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모잠비크 흑연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김선우
  • 2024-06-24
  • 출처 : KOTRA

모잠비크 흑연을 활용한 공급망 다변화

전 세계는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주요 핵심광물 자원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아프리카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서울에서 개최된 한·아프리카 정상회담의 화두도 아프리카 자원이었다. 아프리카는 보크사이트, 코발트, 흑연, 리튬, 망간 등 우리 산업에 꼭 필요한 자원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전 세계 광물 자원 매장량의 30%가 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다특히 모잠비크는 석탄, 구리, 보크사이트 등 일반적인 광물뿐만 아니라 리튬, 흑연, 티타늄, 지르콘, 탄탈륨 등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도 다량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모잠비크 간의 교역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자원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2023년 우리나라의 모잠비크 총 수입액은 76387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유연탄이 48713만 달러, 천연가스가 25694만 달러로 모잠비크 전체 수입의 97%를 차지했다.

 

최근 모잠비크 흑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모잠비크 흑연 수입량은 적지만, 우리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내년부터는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모잠비크와의 협력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모잠비크 흑연 산업의 특성

 

모잠비크 흑연은 풍부한 매장량과 글로벌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다만, 흑연을 가공해 부가가치를 높일 생산 설비와 인프라가 자국 내에 아직 없으며, 정치·사회적 불안정이 대표적인 성장 장애물이다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천연 흑연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으로 인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세계적 흐름도 모잠비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제 경기 침체나 자원 가격 변동, 그리고 인프라 자금의 투자 지연 가능성 등이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모잠비크 흑연 매장량 및 생산 현황

 

2024년 미국지질조사국의조사 자료에 따르면 모잠비크 흑연 매장량은 2500만 톤이다2024년 6월 기준 흑연 채굴은 모잠비크 북부 Cabo Delgado주와 Tete주에서 이뤄진다. 매장량이 1700만 톤에 달하는 Cabo Delgado주의 Balama 광산이 가장 크다. Balama 광산은 호주 Syrah Resources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모잠비크 정부는 2024년에 33만 톤의 흑연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된 흑연은 자국에서 가공할 능력이 없고, 내수시장이 없어 전량 수출되고 있다.

 

모잠비크 흑연의 수출 현황

 

2022년에 수출된 모잠비크 흑연의 58%는 중국으로 향했다. Syrah Resources사는 최근 인도네시아 BTR New Materials사에 1만 톤의 흑연을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고, 연초에 우리나라 포스코퓨처엠은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내년부터 6년 간 연간 최대 6만 톤이 국내로 공급될 예정이다. 참고로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차전지용 음극재를 생산한다. 2022년 기준 전 세계 음극재 시장에서 포스코퓨처엠은 2.3%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국의 시장 점유율은 96%이다.

 

<모잠비크의 천연 흑연(HS코드:2504) 주요 수출국>

(단위: US$ )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1,759

49,591

5,155

18,705

58,391

중국

72

34,702

786

6,695

33,816

미국

0

1,107

277

975

7,322

네덜란드

0

1,403

89

832

4,089

인도

28

2,808

373

1,937

3,785

슬로베니아

45

1,484

475

1,233

3,520

[자료: Trademap]

 

SWOT분석


S

(강점)

 

풍부한 매장량 : 2,500만 톤 수준의 막대한 흑연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대규모 생산 확대가 가능하다.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 : 호주 Syrah Resources사 등 주요 해외 기업이 광산 개발 및 생산에 참여해, 자금·기술력 확보에 유리하다.

 

W

(약점)

 

가공·제조 인프라 부족 : 채굴된 흑연을 자국 내에서 가공할 설비와 전문 인력이 부족해, 부가가치 창출이 제한적이다.

정치·사회적 불안정 : 테러, 치안 문제, 정책·규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투자 환경이 불안정하다.

물류·기반시설 미비 : 항만, 도로, 전력 등 물류 인프라가 충분치 않아 대규모 생산·수출에 제약이 따른다.

O

(기회요인)

 

세계적 ()중국흐름 : 미국 IRA 등으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모잠비크 흑연이 대체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ESS 시장 급성장 :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 수요가 급증해, 천연 흑연(음극재)의 시장 수요가 계속 확대될 것이다.

T (위협요인)

 

국제 경기 및 자원 가격 변동 : 글로벌 경기 침체 시 흑연 가격이 하락하거나 수요가 감소할 위험이 있다.

경쟁 심화 : 탄자니아, 마다가스카르 등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도 흑연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


 

Syrah Resources사의 Vidalia 프로젝트

 

모잠비크내에 천연 흑연을 구형화하거나 처리하는 시설은 없지만, Syrah Resources사는 올해 초 미국 루이지애나에 Vidalia 활성 음극재(AAM) 공장을 완공하였다. 단순 흑연을 채굴하는 광산 기업에서 자사 모잠비크 광산의 천연 흑연을 활용해 천연 흑연 활성 음극재(AAM)까지 생산하는 기업으로 진화했다. Vidalia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이 90% 이상 독점하던 음극재 시장의 판세를 바꿔보겠다는 야망이 엿보인다.

 

연간 음극재 생산능력은 11250 톤 규모이며, 생산된 음극재는 Tesla 등 이차전지 관련 기업에게 공급된다우리나라의 배터리 3사도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비하고, 중국산 음극재를 대체하기 위해 Syrah Resources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모잠비크 천연 흑연으로 미국에서 만든 음극재를 공급 받게 되는 셈이다.


<한 아프리카 비즈니스 상담회에 참가한 모잠비크 흑연 생산기업의 B2B 상담 장면>

[자료: 무역관 직접 촬영] 


시사점

 

미국 정부는 2026년 말까지 외국우려기업(FEOC)에서 조달한 흑연으로 만든 전기차도 IRA 보조금 받을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허용했다. 아직 중국 흑연 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에게 준비할 시간을 벌어준 셈이다. 이 기간 동안 자국 내에서 중국 이외의 흑연을 사용해 음극재를 생산하고, 수출을 늘려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한다.

 

모잠비크 흑연 공급사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수요 감소로 생산이 중단되는 등 연간 목표 생산량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모잠비크의 흑연 생산 기업들 역시 수요처 다변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SyrahVidalia 프로젝트처럼 미국, 유럽 등 수요가 높은 지역에 음극재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아프리카 광물을 수입해 가공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는 시점이다모잠비크 흑연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은 무역관을 통해 관련 기업 소개 및 상담을 주선 받을 수 있다.

 


자료 : Syrah Resources 사 홈페이지, 360mozambique.com 등 언론 보도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모잠비크 흑연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