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카타르 건설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양소망
  • 2021-11-23
  • 출처 : KOTRA

-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및 국가비전 2030에 따른 정부 주도 인프라 프로젝트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세 -

- 신도시 개발, 병원, 학교 및 가스전 개발 등의 분야에서 주요 프로젝트 발주 예정 -

- 기자재 수입에 의존하므로 수출 기회 모색 가능 -




산업 개요


건설업 GDP 규모는 2020년 기준 206억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11%를 차지하며, 에너지 분야 이후 두 번째로 비중이 큰 산업이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 준비 및 국가비전 2030에 따른 정부 주도 인프라 프로젝트를 주축으로 시장 규모는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카타르 건설 시장 규모

(단위 : US$ 백만,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GDP 규모

21,175

21,714

22,692

21,504

20,635

증감률

27

3

5

5

4

자료: QCB(Qatar Central Bank)

 

주요 정책


2008년 발표된 카타르 국가비전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 QNV)은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2030년까지 카타르를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선진국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중점 추진 분야로는 인적자원, 사회, 경제, 환경 4가지로 구분되며, 국가비전을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카타르 국가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 운영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70c52bc.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2pixel, 세로 235pixel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주요 프로젝트


2020년 기준 전체 재정지출의 34%에 해당하는 173억 달러를 주요 프로젝트 예산으로 집행했으며, 주로 가스전 확장, 주요 교통 인프라, 신도시 개발 및 수전력 분야 등에 활용했다.


우리나라의 프로젝트 수주 현황 관련, 카타르는 158개 국가 중 8위 수주 대상국으로 1976년 정우개발의 카타르 제철소 공사로 첫 수주를 시작한 이후 2020년 누계 기준 총 누적계약 금액은 247억 달러를(112개사 129) 기록하고 있다. 1위 수주 분야는 산업설비로 발전소, 가스처리시설, 화학공장 등 누적 35건이며, 2위 분야는 토목으로 도로, 철도, 항만 등 누적 33건을 수주했다카타르 내 진출한 우리 기업으로는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등 건설사가 진출해 있으며, 주로 건설 플랜트, 설계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 현황

(단위 : US$ 백만)

구분

프로젝트명

발주처

예산

현황(공정률)

공사 기간

교통

HIA Expansion: Phase 2A: Main Terminal Extension

Hamad International Airport Steering Committee(HIA)

880

Execution

(75%)

ʼ19.12~ʼ22.5.

HIA Expansion: Phase 2A: Western Airfield Expansion

Hamad International Airport Steering Committee (HIA)

400

Execution

(62%)

ʼ19.10~ʼ22.12.

신도시 개발

Lusail Development : Lusail Plaza

Lusail Real Estate Development Co

1,505

Execution

(61%)

ʼ19.8~ʼ23.2.

Qetaifan Island North: Phase 1

Qetaifan Projects Company

113

Execution

(59%)

ʼ20.1.~ʼ22.12.

수전력

Kahramaa Qatar Transmission:Phase 13: Cables, Substations

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 (QEWC)

260

Execution

(95%)

ʼ17.3.~ʼ22.1.

KAHRAMAA - Facility E IWPP 2600MW

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 (QEWC)

3,000

Main Contract Bid

ʼ22.2.~ʼ24.7.

Siraj Solar Energy 800MW Solar PV Plant in Al Kharsaah (IPP)

Siraj Energy

374

Execution

(78%)

ʼ20.1.~ʼ22.4.

자료: MEED Projects

 

2022년 발주가 예정된 주요 프로젝트는 신도시 개발, 병원, 학교 및 가스전 개발 등으로 구성돼 있다.

 

발주 예정 프로젝트

(단위 : US$ 백만) 

프로젝트명

발주처

예산

현황

공사 기간

NDIA - Airport City in Doha

New Doha International Airport

16,950

Design

ʼ22.7.~ʼ30.10.

Qatargas - North Field Production Sustainability: Phase 2

QatarGas

2,000

Main Contract PQ

ʼ22.5.~ʼ25.6.

ASHGHAL/HMC - National Centre for Cancer Care and Research

Qatar Public Works Authority (Ashghal),  Hamad Medical Corporation

760

Design

ʼ22.7.~ʼ25.12.

ASHGHAL - Qatar Public Private Partnership Schools Development: Package 3

Qatar Public Works Authority (Ashghal)

330

Main Contract PQ

ʼ22.6.~ʼ25.6.

LREDC - Qetaifan Islands South 2 and 3: Villas & Apartment Blocks (BP21)

Lusail Real Estate Development Co

275

Design

ʼ22.6.~ʼ25.12.

QAF - Land Forces HQ and Accommodation Facility in Doha

Qatar Armed Forces

275

Bid Evaluation

ʼ22.2.~ʼ25.6.

: 상기 프로젝트는 시장 상황에 따라 취소 또는 연기될 수 있음

자료: MEED Projects

 

주요 기업


정부 주도 인프라 프로젝트가 주축인 만큼 정부기관 혹은 국영기업 등이 주요 기업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디벨로퍼(Developer) 목록

기업명

기업 정보

홈페이지

Ministry of Transport &

Communications

교통통신 분야 정책수립 및 이행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

www.motc.gov.qa/en

Ashghal

(Public Works Authority)

카타르의 공공 인프라 개발계획 및 이행, 관리 등을 위해 2004년 설립된 정부기관

www.ashghal.gov.qa

QE(Qatar Energy)

카타르의 에너지(원유 및 가스) 분야를 전담하는 국영기업으로 1974년 설립

qp.com.qa

QatarGas

국영기업 QE(Qatar Energy)의 자회사로 1984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헬륨, 콘덴세이트 등 가스 관련 제품 생산 및 수출

 www.qatargas.com 

Qatar Rail

2011년 국왕 칙령(Emiri Decree)에 따라 설립된 국영기업으로 지하철(Metro), 루사일 경전철(Lusail Tram) 개발 및 운영 관리

www.qr.com.qa

Hamad International Airport Steering Committee

하마드 국제공항 확장의 추진 및 신속한 이행을 위해 설립된 위원회

-

QEWC(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

카타르 주식거래소 상장기업으로 1990년 카타르의 전력 및 담수발전플랜트 운영 관리 등을 위해 설립

www.qewc.com

Qatari Diar

카타르 국부펀드인 QIA(Qatar Investment Authority)에서 2005년 설립한 부동산 투자회사

www.qataridiar.com

Lusail Real Estate Development

Qatari Diar의 자회사로 루사일 신도시 개발을 위해 2008년 설립

www.lusail.com

Barwa Real Estate Company

카타르 주식거래소 상장기업으로 2005년 설립돼 부동산 개발업 수행

www.barwa.com.qa/en

자료: MEED Projects
 

수출입 현황


카타르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의 건설업 관련 기자재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 상위 품목 중 건설업 관련 기자재는 주로 철골 구조물, 통신 및 전력 케이블류, 전력 장치, 도로포장재, 밸브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타르의 주요 수입 품목(2020)

(단위: US$ 백만, %)

연번

HS코드

품목명

금액

비중

증감

1

84111200

가스터빈, 터보제트

1,296

5

5

2

88033000

항공기 부품

840

3

21

3

93990000

종류에 지정되지 않은 상품

673

3

42

4

89052000

선박 관련 시추대 및 작업대

570

2

237

5

85171200

전화기

410

2

2

6

30049090

의약품

303

1

12

7

74081100

구리선

288

1

28

8

89059020

선박 관련 기타 품목

256

1

-

9

87032111

217

1

12

10

84071000

철강관

213

1

44

기타

19,301

78

-

합계

24,367

100

22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한국은 카타르에 주로 전선, 건설 중장비, 철강 제품류 등 건설 기자재를 수출하고 있다.

 

한국의 대 카타르 주요 수출 품목(2020)

(단위: US$ 백만, %)

연번

MTI

품목

금액

비중

증감

1

229

기타 정밀 화학제품

32

9

668.1

2

741

자동차

27

8

43.7

3

841

전력용기기

19

6

45.4

4

711

원동기및펌프

19

6

12.4

5

725

건설광산기계

19

6

11.8

6

713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18

5

33.9

7

133

석유제품

17

5

23.6

8

835

건전지 및 축전지

14

4

15.4

9

214

합성수지

14

4

5.6

10

611

형강

13

4

3.9

기타

147

43

-

합계

339

100

5.1

자료: KITA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천연가스·석유 수출로 축적한 정부 및 국영기업의 탄탄한 자본력

· 정부주도의 경제 다각화 추진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환경

· 수도·전기·연료 등 저렴한 유틸리티 비용

·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고급 전문직)

· 국제유가에 좌우되는 에너지 의존 경제

· 여전히 보편적인 외국인 투자자 스폰서 제도(외국인 49% 지분

  제한)로 경영 주도권 확보 및 기업 철수 애로

Opportunities

Threats

· 2022 카타르 월드컵 개최 대비 인프라 프로젝트 지속

· LNG 증산 계획에 따른 플랜트 시장 활기

· 카타르-GCC 간 단교해제로 경제 회복 및 정치 안정화

· 외국인투자법 개정(100% 외투허용)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

·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에너지 분야 입찰 시 현지화 점수 제출 의무화로 현지화 비율

  확대 및 경쟁 불가피

· 부가가치세 도입 등 세제개편 가능성 존재

· 2022 카타르 월드컵 이후 중대형 프로젝트 발주 감소 우려

 

국가비전 2030 2022년 월드컵 개최로 정부의 프로젝트 분야 예산 편성에 힘입어 도로, 신도시 개발, 공항 및 항만, 수전력, 의료 및 교육시설 등 분야에 꾸준한 사업 수요 존재하는 만큼, 정부 발주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하거나 발주처 벤더 등록을 통한 관련 기자재 납품 기회를 모색해볼 수 있다.


이 외에도 교통통신부(MoTC)는 국가 디지털화 프로그램 타스무(Smart Nation Program, TASMU)를 통해 교통, 물류, 헬스케어, 스포츠, 환경과 같은 5대 분야에 대해 디지털 기술의 접목을 추진 중으로건설 분야에서는 지능형 교통체계(ITS), 스마트 파킹 등 다양한 스마트 시티 관련 기술 제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로 에너지 효율 확대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건물 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그린 빌딩의 설계 및 관련 기자재 수요 대응에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


 

자료: Meed Projects, QCB(Qatar Central Bank),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KITA,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카타르 건설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