입 등 유망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바, 우리나라의 원전기자재 기업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는 시장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이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자료: 세계 원자력협회, GTA, 슬로바키아 혁신에너지청, 슬로바키아 통계청, 현지 언론, KOTRA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슬로바키아 원전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저출산에도 유아동복 전망은 '맑음'
중국 2025-03-04
-
2
2025년 중국 소비 촉진 정책 키워드-①런칭경제
중국 2025-03-07
-
3
2025년 나이지리아 정유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5-03-09
-
4
추격자에서 선도자 꿈꾸는 중국 AI 굴기(崛起)
중국 2025-02-25
-
5
프랑스 AI 산업 투자 현황 및 주요 기업
프랑스 2025-02-20
-
6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의 2024년 성적표는?
일본 2025-02-24
-
1
2024년 슬로바키아 철강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4-07-29
-
2
2022년 슬로바키아 방위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2-07-28
-
3
2021년 슬로바키아 항공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9
-
4
2021년 슬로바키아 자동차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9
-
5
2021년 슬로바키아 공유서비스센터(SSC)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7
-
6
2021년 슬로바키아 화학·플라스틱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